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1

눈으로 보는 과학 티셔츠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회전하는 동전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파동이 전파될때 에너지는 어떻게 변할까?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정전기 방지 열쇠고리 탐구주제 정전기 방지 열쇠고리 교과영역 물리 관련단원 중1 여러 가지 힘, 중2 저항의 직렬 연결 활동준비 준 비 물 : 정전기 방지 열쇠고리, 마찰전기 실험 세트 구입방법 : 이마트, 자동차 용품점 소요경비 : 6,000원 활용방법 정전기 방지 열쇠고리를 보여 주고 어디에 쓰이는 물건인지 생각해 보게 합니다. 털가죽을 이용하여 에보나이트 막대를 대전시킨후 정전기 방지 열쇠고리와 접촉시켜 정전기 방지 열쇠고리 안에서 순간적으로 불이 들어오는 것을 보여줍니다. 왜 그런지 생각하게 합니다.(정전기 방지 열쇠고리 안에 불이 들어왔다는 것은 전류가 순간적으로 흘렀다는 것을 뜻합니다 - 이 실험은 성공률이 매우 낮으므로 불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에는 이론적으로 설명해 주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TV를.. 2013. 6. 24.
신기루(미라주)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활용방법 신기루(미라주)에 물체를 넣고 학생들에게 관찰 시킵니다. 적당한 각도에서 봐야만 실상이 잘 보이므로 전체 학생들이 한꺼번에 보는 것 보다는 몇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관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교사가 적당한 각도를 유지한 채로 책상과 책상사이를 한바퀴 돌면서 보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학생들이 모르는 상태에서 그 위에 보이는 물체를 잡아 보라고 하면 효과가 더욱 좋습니다. 학생들은 당연히 물체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손에 잡히지 않으면 당황하게 됩니다. 실제로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왜 그런지를 생각해 보게 하면서 본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이야기 하도록 유도합니다. (본다는 것은 빛이 물체에 반.. 2013. 6. 24.
말하는 줄(소리나는 줄)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탐구주제 말하는 줄(소리나는 줄) 교과영역 물리 관련단원 중1 소리의 성질 종이컵 또는 플라스틱 컵 밑에 송곳으로 작은 구멍을 뚫습니다. 작은 구멍에 소리나는 줄을 끼우고 고정시킵니다. 고정시키기 힘들면 손으로 빠지지 않게 잡아도 되지만 가능하면 스카치 테이프나, 클립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고정이 끝나면 소리나는 줄이 종이컵에서 빠지지 않게 잘 잡고, 손톱으로 소리나는 줄을 위에서 아래로 훓어 내리면서 소리가 나는지 확입합니다. 학생들에게 소리가 나는 것을 들려주고, 왜 소리가 나는지 생각하게 합니다. (소리나는 줄에 홈이 파져 있고, 손톱으로 훑을때 홈 때문에 진동이 생겨 소리가 난다는 것.. 2013. 6. 24.
UFO 볼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요즘은 UFO 볼 을 구하기 어렵네요 에너지스틱 으로 검색하시면 같은 역할을 하는 실험도구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2. 활용방법 가. 중학교 2학년 7.전기 단원에서 전류를 설명할 때 보여줄 수 있다. 나. 내 몸속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유의점 UFO 볼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조심한다. 떨어뜨리면 내부가 분리되어 실험할 수 없게 된다. 4. 과학적 원리 가. UFO 볼 : 볼 내부에 전원이 있어 폐회로가 만들어지면 환상적인 불빛과 소리가 나서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완구이다. 나. 배경과 원리 1) 물질에는 구리나 철과 같이 전류가 잘 흐르는 도체와, 나무 ․고무처럼 .. 2013. 6. 24.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하나로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금속 탐지기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고정화된 자기력선 만들기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플라즈마 볼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진공 실험장치의 이용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자기 부양 팽이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손으로 끓이는 액체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상호유도 실험 장치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NON-SLIP-PAD 마찰력을 이용한 상품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2013. 6. 24.
동영상 변환 프로그램 (다음 팟 인코더) 여러가지 인코더를 사용해 보았는데 다음팟 인코더가 사용하기 좋네요 다음팟인코더 주소 http://tvpot.daum.net/encoder/PotEncoderSpec.do 다음에서 만든거라 믿을만하고 사용법도 간단하고 사용해 보니 속도도 꽤 빠른 것 같습니다. 동영상을 flv 형태로 바꿀때도 간편하고 좋네요 2013. 6. 24.
편집이 가능한 초간단 화면캡쳐 프로그램 (open capture) - 시험출제할 때 유용하게 사용 최신버전도 있지만, 이곳에 올려놓은 옛날 버전이 설치할 필요도 없고, 프로그램도 가벼워서 전 최신버전 사용하지 않고, 이것만 사용합니다. 참고하세요 오픈캡쳐 1.33 사용법 시험문제를 출제하거나 컴퓨터용 매뉴얼을 만들 때 정말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면캡쳐 프로그램이다. 설치작업도 없이 실행파일 하나만 클릭하면 곧바로 실행된다. 최근에 설치해야 하는 업그레이드 된 오픈캡쳐 프로그램도 나오지만 사용해 본 결과 오픈캡쳐 1.33 버전이 설치할 필요도 없고 용량도 작아서 가볍고, 사용법도 간단해서 어떤면에서는 더 좋다. 캡쳐방법도 ‘윈도우 캡처’ 등 다양한 종류의 캡쳐 방식이 있다.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캡쳐할 영역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 하나만 알면 된다. 간소하긴 하지만 이미지의 편집 기.. 2013. 6. 24.
동영상 Flv로 변환하는 프로그램(any video convetor) 프로그램 다운받기 http://www.any-video-converter.com/ 동영상을 Flv로 변환해 주는 무료 프로그램입니다. 제가 사용해본것 중에 가장 좋으네요 또 이 프로그램으로 변환을 하면 책앨범이나 플래시 학급앨범에서도 동영상이 제대로 나옵니다. ----------------- 사용법 ------------------------- any video convetor 사용법 1번위치에 Add Video 버튼을 눌러 변환할 동영상을 불러 옵니다. 2번위치에 변환하고자 하는 동영상이 들어왔는지 확인한다. 3번위치에 Profile에 가서 Flv 영상으로 선택한다. 4번위치에 가서 Video option을 바꾸어 준다. 이때 유의할 점은 Video Bitrate 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화질이 달.. 2013. 6. 24.
섬광사진(운동분석) 가상실험 프로그램 섬광사진을 통해 운동을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웹상에서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가상실험은 아래 링크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stroboscope/stroboscope.html 빛이 터질때만 공의 흔적이 남습니다. 따라서 운동이 빨라지면 공의 간격이 넓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공의 간격이 일정하면 등속운동이라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 중력이 작용하면 공의 간격이 달라지는 것도 확인 가능합니다. 수업시간에 활용방법 1. 섬광사진의 원리 확인 2. 섬광사진 터지는 시간에 따라 똑같은 운동이라도 공의 갯수가 변한다는 것 교육 3. 공의 간격을 비교하여 등속운동 설명 4. 중력효과를 넣어 포물선 운동이나 자유낙하 운동 설명 등등 최근에 .. 2013.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