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에게 접근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설명하던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보았다.
항상 전기단원 시작시 하는 질문?
우리집 수돗세는 뭐로 내니?
그럼 전기세는 뭐로 낼까?
<가상실험 방법 및 생각할 점>
<기본개념>
V(전압) :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 - 수압
A(전류) : 흐르는 전하의 양 - 흐르는 물의 양
R(저항 ):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 -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수도꼭지)
<사용법> - 설명이 부실해서 사용방법을 잘 모르시는 분이 많네요
물의 높이는 : 전압이라는 글자를 마우스로 드래그 하면 물의 높이(수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저항 변화는 수도꼭지처럼 된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 하면 됩니다.
* 수압변화 :물통의 물 표면을 위아래로 드래그 하여 수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 저항변화 : 수도꼭지(밸브)를 위아래로 드래그 하여 저항을 변화시킬 수 있다.
* 전류변화 : 전류는 실제에서도 임의로 변화시킬 수 없다. 전압과 저항값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회로를 만들 때 사용할 전류의 양을 정하고, 저항을 달아 필요한 전류의 양을 사용한다.)
* 물방울소리 : 전류의 양을 소리로 확인할 수 있다.
* 물통 채우기 : 흘러나온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활용방법>
1. 저항 일정하게 두고 전압(수압)을 변화시켜 가면서 전류의 양(흘러가는 물의양) 비교
2. 전압 일정하게 두고 저항을 변화시켜 가면서 전류의 양 비교
3. 전압이 일정할 때 전기세는 무엇과 관계가 있을까?
* 수압이 일정할때 수도세는 사용한 물의 양으로 낸다.
* 전압이 일정한 경우 전기세는 사용한 전류의 양으로 낸다. (사실은 전력량(전압*전류*시간)로 낸다.)
4. 전류가 같아도 전압이 커지면 왜 전기세가 많이 나올까?
* 같은 양의 물을 사용 해도 수압이 세면 물이 나오는 속도가 빠르다. (물레방아를 빨리 돌릴 수 있다. 즉 더 큰일을 할 수 있다.)
* 같은 양의 전류를 사용해도 전압이 세면 전하들은 더 큰에너지를 운반 할 수 있다.
5. 100V용 백열전구를 200V에 연결하면 밝기(에너지)는 어떻게 되나?
* 저항이 같을때 수압이 2배가 되면 흘러가는 물의 양도 2배가 된다.
* 저항이 같을때 전압이 2배가 되면 흘러가는 전류도 2배가 된다.
* 즉 100V 백열전구를 200V에 사용하면 전압이 2배가 되고 전류도 2배가 되므로
전력(전압*전류)은 4배가 된다. 즉 4배 더 밝아진다. 전기세도 4배 더 많이 나온다.
6. 저항의 병렬연결에 대한 생각
* 수도꼭지를 여러개 틀어 놓으면(사용되는 물의 양이 많아짐) 가정전체로 봤을때 전체저항이 작아져 수도세가 많이 나온다.
* 전기기구를 여러개 꼿아 놓으면(사용되는 전류의 양이 많아짐) 가정전체로 봤을때 전체저항이 작아져 전기세가 많이 나온다.
프로그램 사용방법을 동영상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