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과학임시자료/6단원 (빛)

무지개나 분광필름에서 빨간색은 어느쪽에서 보일까? - 임시정리

민서아빠(과학사랑) 2025. 8. 1. 12:21

프리즘으로 무지개를 만들어 보면 위쪽  부터 빨주노초파남보 색깔이 나타난다.

그런데 혹시 알고 있는가?

1. 프리즘을 창가로 가져 가서 교실 벽면에 무지개가 생기게 하면 무지개는 아래쪽 부터 빨주노초파남보가 만들어 진다.

왜 그럴까?

(설명은 나중에)

2. 하늘에 떠 있는 무지개를 보면 위쪽부터 빨주노초파남보가 만들어 진다. 

그런데 하늘에 떠 있는 작은 물방울이 굴절하고 1번 반사해서 만들어 낸 스펙트럼은 아래쪽 부터 빨주노초파남보로 빛이 나눠 진다..

그런데 왜 우리는 무지개를 볼때 위쪽에 빨간색이 보이는 것일까?

위 프리즘과 다른점은 무엇일까?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프리즘은 무지개를 벽면 스크린에 나타나게 하는 것이고, 하늘에 떠 있는 무지개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보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다르다

즉 하늘에 떠 있는 무지개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보는 것이고, 1번 프리즘은 벽에 빛춰진 무지개를 보는 것이다. 

 

3. 분광필름도 슬릿(중심)을 기준으로 빨간색이 더 많이 꺽이기 때문에 스크린에 투영한다면 바깥쪽에 빨간색이 나타난다.

그렇다며 위 2번 설명처럼 눈으로 볼때는 반대로 보여야 하는  거 아닌가?

그런데 눈으로 봐도 바깥쪽에 빨간색이 나타난다.

이유는 뭘까?(설명은 나중에)

무지개는 하늘에 흩어진 여러 개의 점(물방울)들을 조합해서 보는 원경(遠景)이고,

분광기는 눈앞의 한 지점에서 펼쳐지는 것을 보는 근경(近景)이기에 '반전'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