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학교 2학년 과학283

달크기 측정 팝업 학습지 + 달크기 측정방법 개선 달크기 측정 팝업 학습지 달 크기를 별다른 도구 없이 쉽게 측정하게 하기 위해 달크기 측정용 팝업 학습지를 만들어 보았다. 만드는 방법 및 활동방법은 동영상 참고 https://youtu.be/pewpMQHei6I * 동영상과 달리 먼저 활동지를 3번 접어서 막대 모양으로 만들고, 그 다음 가위로 자르는 것이 좋다. 가위로 먼저 잘라 놓았더니, 잘 접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다. 달크기는 삼각형의 닮은비만 알면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전형적인 실험의 경우 50cm 자에 구멍이 뚫린 종이를 끼워서 달의 크기를 측정한다. 학생들 수 만큼 50cm 자를 준비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그래서 학습지 하나만 가지고 실험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어렵지 않은 실험이라 학습지 자체를 측정도구로 사용하게 만들었다. 1.. 2023. 5. 18.
전류가 흐르는 도선주위 자기장 칠판에 붙여 가며 설명하기-출력 종이 이용 수업 시간에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을 설명하다 보니 학생들이 생각보다 어려워한다. 그래서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나침반과 도선을 칠판에 붙여가며 설명하기로 했다. 가상 실험을 이용해서 결과를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왜 그런 결과가 나오는지 미리 확인해 보는 과정도 중요하다. 예전 칠판은 자석이 잘 붙지 않아 자력이 센 자석을 사용했는데, 요즘 칠판은 자석이 잘 붙기 때문에 아주 작은 자석을 사용해도 된다. 지름 3mm 두께 3mm 짜리 초소형 네오디움 자석을 사용해서 출력한 종이 뒤에 붙여서 사용했다. 자석은 지름 6mm 두께 1mm 짜리 사용해도 된다. 그런데 칠판에서 쉽게 떼어내려면 약간 두께가 있는 것이 좋다. 그래서 3mm 짜리를 사용했다. 너무 강한 자석을 사용하면 칠판에.. 2023. 4. 26.
검전기 이용한 초능력(?) 및 재미있는 과학수업 1. 검전기를 가지고 들어가면 제일 먼저 하는 것이 초능력이다. 선생님은 초능력자라고 소개를 하고 검전기를 향해 부채질을 하면 된다. 유리병으로 둘러싸인 검전기에 부채질을 하면 바람이 들어가서(?) 병속에 있는 금속박이 펄럭인다. 초능력이다. 자신도 해 보겠다는 학생이 있으면 얼른 대전체를 손으로 문질러 방전시킨 후 건네 주면 아무리 부채질을 해도 금속박은 펄럭이지 않는다. 아래 동영상 참고 https://youtu.be/az3gCS3PupI 2. 검전기를 활용한 재미있는 과학 실험 중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검전기 실험은 상당히 단순하다. 보통 빨대와 천을 문질러서 마찰전기를 발생시키고 대전체를 검전기에 가까이 하여 금속박이 벌어지는 걸 확인하는 실험이 대부분이다. 너무 간단하고 바로 끝난다. 그래서 이번.. 2023. 4. 13.
에너지 스틱을 활용한 이온확인 실험(전기 전도계 대치) 에너지 스틱은 양손으로 잡았을 때 작은 전류가 흘러도 빛과 소리가 나는 장난감(?) 이다. 사람의 몸도 약하지만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양손으로 잡으면 소리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여러명이 손을 이어 잡아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소리가 난다는 것이다. 수업시간에 반 전체를 대상으로 손을 이어잡고 소리가 나는 활동을 하게 하면 재미있는 추억이 될 수 있다. 중학교 2학년 2단원 물질의 구성에서 이온을 확인하는 실험이 있는데, 간이전기전도계로 전기가 흐르는 것을 보여주니 식상해 한다. 그래서 학생들 전체를 전선으로 만들어 벼렸다. 남녀공학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손을 잡는 것을 꺼려 한다. 그럴 경우 남학생들만, 그 다음은 여학생들만 나와서 손을 잡게 해도 된다. 학생들이 손을 이어 잡아서.. 2023. 3. 24.
