<수업설명팁> 기권 중 대류권과 중간권에서만 대류가 일어나는 이유(실험)
<학생들에게 하는 설명>
대류권의 특징은?
대류권에서 일어나는 특징은 절대 외우지 말것!
대류권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을 왜 외우지?
그냥 창밖을 봐라. 창밖에 보이는 모든 현상이 대류권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이다.
비가오고, 눈이오고, 바람이 불고, 번개가 치고, 꽃이 피고, 낙엽이 떨어지고 등등.... 기상현상이 일어나지.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바람이 분다는 거야.
기권 중에 성층권과 열권은 안정된 층이야. 바람 한점 없지. 그 이유는 대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야.
그럼 왜 대류권과 열권에서는 대류가 일어날까?
그건 아래쪽이 위쪽보다 온도가 높기 때문이지. 뜨거워진 공기는 위로 올라간다는 건 알고 있지?
대류현상이 뭔지 잘 기억이 나지 않으면 아래 링크 가서 다시 공부하고 와
액체의 대류 가상실험 (웹용) - 열의 이동
열전달 방법 중 액체의 대류에 대한 가상실험을 웹용으로 다시 만들었다. 아래 링크에서 실행시키면 된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convection/ccurrent.html 분자는 250개 사용 되었다. 불켜기를 하면
sciencelove.com
기권이 4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이유는 아래 링크에서 공부하고 와
<수업설명팁> 대기권의 기온분포에 대한 설명과 가상실험 프로그램
온라인 학습에서 사용할 수 있게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에서 바로 실행되도록 html5 로 제작해 놓았다. 아래 링크를 안내해 주면 된다. 물론 아래 프로그램만큼 정교하지는 않다. 그래도 비슷하게
sciencelove.com
그래서 실험을 준비해 봤다.
아래쪽에는 뜨거운 물(커피) 위쪽에는 차가운 물을 올리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뜨거운 물이 위쪽으로 올라가니까 둘은 바로 섞이지. 온도차이가 많이 난다면 더 빨리 섞이게 될거야.
대류가 일어나는 거지
그럼 반대로 위쪽은 뜨거운 물 아래쪽은 찬물을 두면?
이미 뜨거운 물이 위쪽에 올라가 있고, 차가운 물은 아래쪽에 내려와 있기 때문에 둘은 섞이지 않아.
물이 잘 이동하지 않지. 그래서 성층권과 열권은 안정된 층이 형성되는 거야.
직접 실험을 영상으로 살펴 보자.
아래쪽에 뜨거운 물이 있으면 너무 빨리 섞이는 경향이 있어서. 이번에는 중간막에 구멍을 뚫었어. 그랬더니 섞이는 모습을 천천히 관찰할 수 있었지
https://youtube.com/shorts/HyQijqtQZBU
오늘은 한가지만 기억하자.
대류는 아래쪽이 온도가 높고 위쪽이 온도가 낮을 때 공기가 순환하면서 일어난다.
공기가 순환하니까 바람이 불고, 기상현상이 일어난다. 그리고 바람이 부니까 층이 불안정 하다. ... ^^
<실험 팁>
1. 실험할 때 유리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럼 뜨거운 물을 넣어도 컵이 변형되지 않는다.(하지만 깨지기 쉽고, 과학실에 따로 준비되어 있지도 않다)
2. 플라스틱컵으로도 실험이 가능하다. 그런데 플라스틱 컵은 너무 뜨거운물을 부으면 변형이 된다. 그래서 50-60도 정도의 따뜻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교실에서 시범 실험으로 보여 주는 방법
준비물 : 수조. 플라스틱 컵 2개, 보온병 2개(정수기에서 받은 뜨거운 물, 정수기에서 받은 차가운 물), 중간 가림막(OHP 필름이나 책받침), 찬물 1병(뜨거운 물에 섞는 용도), 수조위에 올려 놓을 판(시범실험 보여 줄때 좋다)
교탁위에서 실험을 하면 컵에 물이 쏟아져 물바다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위 사진처럼 수조위에 얹을 수 있는 판을 미리 준비해서 수조위에서 실험을 하면 좋다. 그럼 실수를 하더라고 물은 다시 수조로 모을 수 있다.
그리고 수조위에 판을 올려 놓고 그 위에서 시범 실험을 하면 뒤에 있는 학생들도 잘 볼 수 있어서 좋다.
정수기에서 받은 뜨거운 물에는 미리 커피를 타 둔다. 그리고 실험할 때는 뜨거운 커피를 플라스틱 컵에 바로 넣지 말고, 플라스틱 컵에 찬물을 절반 정도 넣고, 그 다음에 뜨거운 커피물을 넣어 주면 된다. 손을 넣었을 때 화상을 입을 정도로 뜨거우면 안된다.
뜨거운 물컵을 가림막으로 막고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물에 손을 넣어도 버틸 수 있는 정도의 뜨거운 정도여야 한다.
(엄청 뜨거운 물을 사용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빠지지 말것)
실험이 끝난 물은 수조에 모았다가 수업이 끝나고 버리면 된다.(아니면 큰 비이커를 하나 준비해서 모았다가 버린다)
다음반 들어갈때도 미리 보온병에 뜨거운물과 차가운 물을 세팅해서 가져가기 바란다.
대류에 대한 다양한 실험은 아래 링크 참고
대기권에서 대류에 대한 설명(시온잉크)
예전에 대류에 대한 설명하려고 만든 동영상들인데대기권에서 대류권과 중간권은 대류현상때문에 불안정하고성층권과 열권은 안정된다는 것을 설명할때 보여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시온잉크
sciencelov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