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러닝

하이러닝 AI 서∙논술형 평가 피드백 - 개별 확인 프로그램

by 민서아빠(과학사랑) 2025. 10. 29.

경기도 교육청에서 개발한 하이러닝 프로그램에 AI 서∙논술형 평가가 추가 되었다.

학생들이 작성한 서술형 또는 논술형 평가답안을 AI가 평가해 주고 피드백까지 해 준다.

AI 피드백을 바탕으로 선생님이 최종 점수를 확정하고 피드백을 작성해서 저장을 하면

학생들 개개인의 피드백을 출력해 줄 수 있다. 그런데 종이 낭비가 심하다.  

(아직 인터넷상에서 개인별로 피드백을 확인할 수 없어서, 출력해 줘야 한다. 나중에는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면 좋겠다. 혹시 내가 모르고 있는 걸지도...)

300명의 학생을 평가 했다면 개인별로 1장씩 300장을 출력해야 한다. 만약 AI 서∙논술형 평가를 10번을 봤다면, 3000장이 필요하다. 만약 모든 과목이 다 이렇게 사용한다면, 출력물의 수는 엄청나게 많아지고, 종이와 같은 자원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 

하이러닝에서 AI 서∙논술형 평가 채점이 끝난후 내려받은 결과 엑셀파일에서 필요한 내용만 복사해서 구글스프레드 시트에 넣어 주면 된다. 

<미리보기>


일단 아래 링크에 가서 학생입장에서 학생용 확인프로그램을 테스트 해 보자. 

테스트용 아이디와 패스워드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입력해 보기 바란다.

김정식, 1

허명성,1

김민서,1

http://edgo.kr/dkpBX

스마트폰에서 QR코드를 인식해서 확인할 수도 있다. 


그럼 아래 구글스프레드 시트에 들어있는 내용들이 나타난다.



<만드는 방법> - 우리반 피드백을 만들어 보자.


1) 아래 링크에 있는 구글스프레드 시트 사본을 복사해 간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xWXBhtlvLt407Kb7XZaQh1IFl-EpGF5kfaJ30Ap6Nug/edit?usp=sharing

사본 복사할 때 Apps Scripts 파일도 함께 복사 된다.

적당한 이름을 입력한 후 사본 만들기를 하면 된다. 

나중에 구글스프레드 시트에 내용을 우리반에 맞게 바꿔 주면 된다. 지금은 우선 웹배포까지 진행해 보자. 



2) 사본이 만들어 지면 위 메뉴 중 확장 프로그램 – Apps Scripts를 선택한다.



3)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학생 검색창에 나올 내용을 바꾸고 싶으면 Index.html 에 가서 아래 붉은색으로 되어 있는 설명 부분을 수정하면 된다. (일단 이건 그냥 넘어 가자)

이곳에 있는 내용은 제목과 설명문이다. 자신의 학교에 맞게 수정하기 바란다.

수정하고 나면 반드시 프로젝트 저장을 한다.

- 구글스프레드시트를 공유할 필요 없다. 그냥 비공개로 두면 된다. 그래서 프로그램을 통하지 않고 구글스프레드시트에 절대 접근할 수 없다. 



4) 배포-새배포를 누른다.



5) 새설명에 제목을 넣고 웹앱과 엑세스 권한은 그림처럼 설정하고 배포를 누른다.



6) 처음 한번은 엑세스 승인을 해 주어야 한다.   

엑세스 승인을 누르고 본인 계정을 선택한다. 

-  앱스크립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엑세스 승인 하라는 창이 열린다. 그럼 본인 계정을 선택하고 승인해 주면 된다. 



7) 계정을 선택하면 경고창이 뜬다. 당황하지 말고 권한설정을 해 주면 된다.

 - 보안창이 뜨면, 고급을 누르고 아래 안전하지 않음으로 이동을 누르면 된다. 


8) 한번 더 물어 오는데 이때 허용을 누르면 된다. 한번만 설정해 주면 다시는 묻지 않는다.



9) 다 만들어 졌다. 창에 보이는 웹앱 링크 주소를 복사해서 공개 하면 된다. 

필요하면 링크 주소를 http://edgo.kr에 가서 짧게 줄여서 보내주면 좋다. 

 - 만들어진 링크 주소는 추후에 확인할 수도 있지만, 즐겨찾기 하거나 잘 보관해 두는 것이 좋다. 