알파벳 이용하여 물품기호 만들기(원소기호 명명법+분자식) 활동 원소기호와 분자를 나타내는 방법을 좀 더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 스토리텔링으로 만들어 보았다. 원소기호를 들이밀면 학생들이 시작하기 전 부터 벌써 어려워 한다. 그래서 놀이처럼 가장 짧게 물품기호를 보낼 수 있는 방법을 모둠별로 만들어 보게 하면서, 자연스럽게 원소기호 명명법을 이해하게 하려고 한다. 아울러 '사과2개씩 들어있는 상자 3박스' 와 같은 문제를 제시해서 분자식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이해하도록 할 예정이다. 재미있게 놀고 나면, 원소기호나 분자식을 쓰는 방법에 대해 이해하게 될 것이다. 핵심은 물품기호를 만드는데, 잘 못 만들어도 된다, 다른 모둠이 만든 것과 비교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원소기호 명명법을 선택하는게 가장 합리적이라는 것만 느끼면 된다. 가능하면 다른.. 2023. 3. 19.
불꽃 반응 실험과 선스펙트럼 관찰 팁 정리 1. 소독용 알콜솜(탈지면) 을 이용하면 별다른 준비물 없이 깔끔하게 불꽃반응 실험이 가능하다. (우리학교 선생님을 통해 이번 실험에서 알게 되었다) 도자기로 된 기다란 접시(회초밥 접시(?))를 준비하고 소독용알콜솜을 올린 후 그 위에 원소를 살짝 올리고 태우기만 하면 된다. 뒷처리가 깔끔하고, 알코올을 엎지를 위험도 없어 안전하고 좋다. 소독용알코솜을 긴접시에 3개 올리고, 각각 원소를 작은숟가락으로 1/3 정도 퍼서 올린 후 불을 붙이면 된다. 한번에 너무 많이 하지 말고, 2-3개씩 실험하고 치우고 하면서 반복 실험하면 된다. 다 타고 나면 실험이 끝난 솜은 증발접시로 옮겨 놓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버리면 된다. 처음에는 그냥 점화기를 모둠별로 나눠 주었는데, 나중에는 준비가 끝난 모둠 손들라고.. 2023. 3. 16.
스텔스기 사진뒤 별자리 보고 위치 알아내기 인터넷에 올라온 내용이다. 군비행장에서 촬영된 스텔스기 사진뒤에 별자리를 보고 스텔스기가 있는 비행장 위치를 알아냈다고 한다. 1. 스텔스기 사진 뒤 별자리를 그린다. 2. 웹사트에서 촬영된 날짜를 확인하고, 촬영된 시간을 알아낼 수 있다. 3. 스텔라리움 앱에 그 날짜의 별자리를 추적해 보면, 북극성 위치를 알 수 있고 위도도 알아낼 수 있다. 4. 북위 34-35도 정도라는 걸 알아내고 미국지도에 해당 위도에 선을 긋는다. 5. 해당위도에 위치하는 비행장을 찾아내서, 공장이 있는 비행장을 추적해서 특정 비행장을 알아낼 수 있다. 6. 사진 좌측에 촬영된 건물 일부와 구글지도를 이용해 비행기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끝. 2022. 12. 29.
주기율표 사칙연산 프로그램 사칙연산 프로그램을 주기율표 원소기호 번호를 이용하여 풀 수 있게 만들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게임을 하면 된다. http://sciencej1.cafe24.com/html5/arithmetic/arithmeticju.html 하는 방법은 사칙연산 게임과 똑같다. 사칙연산 게임하는 방법 및 설명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512 사칙연산 게임과 다른 점은 1-20번까지 숫자가 나오는 대신 문제에 원소기호가 나온다. 원소기호가 나오면 원소기호 번호로 바꿔서 사칙연산을 게임을 하면 된다. 1-20번까지 나와 있는 주기율표를 옆에 두고 게임을 하면 더 좋을 듯 하다. 2020. 12. 7.
주기율표 스트림스(streams) 게임 - 온라인 수업도 가능 쌍방향 수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주기율표를 이용한 스트림스 게임이다. 아래 링크를 눌러 참여할 수 있다. 학생들에게 아래 링크 주소를 보내주면 된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streams/streamsgameju.html 숫자를 이용한 스트림스 게임을 보다가, 주기율표를 이용해서 게임을 하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주기율표를 이용해서 만들어 보았다. 기호선택을 눌러 혼자 해도 되고, (일단 혼자 여러번 해 봐야 한다. 그래야 어떻게 하는지 알 수 있다.) 함께 하기를 눌러 학급 전체가 동시에 참여해도 된다. 이때는 교사가 기호를 불러 주면 학생들이 교사가 부른 기호를 녹색칸에 오름차순이 되도록 배치하면 된다. 함께 하기는 쌍방향 수업에서도 가능하다. 학생들.. 2020. 8. 23.
