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 선덕여왕 월식 장면의 과학적 오류 2009년에 작성한 자료입니다.요즘 선덕여왕을 즐겨 보고 있다.'월식이 일어나면 달의 어느쪽 부터 가려질까요?' 라는 질문에대부분 학생들과 선생님들이 바로 오른쪽이라고 답한다.이유는 그저께 방송된 선덕여왕의 월식 장면에서 오른쪽 부터 가려지는 걸 봤다고 한다.그런데 선덕여왕의 월식 장면에는 과학적 오류가 있다.우리나라에서 보는 월식은 달의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 부터 가려지는 것이 맞다.많은 시청자가 보는 프로그래미인데 조금 더 과학적으로 세심하게 배려를 해 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선덕여왕에서 본 월식의 과학적 오류를 보면1. 달이 왼쪽부터 가려지게 고쳐야 한다.2. 실제 월식이 일어나면 달도 상당히 많은 거리를 이동해 가야 한다. 달이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그렇게 빨리 월식이 일어날 수는.. 2013. 4. 20.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지구자전공전송) -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입니다. 아래 사이트에 가시면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7단원 수업시작할때 마다 틀어주면 분위기도 좋아지고 내용도 좋네요 http://www.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jsp?regno=SONG2009080003 가사보기 하루에 혼자 한바퀴 자전, 일년에 태양 한바퀴 공전 지구 따라 한바퀴 돌아볼까, 천구 한바퀴 돌아볼까 지구를 둘러싸고 반지름 무한한 가상의 구면 천구 지구의 북극과 남극 연장한 점이 천구의 북극과 남극 적도면 연장해 천구와 만나는 선이 천구의 적도 내 머리 위 수직으로 천정, 발 아래 방향에 천저 내 주위 멀리 지평선, 천구의 북극남극 천정천저 잇는 자오선~ 하루에 한바퀴 돌아 천구에서 다 돌아 태양도 달.. 2013. 4. 20.
태양계 운동 관련 교육용 소프트웨어 공모전 입상작 http://cont122.edunet4u.net/~khrsso03/ 제12회 교육용 소프트웨어 공모전에 입상한 작품입니다. 김형열 선생님이 제작하셨네요 7단원을 수업할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구요 학생들 집에가서 공부해 보게 숙제 낼때도 유용할 것 같네요. 2013. 4. 20.
달의 위상 변화 관찰 프로그램 달의 위상변화를 관찰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반드시 다운을 받아서 저장을 하신후 실행하세요. 오른쪽 화면에 보이는 모습은 같은시간에 벌어지는 상황을 관측자 위치에 따라서 나타낸 모습입니다. 오른쪽에서 원하는 화면을 누르면 가운데 화면에 그 화면이 크게 나타납니다. 관측자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관찰해 보면 이해하기가 더 쉽답니다. 배경색은 검은색으로 했을때 달의 일부만 보여서 회색으로 바꿀수 있도록 했습니다. ESC를 누르면 종료됩니다. 달의 위상변화 가상실험 및 스마트폰용 앱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346 2013. 4. 20.
태양계 탄생 동영상 - 모든 행성이 같은 방향으로 공전 한다는 것 설명 모든 행성이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할 때 좋습니다. 공전 뿐만 아니라 자전방향도 같지요. 단 금성만 자전방향이 반대라고 하네요. 해왕성은 거의 90도로 누워 있지요. http://www.youtube.com/v/qfdDWdZcpOw 2013. 4. 20.
필름통 속의 지구와 달의 공전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동영상 추가해 올립니다. 그냥 단순하게 잔상효과를 이용해서 보는 의미 밖에 없습니다. https://youtu.be/PkATMlhwxNU 2013. 4. 20.
<추천>천체 운동 가상실험-내행성,외행성,일주운동등 지구자전으로 생기는 모든현상 설명 위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실행하면 된다. 학생들이 어려워 하는 천체 운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이 프로그램 하나로 다 설명할 수 있다. 매시간 마다 조금씩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명하다 보면 나중에는 학생들이 화면만 떠도 '아 또 이거 ' 라고 말할 정도로 친숙해 진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solarsystemmotion/solarsystemmotion.html * 원래 천체에 관련된 수업을 하다 보면 태양도 돌고, 지구도 돌고, 달도 돌고, 학생들 머리도 돌아 버린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하나씩 매시간 따라 하다 보면, 어느 순간에 학생들이 지구가 자전하는 것 부터 자연스럽게 받아 들이기 시작한다. 일회성이 아니라 매시간 같은 원리를 가지고 반복할 수 .. 2013. 4. 20.
금성이 태양을 가릴때 행성들에 의한 일식장면들 아래 사이트 참고 http://blog.empas.com/buddhalove/read.html?a=29683944 2013. 4. 20.
부분일식-2007년 3월19일 11시30분경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촬영에 성공했습니다. 3교시 끝나고 쉬는 시간에 운동장에 나가서 자동으로만 찍다가 태양일식 찍으려고 오전내내 수동모드 공부했습니다. 결국 카메라 렌즈 앞에다 디스켙속지 2장 붙이고 수동모드로 놓고 조리개 F8.0 으로 열고 셔터속도는 1/2500(최대)로 하고 거리는 무한대로 놓고 찍어 보았습니다. 생각처럼 쉽지는 않네요. 두번째 사진은 우주공간에서 찍은 일식이 일어날때 지구표면 사진이라는 군요 2013.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