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정리)눈의 구조 - 볼록렌즈로 상이 맺히는 원리 실험
눈이 물체를 보는 과정
물체에 반사된 빛이 수정체를 통과해서 망막(시세포)에 맺히면 자극이 시신경을 타고 뇌로 이동해서 물체를 보게 된다.
우리의 수정체는 볼록렌즈와 같기 때문에 가까운 것과 먼 것을 볼때 수정체 두께를 조절해서 초점을 맞춰야 한다.
초점을 맞추지 못하면 상이 흐려져서 잘 보이지 않게 된다.
--
간단하게 실험해 볼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 볼록렌즈만 있으면 물체에 강한 후레시를 비춰서 벽면이나 스크린에 상을 맺게 할 수 있다.
볼록렌즈는 수정체 처럼 두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물체와 상 또는 상과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적당히 조절해야 한다.
신기한 것은 벽면이나 스크린에 상이 맺힌다는 것이다.
벽면에 맺힌 상은 뒤집혀 보인다. 실제 망막에 맺히는 상도 뒤집혀 보이지만, 우리 뇌에서 다시 똑바로 돌려서 보게 되는 것이다.
아래 동영상 실험을 일단 보자
https://www.youtube.com/watch?v=kyLhoGjGoxk
실험에서 후레시를 끄면 상을 볼 수 없다.
실험에 성공하려면, 가능한 어두운 곳에서 강한 후레시를 이용해서 물체를 비춰주는 것이 좋다.
그래서 우리 눈 안쪽은 맥락막이 둘러싸고 있어서 암실처럼 어둡게 되어 있다.
https://youtube.com/shorts/T-wuAn99NOU
상이 맺히는 원리는 볼록 렌즈 작도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렌즈 작도와 거울 작도 가상실험 앱 - 스마트폰용
물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나 거울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작도하면서 확인하는 앱이다. 렌즈작도 프로그램 https://sciencelove.com/1152 거울작도 프로그램 https://sciencelove.com/1165 초,중,고에서 다 사용할
sciencelov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