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이 든 시험관 속의 물 끓이기 (대류) 시험관 속에 물을 넣고 작은 얼음을 넣어 가라앉게 합니다. https://youtu.be/txZTX9kmtb4 그리고 시험관 위쪽을 알콜램프로 가열하면 아래쪽에 얼음은 녹지않고 그대로 있는데 시험관 위쪽 물은 끓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물의 대류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뜨거워진 물은 위쪽으로만 올라가려고 하기 때문이지요 가라앉는 얼음을 시험관에 넣기 위해서 고민하다가 일회용 비닐장갑을 생각해 냈습니다. 일회용 비닐장갑 손가락 부분에 클립과 물을 넣고 얼리면 시험관 속으로 가라앉는 얼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얼음을 자를때는 쇠자등을 이용해서 내리치면 쉽게 잘라지내요. 추가 시험관 속에 넣을 수 있는 얼음을 쉽게 얼리는 방법을 또 생각해 봤습니다. 1회용 커피 봉지를 이용해도 쉽게 .. 2013. 3. 21. 손바닥 체온으로 바람개비 돌리기 - 대류 손바닥 체온을 이용해 바람개비를 돌리는 실험입니다. https://youtu.be/-d_6X2DJBwY 준비물이 간단해서 어디서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단 주변에 공기의 흐름에 민감한 실험이라 학생들의 움직임이 많거나, 온풍기를 틀었을 경우에는 잘 안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전개도를 다운받은 후 출력하면 미니 바람개비 전개도가 나옵니다. 칼이나 가위로 잘라 바람개비 모양으로 접은다음 샤프심 위에 올려 놓고 하시면 됩니다. (볼펜이나 다른 도구보다는 샤프심(흑연) 위에서가 가장 잘 됩니다.) 올려지는 미니 바람개비는 많이 접어서 안정되게 올려지는 것 보다(너무 안정되면 잘 돌지 않습니다.) 약간 아슬아슬 하게 올려지는 것이 효과가 좋습니다. 사람의 체온에 의해서도 공기의 대류가 생겨 바람개비가 돌 수 있.. 2013. 3. 21. 잉크를 이용한 액체의 대류 실험 동영상 동영상 다운받기 유투브 영상을 보고 액체의 대류 실험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영상처럼 잘 되지는 않네요 https://youtu.be/yWb38X1-jJg 몇번의 시행착오 끝에 붉은색 잉크를 데워서 뜨거운 물에 섞고 파란색 잉크는 얼음물에 담가서 식힌다음 얼음물에 담았습니다. (처음에는 잉크를 물에 안섞고 했는데, 양이 적다보니 잘 표가 안나고 시간이 오래 걸리네요) 그리고 수조의 물은 미지근하게 만들었습니다. 양쪽에서 동시에 수조에 부었더니 잉크가 퍼지면서 대류(?)가 일어나네요 뜨거운 붉은색 잉크는 떠오르고 차가운 파란색 잉크는 가라앉는걸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해보니 시간이 1분에서 2분정도 걸립니다. 잉크가 확산되어 퍼져나가는데 시간이 걸리는 것 같네요 얼음물에 담갔던 파란색 잉크는 더 천.. 2013. 3. 21.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열의 이동송과 부피변화송 LG사이언스래늗에서 제공하는 부피 변화송 http://www.lg-sl.net/index.jsp?returl=/GameQuiz/SNCSong/SNCSongView.jsp%3Fregno%3DSONG2009070001%26mode%3DS1 열의 이동송 http://www.lg-sl.net/index.jsp?returl=/GameQuiz/SNCSong/SNCSongView.jsp%3Fregno%3DSONG2008100001 가사보기 따끈따끈 따뜻한 겨울 시원시원 시원한 여름 바깥은 반대인데 집안은 왜 거꾸로일까 방바닥을 따뜻하게 해 온도를 올려주면은 더워진 공기 위로 올라가니 따뜻해 이런게 열이동이란걸 지금부터 하나씩 알게 될꺼야 열의 이동을 온도가 낮은 물체들은 더높은 물체를 만나 열을 얻어 자기 온도 올라.. 2013. 3. 21. 열과 에너지에 관련 임시 정리 생각나는대로 임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줄근 것은 만들거나 자료를 찾아서 올려놓은 것 들입니다. 1. 바이메탈 - 형광등 전자스타터(글루스타터) 이용 바이메탈 실험 2. 뜨거워진 못 빨리 잡기 - 전도이용 - 적외선 온도계로 검증 3. 보온병의 원리 - 전도, 대류, 복사 원리 설명 4. 