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과학임시자료272 인도 배낭 여행에서 기차 놓치지 않고 타는 법(정보) 멘붕!!!기차를 놓치다.자이푸르에서 조드푸르로 기차로 이동 예정악명 높기로 유명한 인도 기차에서 실수하지 않고 아무 문제없이 잘 다니고 있었다. 3번 기차로 이동했는데, 2번은 잘 이동했다. 그러다 보니 자만했던 것 같다. 여행 기간 중 마지막 기차이동하는 날.뭐 별로 어렵지 않네. 괜히 걱정 했나?이제는 인도 기차 헷갈리지 않고 잘 탈 수 있다고 자부하고 있었다. 그러나-----------------------2시간 일찍와서 플랫폼 확인하고 대기 했다.플랫폼 번호가 자주 바뀌기 때문에 계속해서 1분 단위로 전광판을 확인했던 것 같다.몇번을 확인 했는데 결국 기차를 놓쳤다.바라나시에서도 기차가 이미 도착했다고 전광판에 떴지만, 시간이 20분쯤 지나고 나서 기차가 들어온 적이 있었기 때문에 그러려니 하고 .. 2025. 1. 30.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서 연주할 수 있는 피아노-진동수 변화실험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서 연주할 수 있는 피아노 - 진동수에 따른 목소리 변화아래 링크에서 실행시키고 녹음해서 연주하면 된다.어렸을 때 민서가 좋아하던 목소리 녹음해서 연주하는 피아노 프로그램을 20년 만에 웹용으로 다시 만들어 보았다.아래 링크 누르고 실행하면 된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piano/recpiano.html 마이크 녹음 버튼을 눌러 목소리나 다른 생활에서 나는 소리를 녹음한 다음정지를 누르고 재생버튼을 눌러 소리를 들어 본다.(참고로 앞부분에 묵음은 자동으로 제거되도록 만들었다.)소리가 잘 녹음이 되었다면 피아노 건반을 눌러 연주를 하면 된다. 끝 '아~~~~' 또는 '랄랄랄랄~~~' 소리를 녹음하고 연주해 보자. 말을 녹음하는 것 보다. 연주.. 2024. 12. 10. 학년말 교과서 이미지 분류하기 활동 재과만에 김신혜 수석님이 올리신 자료[학년말] 진도를 다 나갔지만 교과서를 못 버리게 만드는 이미지 분류하기!자세한 설명은 재과만에 가서 참고하세요.(재과만 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https://cafe.daum.net/sedu22/Hzi/2613김신혜 선생님은 직접 교과서 이미지를 복사해서 이미지 카드로 나눠주고 아래와 같이 활동을 하신다네요* 그림분류하고 핵심용어 찾기 1. 이미지카드 36장2. 3장씩 짝을 지어 12가지로 구분하세요. 고스톱처럼^^ ('뭔지 모르겠으면 교과서를 찾아보세요. 거의 다 교과서 사진입니다'라고만 가끔 얘기합니다. )교과서 보기는 아이들 상황에 따라, 교과서를 못 보게 하고 진행. 중간에 [교과서 보기 타임 30초!] 넣어주기3.(교사) 돌아다니며 3장씩 놔둔 것 중 틀.. 2024. 11. 25. 아나모르포시스 만들기-태블릿 이용 자신의 사진으로 직접 만들어 보기 원기둥 형태의 거울을 이용하면 일부러 왜곡되게 만든 그림을 관찰할 수 있다.자신의 사진이나 그림을 가지고 왜곡된 상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아나모르포시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나 직접 수업시간에 활동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2407 아나모르포시스 만들기(원형거울 이용 왜곡상) 전개도 및 프로그램원형거울을 이용하여 왜곡된 상을 관찰하는 활동이다. 인터넷 상에 아나모르포시스라고 검색하면 많은 그림들이 나온다. 최근에는 교과서에도 실려 있다. 학생들이 직접 활동을 하면 좋겠다는sciencelove.com 출력해 주고 위 활동을 하다가 종이 없이 태블릿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진이나 이미지로 아나모르포시스를 직접 만들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024. 11. 12. 소리의3요소 진폭,진동수,파형 실험- 웹용 소리분석 프로그램 중학교에서 배우는 소리 관련 실험을 웹상에서도 할 수 있게 만들었다.기존에 컴퓨터용이나 안드로이드폰에서 실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다운받거나 미리 설치해야 했다.그래서 기종에 상관없이 설치하지 않고 웹 링크로 접속만 하면 바로 소리 파형을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태블릿이나 스마트폰만 있으면 링크 주소를 알려 주고 바로 실험할 수 있다.아래 링크로 접속해서 실험하면 된다.https://sciencej.cafe24.com/html5/soundanalysis/soundanalysis.html소리분석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소리파형을 일시정지 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일시정지 시킨 파형을 기록해 둘 수 있다.