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명을 이용한 포도주잔 깨기 포도주잔 깨기 2008. 8. 12. 음속돌파 (소닉붐) 소닉붐 2008. 8. 12. 투명망토 영상 - 본다는 것은 투명망토 영상 2008. 8. 12. 세계 최대 운석충돌 구덩이들 세계 최대 운석충돌 구덩이들 지구상 유명한 운석 충돌 구덩이 10개를 모아보았습니다. 아래 사이트 가면 볼 수 있습니다. http://blog.empas.com/blueeun34/28931147 http://geology.com/articles/vredefort-dome.shtml 운석구덩이를 구글지도에서 볼 수 있는 사이트 http://geology.com/meteor-impact-craters.shtml 2008. 8. 12. 구슬 만화경 만들기 이천 과학 축제때 구슬을 이용한 만화경 만들기 부스를 운영하였습니다. 일반적인 만화경과 달리 끝부분을 유리구슬로 마무리를 하면 실제 바깥에 보이는 상을 가지고 만화경을 만들 수 있답니다. 2008. 8. 12. 자외선 조사카드를 이용한 청사진 만들기 이천지역 과학축제때 자외선 조사카드를 이용해서 청사진 만들기 부스를 운영해 보았습니다. 과학축제 부스 아이디어를 구상하다 자외선 조사카드를 사용해서 어렸을때 했었던 청사진을 만들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답니다. 자외선 조사카드를 이용하면 몇번이고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008. 8. 12. 휴대전화 앞에서 벌벌떠는 꿀벌들.. 재미있는 기사네요. 벌들의 개체수가 휴대전화때문에 줄어든다고 하네요 잘 연구하면 산에서 벌에게 공격당할때 휴대전화를 사용해도 되려나(?) 아래는 중앙일보에 실렸던 기사내용입니다. [중앙일보 송의호]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꿀벌의 생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주는 실험이 이루어졌다. 꿀벌연구소를 운영하며 양봉을 하는 안상규(47)씨는 9일 “최근 국내외에서 꿀벌 개체 수가 줄어드는 원인을 밝히기 위해 꿀벌 주변에서 휴대전화로 통화하며 습성을 관찰한 결과 휴대전화가 없을 때와 크게 달라지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안씨는 벌수염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인물이다. 미국 농무부는 2006년 하반기에 꿀벌 개체 수가 25∼40%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국내 감소율은 10%쯤으로 추산된다. 국내 벌통 수는 .. 2008. 8. 12. 사마귀의 놀라운 위장술 사마귀의 놀라운 위장술 2008. 8. 12. 학생들 사진을 모아 그림을 학생들 사진을 모아 그림을 그려보았습니다. 233명의 증명사진을 사용했구요 실제 화면에 그려진 얼굴수는 22500개의 증명사진이 얼굴이 그려져 있습니다. 나중에 전교생 증명사진을 모아 의미있는 그림(교장샘 얼굴(?))을 만들어야 겠습니다. 일단 테스트 하는 마음으로 만들어 보았는데 조금 더 다듬으면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화면의 사진을 누르시면 좀더 확대해 볼 수 있습니다. 반아이들 사진을 모아 담임샘 얼굴을 만든다거나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첨부화일을 열어서 확대해 보시면 그림이 아이들 증명사진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08. 8. 12. 이전 1 ··· 277 278 279 280 281 282 283 ··· 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