10) 만들어진 링크 주소로 접속해서 테스트 해보기 바란다

https://script.google.com/macros/s/AKfycbzJcQAPCScg7qb3TV3_FeklmYwfr1b_yveTbxnitU6Q5vXWZAV3Sf2QZ1yzRuRPiI8FoQ/exec


<구글스프레드 시트에 학생 데이타 입력 방법> - 데이터를 우리반에 맞게 수정


 1) 잘 작동하면, 구글스프레드시트 내용을 확인시키고자 하는 내용으로 바꿔 보자.



 2) 주의 할 것은 A열은 이름(아이디)이 되고, B열은 비밀번호(암호)가 된다.

학생들이 A열 내용을 입력하고 B열 내용을 암호로 입력해서 일치하면 C열부터 입력된 내용이 모두 학생에게 보여지게 된다. 

 (비밀번호는 생년월일을 넣어 줘도 된다. 만약 생년월일이 노출되서 다른 학생이 볼 수 있는 걱정이 된다면, 조금 복잡하긴 하지만 생년월일(4자리와)+부모님 전화번호(4자리)를 넣어 8자리 비밀번호를 만들어 주면 좋다.

필요하면 학생이 원하는 비밀번호로 바꿔 줘도 된다.

구글스프레드시트에서 내용을 바꾸면 확인 프로그램에 바로 적용이 된다.

 

3) 사본 복사한 구글스프레드시트에는 F열까지만 있지만, 계속 추가해서 내용을 적으면 학생이 확인 할 때 모든 내용이 다 보여지게 된다. 


예를 들어 채점기준별 점수를 보여 줄 수도 있다. (단 성적과 같이 예민한 내용을 넣을 때는 주의하도록 하자. 암호가 쉽게 노출되는 경우에는 지양하는 것이 좋다.)

4) 중요한 내용을 보여주고자 할 경우에는 B열 암호를 다른 친구들이 알 수 없는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 학생이 원하는 비밀번호로 개별적으로 바꿔 줄 수도 있지만 권장하지는 않는다.

  문제가 될 만한 너무 민감한 정보는 넣지 말고, 비밀번호는 위에서 안내한 대로, 생년월일+부모님전화번호 조합 정도면 다른 친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다.

5) A열과 B열 제목을 바꾸면 학생들 확인 프로그램에서도 바뀐 제목이 나온다.  

구글스프레드시트 내용만 바꾸면, 성적 확인이나, 다른 것도 확인할 수 있다.

규칙은 첫번째는 이름, 두번째는 암호만 입력하고, 나머지 뒤에 내용은 원하는 것으로 추가하면 된다.

예를 들어 국어,영어,수학,전과목 성적을 총점과 피드백을 지우고 넣어 주면 이름과 비밀번호만 맞으면 나머지 내용을 모두 볼 수 있다.

반대로 총점을 지우고 피드백만 남겨 두면, 피드백만 볼 수 있다.

참고로 제목행을 바꾸면 학생 확인 프로그램에서 나오는 화면도 바뀐다.

비밀번호를 생년월일로 바꾸면, 화면에도 비밀번호 대신 생년월일로 나온다. 

제목을 아이디 암호로 바꾸면 조회 프로그램에도 이름과 비밀번호 대신 아래 그림 처럼 아이디와 암호로 나온다.


<마치며>

하이러닝 AI 서∙논술형 평가 피드백을 종이에 출력해 주지 않고도 확인시킬 수 있어서 좋다.

계속 평가할 때 마다 프로그램을 사본 복사해서 만들어도 좋지만, 학기초에 한번 만들어 두고, 평가를 할 때 마다 기간을 정해 주고 활용하면 된다. 다음 평가를 하게 되면 프로그램을 다시 만들 필요없이 구글스프레드 시트안에 내용만 바꿔 줘도 좋다.

그럼 매번 만들 필요 없이, 학기초에 반별로 1개만 만들어 두고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구글스프레드시트에 내용이 바뀌면 지나간 내용은 볼 수 없다는 것만 안내하면 된다.

학생입장에서 피드백 내용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면 학생 개인별로 결과 화면을 복사해서 보관하도록 안내하면 될 것이다.

필요하면 사본 복사해서 문제마다 확인용 프로그램을 새로 만들어 줄 수도 있다. 

 

<추가>

1. 하이러닝에서 AI 서∙논술형 평가 하는 방법과 하이러닝에서 엑셀 파일 가져오는 방법은 하이러닝 메뉴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