기록1 에 작은 소리, 기록 2에 큰 소리 파형을 기록해 두면 2개의 파형을.. 2024. 9. 28. 가청주파수 확인 및 소리 발생 프로그램 - tone generator 진동수에 해당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프로그램이다.아래 링크에서 실행하면 된다. 나이가 들수록 높은 진동수의 소리를 듣지 못한다. 나는 어디까지 들을 수 있을까?https://sciencej.cafe24.com/html5/tonegenerator/tonegenerator.html1. 가청주파수 확인 실험1) 가청주파수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는 20-20000Hz 이다.그래서 손을 흔드는 소리는 들리지 않지만(1초에 20번 이상 흔들면 들릴지도...)모기 날개짓 소리는 들린다. 모기는 1초에 200-900번 정도 날개짓을 하며 공기를 진동시키기 때문에 사람의 귀에 소리가 들리게 된다.(가청주파수에 해당하기 때문에) 재미있는 것은 나이가 들수록 진동수가 높은 고음은 잘 듣지 못한다.나는 어디까지 들을 .. 2024. 9. 19. 가상 조명 - 색이 있는 조명을 비추면 세상은 어떻게 보일까? 빛이 없는 곳에서 색이 있는 조명을 비춰 본다면 세상은 어떻게 보일까?기존에 만들었던 프로그램을 웹상에서 실행할 수 있게 다시 만들어 보았다.색 조명을 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을 이용해 가상으로 조명을 비추는 것처럼 세상을 볼 수 있다. 아래 링크에서 실행하면 된다. 이건 가로로 길게 나오는 가상조명 프로그램이다.https://sciencej.cafe24.com/html5/camlight/camlight.html아래 영상을 보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https://youtu.be/deyMPsbKK04 스마트폰에서 세로로 보려면 아래 링크에 있는 가상조명을 사용하면 된다.기능은 똑같다. 단지 세로로 나오는 것만 다르다.https://sciencej.cafe24.com/html5/camlight/ca.. 2024. 7. 28. 과학교사가 바라본 이집트 여행 - 과학 수업 학습자료 1. 여행시작 : 여행기간 2024.01.10 - 01.24 아이들 없이 아내와 단 둘이 거의 15년만에 떠나는 해외 여행 환승 포함 18시간 만에 이집트 카이로 도착 새벽에 도착해서 체크인 하고 시간이 많이 남아 이집트 박물관 관람 아내가 자유여행으로 준비해서 따라온 여행 하루만에 카이로에 적응 중 10차선 대로를 달리는 차들 사이로 무조건 건너야 함 처음에 눈치보다 우리만 못 건너고 있었음. 지금은 목숨걸고(?) 건널 수 있음 호텔밖에 빵빵 거리는 소리가 음악처럼 아주 크게 들림 이것도 적응 중. ^^ https://youtu.be/uz4dR0bJAhE2. 스핑크스 뒷면에 층리? 습곡?이집트 여행 중 스핑크스 구경하다 보니 뒷면에서 습곡 모양이 관찰된다. 습곡이라고 하기에는 규모가 작아서 층리로.. 2024. 7. 9. 물컵 회전 시키기 초간단 실험 (관성, 원심력) 기존에는 아래 링크처럼 CD케이스나 플라스틱으로 물컵 회전시키는 도구를 만들어 사용해 왔다.https://sciencelove.com/1891 CD케이스로 물컵 회전시키는 기구 만들기(관성,원심력)물컵을 회전시키는 기구를 만들기 위해서 예전에는 접시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실을 감아 만들었었다.그런데 막상 실험하기 위해 접시를 구하는 것 부터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교실에서 학생sciencelove.com 그런데 요즘은 CD케이스를 구하기 어렵다. 그리고 생각해 보니 반드시 플라스틱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어떤 형태로든 네모난 판만 있으면 된다. 그리고 한번 만들어서 오래 보관할 필요도 없다. 그래서 CD 케이스 대신 두꺼운 종이로 만들어 보았다.주변을 둘러보다 버려진 사과박스를 보니, 사과박스 종.. 2024. 6. 28. 소리 간섭 실험 – 노래에서 목소리 또는 MR 만 따로 듣기(노이즈 캔슬링) 소리를 듣는 다는 것은 한 곳에서 생긴 진동이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귀에서 감지해서 듣는 것이다.즉 음파는 공기를 매질로 해서 전달되는 종파형태의 파동이다. 과학적으로 소리를 듣는 원리를 알면 소리를 들리지 않게 하는 방법도 알아낼 수 있다. - 만약 매질인 공기를 없앤다면 음파는 전달되지 않는다. - 또는 공기가 진동하는 것을 못하게 하면 음파는 전달되지 않는다.(음파도 파동이기 때문에 간섭을 시키면 보강간섭과 상쇄간섭이 일어난다. 상쇄간섭을 만들면 음파를 없앨 수 있다.)이런 방법으로 공기의 떨림을 방해하는 것이 노이즈 캔슬링이다. 음파가 발생할 때 공기 입자가 진동하는 것과 반대방향으로 똑같은 진동을 만들어 주면 공기 입자들은 진동하지 않고 멈춰있게 된다. 즉 그네를 흔들때 반대쪽에서 똑.. 2024. 5. 