태양 일식 관측 찜기 이용한 방법 및 실제 관측기 2020.6.21 2020.06.21 일 4시 - 6시 사이에 일어난 일식 관찰 찜기를 이용한 태양 일식 관찰 찜기의 구멍이 바늘구멍 사진기 역할을 해 주기 때문에 찜기 구멍을 통과한 태양이 바닥에 태양 모양의 상을 만들게 된다. 바늘구멍 사진기는 아래 그림처럼 바늘구멍을 통과한 빛이 상을 만들기 때문에 상하좌우가 반대가 된다. 찜기를 지면에 너무 가까이 하면 바늘구멍에 의한 상을 볼 수 없다. 또 너무 멀리 해도 상이 번져 보여서 관찰하기 쉽지 않다. 약 1m 정도 거리에서 찜기를 들고 가까이 했다 멀리 했다 하다 보면, 일식이 일어나는 태양 상이 맺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시간대별로 촬영해 본 사진이다. 그림자로 본 일식 진행방향은 우측상단에서 좌측하단으로 진행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실제 이날 일식.. 2020. 6. 21.
주기율표 원소 실물 관찰 주기율표 원소 실물이 들어있는 아크릴판을 구매했다. 방사능 물질을 제외한 대부분의 실제 원소가 들어있다고 한다. 기체들도 기포로 만들어서 넣어 놓았다고 한다. 100% 다 진짜인지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그래도 의미가 있다. 맨 아래 동영상을 보면 어떤 건지 알 수 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지구를 레고 블럭이라고 가정하면,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들의 가장 기본적인 레고블럭 조각)들이 요 안에 다 들어 있다. 스마트폰에 다는 확대경을 이용해서 하나씩 관찰해 보려고 했더니 초점이 안 맞아서, 스마트폰 확대경 앞에 지지대를 파손시킨 후 겨우 초점을 맞출 수 있었다. 지구를 구성하는 모든 물질이 이 안에 들어있다는 것 만으로도 감동이다. 수업시간에 자주 나오는 원소들을 스마트폰 확.. 2020. 6. 5.
단어찾기퍼즐(1단원-물질의구성) - 온라인학습 과제용 온라인 학습 과제로 내기 위해 1단원 물질의 구성에 대한 단어찾기퍼즐(word search)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1단원 마무리 활동을 할때 과제로 낼 예정입니다. 학생들도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아래 링크로 접속해서 바로 도전할 수 있습니다.(직접 아래 링크 눌러서 도전해 보세요) 단조로운 온라인 수업에, 공부도 하고 재미도 주고 싶네요 http://sciencej1.cafe24.com/?puzzle=sci2_1 필요하신 샘들은 링크 복사해서 온라인 강의에 활용하셔도 됩니다. 강의를 듣고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단어찾기퍼즐 게임에 참여하세요 스마트폰에서 문제 11개가 다 보이지 않으면 컴퓨터에서 도전하세요 3번 이상 도전해서 가장 높은 점수를 화면캡처 해서 보내 주세요. (결과를 꼭 받을 필요는 없겠지요... 2020. 4. 29.
화학식 기억력 카드 게임 - 웹이나 스마트폰에서 실행 원소기호 기억력 게임에 이어 화학식 기억력 게임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온라인 학습을 할 때 3학년도 학생들에게 집에서 과제로 풀어보게 하면 좋을 것 같네요 html5로 만든 거라 컴퓨터에서도 되고, 스마트폰에서도 바로 실행 됩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화학식을 어느정도 알아야 해요. 아래 링크에 있는 기억력 게임을 4단계 까지 성공시키면서 화학식을 외워 봅시다. 4단계 50점 이상 맞도록 도전해 봅시다. 여러번 도전해서 자신의 최고 점수를 아래 과제제출 내에 기록해 주세요 http://sciencej.cafe24.com/html5/card/cardgame1.html 4단계 마지막 최종점수를 화면을 캡쳐해서 과제로 제출받아야 할까요? 그냥 학생들 믿고 맏겨고 되겠지요. ^^ 2020. 4. 25.
원소기호 기억력 게임 - 웹이나 스마트폰에서 실행 몇일전 부터 원소기호 기억력 게임을 온라인 학습에 이용할 수 없냐는 문의가 많아서 조금 미흡하지만 급하게 html5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MIT에서 만든 소스를 급 수정해서 만든거라 별 기능은 없습니다. 그래도 온라인 학습을 할 때 학생들이 집에서 과제로 풀어보게 하면 좋을 것 같네요 html5로 만든 거라 컴퓨터에서도 되고, 스마트폰에서도 바로 실행 됩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원소기호를 어느정도 알아야 해요. 아래 링크에 있는 기억력 게임을 4단계 까지 성공시키면서 원소기호를 외워 봅시다. 4단계 50점 이상 맞도록 도전해 봅시다. 여러번 도전해서 자신의 최고 점수를 아래 과제제출 내에 기록해 주세요 http://sciencej.cafe24.com/sci/cardgame.html 4단계 마지막 최종점수를.. 2020. 4. 25.
