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없이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웹용 추가로 만들어 올려 놓았습니다.
약간 기능이 떨어지지만 다운로드 없이 실험할 수 있습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lens/lens.html
학생에게 안내하는 설명이나 가상실험 링크는 아래 학생용 링크를 소개해 주세요.
https://sciencelovestudy.tistory.com/38
렌즈 작도 프로그램입니다.
올해 개정교육과정 부터 볼록렌즈 작도하는 방법이 포함이 되었네요
그래서 작도를 쉽게 가르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자동으로 렌즈에 의해 생기는 상을 찾아주는 프로그램이 아닙니다.(기존에 많이 나와 있지요)
물론 확인하기를 누르면 상이 어디에 생기는지 알 수 있지만 그걸 원하는게 아니라
학생들이 직접 조작해 보면서 렌즈에 의해 생긴 상의 위치를 찾아보는 프로그램입니다. 착오 없으시길...
2.6으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정답확인에 체크해 놓으면 자동으로 상이 작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초록색 화살표의 위치를 원하는 곳으로 옮긴다음
빨간색 선을 마우스로 회전시켜서 초록색 화살표 끝에 맞추면 됩니다.
그럼 광선들이 만나는 곳에서 상이 생기겠지요.
확인하기 버튼을 눌러 맞았는지 틀렸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실상과 허상에 대한 것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또 볼록렌즈 초점거리보다 가까운 곳에 물체가 있으면 실상이 생기지 않는 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눈 가까이 있는 물체는 뚜렷하게 볼수가 없는 거지요)
눈의 수정체와 망막사이의 거리와도 비교해가면서 설명해 주시면 좋습니다.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함께 할 수 있도록 해서
몇번 하다보면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평면유리에서는 상이 생길 수 없습니다.
아래 사이트에 있는 출력물과 함께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http://sciencelove.com/1153
스마트폰 용 앱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341
<추가> 볼록렌즈로 뒤집어진 큰상을 평상시에 쉽게 볼 수 없는 이유는?
실상은 실제 물체가 그 위치에 있는 것과 같다. 즉 실상이 만들어지면 그게 렌즈에 의해 만들어 진 상인지, 아니면 실제 그 위치에 실제 물체가 있는 건지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만들어진 실상을 보려면 눈의 위치는 실상보다 뒤쪽에 있어야 한다.
그런데 보통 우리는 볼록렌즈를 손에 들고 물체를 관찰한다. 그러면 뒤집어진 큰 상은 우리 뒤에 가서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볼 수 없는 것이다. 초점거리가 짧은 볼록렌즈를 세워두고 멀리 볼록렌즈에서 멀리 떨어져서 보면 뒤집어진 큰 상을 볼 수 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The Darkness 2014.07.07 09:3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렌즈 작도 교수할 때 편하게 만드셨군요.
잘 사용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시길...
감사헤요 2016.04.28 18:1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감사합니다 저희선생님도 거울이랑 렌즈 작도 프로그램쓰시는거봐서 작도하는거 더 잘알게되었어요.
도움이 되시길... ^^
감사합니다 2016.10.02 16:0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드디어 궁금증이 해결되었어요!
^^
서쌤 2019.11.29 00:3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정말 훌륭한 프로그램 만드셨네요. 감사히 잘 쓰겠습니다.
작은 공부방을 운영중에 있는데 덕분에 아이들에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도움이 되신다니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2020.12.04 12:1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비밀댓글입니다
현관문 관찰구멍 렌즈는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https://sciencelove.com/2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