15. MBC 연금복권 방송에서 방영된 눈으로 배우는 소리 실험실 MBC 연금 복권 방송에서 KISI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와 함께 개발한 눈으로 보는 소리실험실을학교현장에 적용하는 수업 모습이 방영 되었다연금복권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거라 연금복권 추첨 전에 간단하게 소개 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cgfDYC4KE00&t=57s지난달 1시간 정도 촬영해 갔는데학생들이 너무 즐겁게 수업에 참여해 주어서 수업하는 동안 너무 행복했다.1분 이라는 짧은 시간에 방영되어 학생들 수업모습이 다 나오지 못해 아쉽긴 하지만 즐거운 경험이었다. 개발된 눈으로 보는 소리실험실은 vlanon 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자세한 설명은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2738 눈으로 보는 소리 실험실 (Vlabon 가상실험).. 2024. 5. 4. 나무젓가락 이용하여 물병 걸기 (무게중심 이용) - 탐구자료 물병에 끈을 묶어 책상에 걸어 두려면 지지대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물병이 무겁기 때문에 지지대는 물병의 무게를 버텨야 하니까 지지대를 못질하거나, 무거운 물체로 눌러 놓아야 한다. 만약 못질을 할 수 없거나, 지지대를 누를 수 있는 물체가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방법은 간단하다. 매달린 물병의 무게중심을 책상위 지지점 보다 안쪽으로 들어오게 하면 물병은 떨어지지 않는다. 물병에 나무젓가락을 연결해서 물병 무게 중심을 지지점 보다 안쪽으로 위치하게 만들어 보자. 그럼 지지대를 눌러 주는 물체가 없어도 물병은 떨어지지 않고 버티게 할 수 있다. 지지대를 잡아 주는 것이 없으면 걸어 놓은 물병이 바로 떨어질 것 같은데, 떨어지지 않고 버티는 것을 보면 신기하다. 과학적으로 접근해 보면 너무나 .. 2023. 12. 20. 눈으로 보는 소리 실험실 (Vlabon 가상실험) 한국과학창의재단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에서 만든 눈으로 보는 소리실험실이다. 본 사업은 과학기술 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며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고 한다. 실험 전체과정을 필자가 제안해서 만들어진 가상 실험실이다. 비록 원했던 것이 모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중학교 소리관련 실험에서 소리를 녹음해 가며 파형을 비교하는 실험이 있는데, 별다른 앱 설치 없이 눈으로 보는 소리실험실 안에서 바로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을 직접 해 볼 수 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눈으로 보는 소리실험실은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직접 들어 보면서 과학적 원리를 학습할 수 있다. 파동의 성질을 가상실험을 통해 학습한 후, 음파에서 진폭과 진동수를 변화시켜 보며 소리가 어떻.. 2023. 12. 18. 주사위 놀이 학습 게임 - 중학교 과학 1,2,3 학년 용어 모음 주사위 놀이 학습 게임 - 중학교 과학 1,2,3 학년 용어 모음 중학교 과학 학년별로 전체단원에 나오는 용어들로 문제를 만들어 두었습니다. 학기말에 복습용으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1학년 과학 용어 모음 - 전체단원 (122문제) https://sciencej1.cafe24.com/html5/dicegame/dicegame1.html 2학년 과학 용어 모음 - 전체단원 (169문제) https://sciencej1.cafe24.com/html5/dicegame/dicegame2.html 3학년 과학 용어 모음 - 전체단원 (138문제) https://sciencej1.cafe24.com/html5/dicegame/dicegame3.html 사용된 과학용어는 재과만에 정영혜(하남중) 선생님이 올려주신 과학.. 2023. 12. 13. 조명색에 따라 달라 보이는 그림 관찰 실험- 택배박스 이용 교실에서 색깔이 있는 그림이나 색이 있는 물체에 RGB 조명색을 바꿔가며 어떤색으로 보이는지 관찰하는 실험이 있다. 이런 실험을 하려면 기본적으로 RGB 후레시가 필요하고 더 중요한 건 암실이 필요하다. 1년에 한번 사용하기 위해 RGB후레시를 준비하고, 교실을 암실로 만든 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암실만 만들 수 있다면 밝은 후레시가 없어도 실험은 가능하다. 그래서 학생들이 다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실험해 보기로 했다. 준비물은 택배박스, 스마트폰, 색이칠해진 종이만 있으면 된다. 