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중부양자석(과학완구) 이천중학교 과학교육선도학교에서 재미있는 과학수업을 위해 2010년에 개발한 자료 입니다. 2013. 6. 24.
대형 종이테이프를 이용한 속력실험분석 이천중학교 과학교육선도학교에서 재미있는 과학수업을 위해 2010년에 개발한 자료 입니다. 2013. 6. 24.
흑백필름이용 광합성 사진만들기 이천중학교 과학교육선도학교에서 재미있는 과학수업을 위해 2010년에 개발한 자료 입니다. 목적 흑백필름을 나뭇잎에 붙이고 광합성을 시켜 광합성 결과물을 이용해 잎에 사진을 인화시킨다. 실험준비 1. 관련단원 : 중학교 1학년 6단원 식물의 영양 2. 준 비 물 : 흑백필름 또는 흑백필름이 인쇄된 OHP필름, 살아있는 식물잎, 스카치테이프, 알코올램프, 에탄올, 삼발이, 비이커, 샬레, 아이오딘-아이오딘화칼륨용액, 3. 구입방법 : 자체제작 4. 소요경비 : 100원 정도 실험방법 1. 흑백필름 또는 OHP 필름에 출력된 음영이 바뀐 사진을 준비한다. 2. 준비된 흑백필름을 식물잎에 붙인다. - 가능한 잎이 넓은 쌍떡잎식물에 붙인다. 3. 하루에서 이틀 정도 그대로 둔다. 4. 오후 3시경 흑백필름이 붙은.. 2013. 6. 24.
진공실험장치를 이용한 실험(보일의 법칙, 기압) 이천중학교 과학교육선도학교에서 재미있는 과학수업을 위해 2010년에 개발한 자료 입니다. 2013. 6. 24.
액체 이산화탄소 만들기 UCC원고 이천중학교 과학교육선도학교에서 재미있는 과학수업을 위해 2010년에 개발한 자료 입니다. 2013. 6. 24.
과학탐구 추적놀이 계획 및 실제(과학축제행사) 이천중학교에서 2010년 실시했던 과학탐구 추적놀이 행사 계획 및 실제 입니다. 처음으로 새로운 형태의 과학축제 행사를 기획해서 시행해 보았습니다. 2009년 까지는 기존 과학축제 처럼 학교 곳곳에 부스를 설치하고 당일날 원하는 사람들이 축제장에 방문해서 활동을 하는 형태 였습니다. 그런데 인기 있는 부스에 사람들이 몰리고, 대기 줄이 길어지다 보니, 재료만 얻어 가는 사람들도 생기고, 과학적인 원리나 설명은 할 수 조차 없었습니다. 또 많은 사람들이 몰리다 보니 부스마다 작업할 수 있는 공간도 많이 필요해서 교실에 책상을 여러개 옮겨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어야 했습니다. 물론 천막도 부스마다 설치해야 했지요. 준비과정이 너무 힘들고, 정신없이 흘러가다 보니, 만족도도 높지 않았습니다. 그래.. 2013. 6. 24.
알콜과 물의 혼합용액을 이용해 손가락에 불 붙이기 메탄올과 물을 1:1로 섞은 용액을 준비한다.비율이 조금 달라져도 상관은 없다.(지금은 에탄올로 하셔야 합니다. 메탄올은 실험실에서 사용하지 않아요)위험할 수 있으므로 혼합용액은 손가락이 담길 정도로 조금만 준비하고옆에 소화기와 물이담긴 수조(단 알콜에 불이 붙었을때 물로 끄면 위험하다)를 준비하면 좋다.물이담긴 수조는 손가락이 뜨거울때 손가락을 담가 식히기 위해 준비한 것이다. 혼합용액에 화장지나, A4용지를 담갔다가 불을 붙여보자.불은 붙지만 화장지나 A4용지는 타지 않는다.이번에는 손가락에 불을 붙여 보자.맨 손가락에도 가능은 하지만 사실 뜨겁다. 또 맨손으로 하면 용액을 머금고 있지 못하므로잘 보이지 않는다.그래서 장갑을 끼기로 했다.(팁 : 장갑을 낄 때 불을 붙일 손가락은 장갑을 조금 헐렁하게.. 2013. 6. 24.
야광양초 만들기 축광가루를 이용한 야광양초 만들기 과학선생님들이 함께 아이디어를 내다가 본교 손은경 선생님이 생각해낸 아이디어 입니다. 인터넷으로 찾아 봤는데, 아직 국내에서는 만든적이 없는것 같네요 2학기때 과학축제때 가지고 나갈 예정입니다. 기존의 양초만드는 방법에 축광가루를 넣어 양초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어두운 곳에서 잘 보이는게 좋습니다. 단 축광가루와 액체파라핀을 섞을때 잘 저어 주어야 합니다. 젓는 것을 너무 빨리 끝내면 축광가루가 아래쪽에만 가라않게 되고 젓는 것을 너무 오래 저으면 초가 예쁘게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약간 굳으려고 하는 느낌이 나기 바로 직전까지 저어 주시면 됩니다. 만들어간 학생들도 아주 좋아한답니다. 시온잉크를 넣어서 양초를 만들어 보았는데, 시온잉크는 파라핀과 섞이지 않아 실.. 2013. 6. 24.
로봇팔(GRIPPRT ARM ROBOT) 도깨비 과학관에 전시하려고 구입했다. 5개의 관절로 이루어진 로봇팔이다. 사고보니 완제품이 아니고, 조립해야 하는제품이라 조립하는데 3-4시간 정도 걸린것 같다. 관절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다. 그런데 학생들이 조작할 수 있게 전시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관절이 한계까지 움직여도 모터가 계속 작동하기 때문에 무리하게 작동시키면 고장날 가능성이 높다. 어쨌거나 조절하면 할 수록 재미있는 제품인 것 같다. 2013.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