열팽창 소리 - 귀신소리 아니고 열팽창에 의한 소리 한밤중이나 한낮에 갑자기 나는 원인 모를 소리의 대부분은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소리다. 우리 주변에 있는 물체들은 온도변화에 의해 항상 부피가 변한다. 점심시간에 급식먹으로 가는데 학교 차양막에서 소리가 난다. 오전에 비가 오고 쌀쌀했는데 점심때 비가 그치고 강한 햇살이 비췄다. 온도변화가 커졌기 때문에 열팽창 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이 형성된 것이다 우리가 원인을 못찾는 아무도 없는 곳에서 갑자기 들리는 소리는 대부분 열팽창이나 열수축 때문에 나는 소리다. 군대 있을때 밤에 보초를 서다가 갑자기 드럼통을 발로 걷어차는 소리 때문에 깜짝 놀라곤 했다. 그리고 왜 그런 소리가 나는지 알 수가 없어 당황스러웠던 적이 있다. 나중에 알고 보니 한밤중에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 낮동안 팽창해 있던 드럼통이 수축하.. 2019. 7. 16.
초간단 전동기(모터) 만들기 - 기존 간이전동기를 더 쉽게 만들기 에나멜선을 감아 만드는 전형적인 간이전동기 만들기이다. 기존에 많은 제작법이 나와 있고,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쉽게 만드는 방법으로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클립을 이용하면 클립을 가공하기 위해 재료들이 또 필요하게 되고, 구리판을 사용하면 평상시에는 구리판을 접할 수 없기 때문에 실험시에만 사용하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주변에 있는 준비물들로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 본다. (2017년 신과수에서 발표했던 자료인데 오늘 확인해 보니 홈페이지에 올려놓지 않았나 보다. 그래서 지금에서야 올린다. ) https://youtu.be/JjuJ_SY503g 가. 준비물 에나멜선(지름0.6-0.7mm, 길이 50cm), 페라이트 원형 자석(20X5mm), 건전지DM, DM건전지끼우개, .. 2019. 4. 18.
달의 위상변화 가상실험 - 스마트폰에서도 실행 달의 위상변화를 가르치다 보면 태양의 위치가 달라졌을때 학생들이 어려워 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아래 링크를 눌러 들어가면 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도 가능하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moonphase/moonphase.html 기존에 만들었던 달 위상변화 관찰프로그램과 차이점은 달과 태양을 마음대로 이동시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지구도 자전시켜 볼 수 있고, 태양과 달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도 있다. 지구에서 본 달의 모습에 오해가 있을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상현달은 아래 그림처럼 항상 오른쪽 절반이 보인다고 착각한다. 절반이 보이는 건 맞.. 2019. 1. 31.
용해도 곡선 가상실험 앱 - 스마트폰용 학생들이 어려워 하는 용해도 곡선을 스마트폰용 가상실험으로 만들어 보았다. 플레이 스토어에서 용해도 곡선 으로 검색하거나 아래 링크에 가면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solubilitycurve 컴퓨터용 프로그램 및 교실에서 의자와 학생들의 관계를 이용하여 쉽게 설명하는 방법은 아래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1259 2019. 1. 24.
이산화탄소 카트리지 이용한 이산화탄소 밀도 측정 이산화탄소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밀도를 측정해 보았다. 밀도측정 실험을 하기 위해 풍선입구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전거 펑크 대비 CO2 카트리지 주입기(인젝터)를 구입했다. 예전부터 생각했던 건데 소형 인젝터 덕분에 가능하게 되었다. 밀도를 측정하는 것은 간단하다. 밀도는 질량/부피 니까 이산화탄소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면 된다. 이산화탄소의 질량은 이산화탄소카트리지를 사용하기 전에 질량을 재고 다 사용한 후에 질량을 재면 된다. 그럼 카트리지 안에 있던 이산화탄소의 질량 만큼 질량이 감소할 것이다. (이때 이산화탄소 카트리지는 16g 짜리를 사용했다.) 이산화탄소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은 이산화탄소 카트리지를 풍선 입구에 고무줄로 고정시키고 카트리지 안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풍선안에다 불.. 2018. 8. 10.
지식시장 - 지구와 달 모둠별 활동지 모음 지구와 달 내용을 가지고 운영했던 지식시장 활동지 모음입니다. 지식시장 운영방법은 아래링크 참고 http://sciencelove.com/2266 2018.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