체온으로 돌리는 바람개비 - 대류 5. 라디오미터 - 대류, 분자운동 6. 무아레 무늬 이용한 고체팽창 7. 시온잉크 이용한 대류 8. 끓는 시험관 얼음 9. 라이타 속으로 손가락 지나가기 10. 알루미늄캔에 화장지 감고 불붙이기 11. 알루미늄테이프와 구리테이프 마주붙여서 바이메탈 만들기 (실패 - 접착부분이 타고, 너무 얇아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12. 껌종이 바이메탈(?) 13. 스카치테이프와 종이를 이용한 바.. 2013. 3. 21. 대류에 관한 유투브 동영상 대류현상에 관한 유투브 동영상입니다. 작은 미니어항에 뜨겁게 데운 잉크와 차가운 잉크를 동시에 떨어 뜨리네요 실험방법이 간단하면서 효과가 있어 보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실험해 보니 잘 안됩니다. 어항 아래를 보니 통이 2개가 있는데 혹시 왼쪽통은 뜨겁게 달궈져 있고, 오른쪽 통은 차갑게 되어 있는 통을 놓은게 아닌가 생각 되네요 2013. 3. 21. 액체의 대류에 대한 가상실험 - 열평형, 분자운동실험 가능 열전달 방법 중 액체의 대류에 대한 가상실험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분자를 300개를 사용했구요. 실제와 비슷하게 시뮬레이션 해 보았습니다. 불켜기를 하면 중력에 의해 분자는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뜨거워진 분자는 위쪽으로 올라갑니다. 분자끼리 충돌하면서 주변 분자에 열이 전달되기도 합니다. 분자의 속력이 빠를수록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실제로 가상실험을 해보니 순식간에 빨갛게 변하고 분자 속력이 너무 빨라져서 약간의 꽁수를 두었습니다. 분자들이 시간이 지나면 속력이 줄면서 식게 만들었습니다. 그랬더니 한참동안 시뮬레이션을 해도 볼만하네요 처음에 만들때 대류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고민했는데 나중에 소스를 살펴보니 중력효과를 적용하지 않아서 그랬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래서 무중력 상태에서 어떻게 되는지 볼 수.. 2013. 3. 21. <수업설명팁>교실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온도와 열에 대한 실험 - 열평형 제가 수업시간에 자주 사용하는 질문입니다.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모든 물체는 열평형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온도가 같아질 것입니다. 열평형에 대한 것을 가르친 다음 여기서 문제 "아침에 제일먼저 교실에 들어와 보면 교실에 있는 물체 중 어떤것이 온도가 제일 높고, 어떤 것이 온도가 제일 낮을까?" 그리고 학생들에게 나무로 된 책상 윗면과 쇠로된 책상 다리를 만져 보게 합니다. 그리고 다시 질문 "어떤 곳이 온도가 더 낮을까?" 대부분 학생은 쇠로 된 책상다리가 온도가 더 낮다고 말합니다. 이유는 만지면 책상면 보다 더 시원하거든요. 하지만 사실은 책상면이나 책상다리나 밤새도록 방치되었기 때문에 열평형이 일어나 같은 온도이어야 합니다. 그런데 왜 책상다리가 더 차가운.. 2013. 3. 21. 광합성작용과 필름을 이용하여 식물 잎에 사진찍기 광합성 작용과 흑백필름을 이용하여 식물잎에 사진을 인화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_C12usotq5g (흑백필름만들기는 아래사이트 참고) https://sciencelove.com/1509 사진 필름 만들기 프로그램 - 웹캠 필요 웹캠으로 사진을 찍으면 찍은 사진을 흑백 필름으로 만들어 줍니다. 변해가는 과정도 볼 수 있습니다. TP 용지에다 레이져프린터로 인쇄할 수 있습니다. 인쇄를 하면 필름 1장이 인쇄되는데 자외 sciencelove.com 화단에 있는 쌍떡잎식물 잎에 흑백필름을 붙여 놓고 하루가 지난후 햇빛이 강한 오후 3시경 잎을 땁니다. 그래야 광합성으로 이미 만들어져 있던 녹말이 밤에 설탕으로 바뀌어 체관을 통해 이동해서 잎에 남아있던 녹말이 사라지게 됩니다. (본 영상.. 2013. 3. 21. 이전 1 ··· 203 204 205 206 207 208 209 ··· 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