택배박스 위쪽에는 스마트폰을 올려 놓고 빛을 비출 수 있는 구멍을 크게 뚫고 앞쪽에는 들여다 볼 수 있는 관찰 구멍을 작게 뚫어 놓으면 된다. 택배박스 위쪽을 스마트폰으로 덮고 관찰구멍에 눈을 바싹 대면 택배.. 2023. 12. 7. 거울반사 실험 - 얼굴 합성하기 놀이 예전에 교과서 집필할 때 개발했던 수업 방법이다. 두사람이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한사람이 거울을 들고 두사람의 중간에 거울을 위치 시킨다. 그리고 거울로 얼굴 절반을 가리면 두사람의 얼굴이 합성되어 한 사람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일단 영상을 보자. https://youtu.be/1y3PPH8s16s 평면거울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은 거울면에 대칭인 곳에 같은 크기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거울로 얼굴의 절반을 가리면, 위쪽에는 거울 뒷면에 있는 사람의 모습이, 아래쪽에는 거울에 반사된 거울 앞면에 있는 사람의 모습이 보이게 된다. 각도를 잘 맞춰서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해 보자. 촬영 각도를 잘 잡아야 한다. 그럼 둘의 얼굴을 합성해서 재미있는 영상이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누구와 누구의 얼.. 2023. 11. 12. 빛반사 활동 - 숨겨진 모양 찾기 프로그램(러더퍼드 산란 실험) 판 밑에 숨겨진 도형 모양을 예측하는 활동이다. 레이저를 비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경로를 확인해 가면서 덮개 아래 있는 물체의 모양을 예측해 보자. 덮개치우기 체크 버튼 추가-덮개를 치우고 하면 답을 맞추기가 더 쉬워진다. 덮개치우기 버튼을 잘 활용하면 빛반사에 대해 더 쉽게 이론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더 적게 눌러 보고 숨겨진 모양을 예측해 보면 된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rutherford/ 정답보기를 누르고 비밀번호 1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정답을 확인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를 드래그 하면 이동이 되고, 화살표 부분을 드래그 하면 회전이 된다. 발사 버튼을 누르면 레이저가 나간다. 정답확인하면 덮개가 사라지면서 자신이 예측한 .. 2023. 10. 24. 2022 과학과 개정교육과정 및 중학교 과학 성취수준 2022 과학과 개정교육과정 및 성취수준 입니다. 2023. 3. 19.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투과형 분광기 만들기2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투과형 분광기 만들기. 일단 아래 동영상을 보자. https://youtu.be/DWe9ks12p6A 기존에는 CD를 이용해서 스마트폰용 분광기를 만들었다. 그런데 최근에 CD를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 진다. 그래서 CD 대신 분광필름을 이용해서 분광기를 만들어 보았다. (분광필름은 교구사 에서 500line 짜리로 구입하면 된다.) A4용지에 전개도를 출력하면 2개의 전개도가 나온다. 반으로 접어서 풀로 붙인 다음, 실선을 따라 잘라내면 된다. 이때 검은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나중에 분광기 안쪽이 될 부분이다. 반으로 접는 이유는 종이를 어느 정도 두껍게 만들어 주고, 분광기 안쪽을 검은색이 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찰구멍을 잘라내고 그 자리에 분광필름을 붙인다. 처음에는 안쪽에 .. 2021. 11. 24. 표면장력 실험 모음 웅진씽크빅 과학쟁이 2011년에 기고했던 글입니다. 벌써 10년 전이네요 표면장력과 관련된 다양한 실험들을 시도해 봤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표면장력은 꽤 큰 힘을 발휘 합니다. 맨밑에 사진은 제가 좋아하는 표면장력 실험인데 물컵 위에 카드 올리고 카드위에 동전이나 무거운 물체 올리는 실험입니다. 원고 보내기 전에 샘플로 찍은 사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물컵에 물을 가득넣고, 책받침이나 카드를 이용해서 물표면을 덮습니다. 이때 절반은 물컵위에 절반은 물컵 밖으로 빠져 나와 있어야 합니다. 빠져 나온 카드위에 동전과 같은 무거운 물체를 계속해서 올려 놓아 얼마나 버티는지 실험해 봅니다. (사진은 급하게 찍은 샘플이라 고무찰흙통을 올려 놓았네요) 2021. 10. 18.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