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델의 유전법칙 우열의 원리와 분리의 법칙 공개수업 준비하다가 분리의 법칙을 쉽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이 떠 올랐다.
나무 젓가락을 이용해서 설명하는 방법이다.
나무 젓가락 1개를 유전자라고 하면, 나무젓가락은 2개(1쌍)가 있어야 완전한 개체가 된다. 그리고 판매를 할 수 있다.
나무젓가락 포장지를 뜯었는데 1개만 들어있으면 나무젓가락이라고 볼 수 없다.
우리도 엄마로 부터 1개 아빠로 부터 1개 유전자를 받아서 2개가 1쌍을 이루고 있어야 하나의 개체가 된다.
이 설명을 쉽게 하는 방법은 나무젓가락을 이용해서 설명하는 방법이다.

나무 젓가락을 1쌍씩 주고 포장을 시켜 보자.
길이가 긴 나무젓가락 1개의 유전자형은 T , 짧은 나무젓가락 유전자형은 t 라고 할때
긴 나무젓가락 2개는 긴 포장지에 넣으면 된다.(TT)
짧은 나무젓가락 2개는 짧은 포장지에 넣으면 된다. (tt)
그런데 항상 이것이 문제다. 긴 젓가락과 짧은 젓가락이 함께 있을때는 어떤 포장지에 넣어야 할까?
당연히 짧은 포장지에는 안 들어가니 긴 포장지에 넣어야 한다. (Tt)
유전자형(나무젓가락)은 다르지만 표현형(포장지)은 2가지로만 나타난다.
이때 긴 젓가락이 우성이다. 2개의 대립형질이 함께 존재할 때는 한가지 형질로만 보이는데 긴 포장지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가지 더,
표현형이 짧은 포장지이면 열성 즉 짧은 나무젓가락 2개(tt)가 들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긴 젓가락은 안들어가기 때문이다. 열성 형질이 표현형으로 나타나면, 유전자형은 열성 순종이다.
하지만 긴 포장지의 경우에는 긴것 2개가 들어있는지(TT), 긴 것과 짧은 것이 들어있는지(Tt) 정확히는 알 수 없다.
추가 교배를 시켜야 알 수 있다.

왼쪽 나무젓가락을 포장지로 덮게 하면 된다. 그럼 우열의 원리가 설명이 된다.
오른쪽 나무 젓가락이 잡종인 채로 2개가 있는데, 부모 나무젓가락에서 1개씩만 빼서 다시 포장한다고 했을 때 오른쪽 아래 그림처럼 나온다. 그래서 포장지로 포장하고 나면 표현형은 3:1 유전자형은 1:2:1 이라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