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인간(electric touch) - 마찰전기 이용 마찰전기를 이용한 마술입니다. 교묘하게 옷안에 건전지로 된 전기장치를 숨겨 직류로 몸을 대전시켜 하는 마술이라네요 정전기로 대전된 것과 똑같은 효과가 나타납니다. 저도 구입했는데 겁나서 아직 한번도 해보지 못했습니다. 상대방이 받는 전기충격을 마술사도 똑같이 받는다고 하네요 2013. 4. 28.
50만 볼트에도 끄떡없는 사람 50만 볼트의 전기가 흘러도 이상이 없다? 저항의 병렬연결을 생각하면 어렵지 않다. 전류는 흐르기 쉬운곳(즉 저항이 작은쪽)으로 흐르려는 성질 때문에 저항이 큰 사람보다는 사람 주변의 철망을 통해서 땅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다. 두번째 형광등을 잡고 있는데 자세히 보면 형광등 끝이 땅과 쇠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 않은면 사람도 위험해 진다. 2013. 4. 28.
번개 맞은 비행기 비행기에 번개가 맞으면 어떻게 될까? 2013. 4. 28.
전기단원 PPT자료 2010년 이원숙 선생님이 올려주신 ppt 자료 입니다. 전기단원은 눈이즐거운 물리 등 가상실험실을 활용하면 좋답니다. 2013. 4. 28.
고무찰흙을 이용한 부정합 모형 및 지질구조 만들기 수행평가지 고무찰흙을 이용해서 지질구조 만들기 수행평가를 실시 하였습니다. 수행평가 문제지와 사진 첨부합니다. 부정합 만들기(간단한것) 은 고무찰흙이 부족하거나, 시간이 부족할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평가시 고려했던 사항은 1. 습곡에서는 힘의 방향과 배사,향사 이름을 제대로 쓰는지 2. 정단층 맞았는지 3. 역단층 맞았는지 4. 부정합 만들때 - 습곡과 침식을 제대로 했는지 5. 부정합 면에 빈 공간이 없는지 6. 부정합 과정을 제대로 썼는지 부정합 과정중에 사실 습곡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미리 써주고 습곡에 괄호 표시를 해 주었습니다. 혹시 학생들이 부정합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습곡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착각할까봐요. 시험지 부정합 정단층 역단층 습곡 시험보는 장면 2013. 4. 28.
쫀디기를 이용한 단층 실험 동영상 다운받기 쫀디기를 이용하여 단층실험을 하였습니다. 쫀디기 = 불량식품? 쫀디기를 사용하면 좋은 점은 쫀디기 모양이 지층의 모양과 유사하고 가격이 싸서 1봉지 정도면 1반 전체가 실험할 수 있습니다. 1인당 2조각씩 나누어 주고 실험을 하면 좋습니다. 교실에서 학생들과 함께 실험하다 발견한 건데 상반을 구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단층면이 마주한 상태에서 위로 수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 상반이라는 점입니다. 하반을 수직으로 들어올리려면 상반에 걸려서 들어올릴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상반을 들어올려 봐라' 라고 말하면 수직으로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 상반이 됩니다. 쫀디기를 이용하니까 정단층이 당기는 힘이고 역단층이 미는 힘이라는 것을 설명하기가 더 쉬우네요. 동영상에 나온것처럼 모든 학생들.. 2013. 4. 28.
카스테라를 이용한 지층 설명하기 이마트에 갔다가 제과점에서 판매하는 재미있는 빵을 보았다. 보는 순간 지층에 관련된 수업을 할때 재미있게 제시할 수 있을 것 같아 하나 구입해 보았다. day and day 에서 판매하는 마블쇼콜라 라는 빵이다. 잘 살펴보면 표면의 무늬가 지층과 또는 습곡과 비슷한 빵을 찾을 수 있다. 지층무늬가 나는 부분을 얇게 잘라서 단층을 만들어 보았다. 단층을 만든모양 상반이 내려간 정단층 상반이 올라간 역단층 맞습니다 역단층 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만들었거든요. 아래 그림과 비교해 보시면 좋습니다. 2013. 4. 28.
풍화작용 - 물얼려 병깨기 동영상 동영상 다운받기 물병을 얼려서 부피가 팽창해서 깨지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였다. 아래 게시물 설명처럼 처음에는 병이 하나도 깨지지 않았었다. 그런데 그 병을 재활용했더니, 두번째는 대부분의 병이 깨져 버렸다. 암석의 풍화처럼 여러번 얼리다 보면 병이 더 잘 깨지나 보다. 2013. 4. 28.
물을 얼려 얼음의 부피팽창에 의한 풍화작용 설명 물이 얼때 부피가 팽창해서 병이 깨지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는데 실패했다. 대신 재미있는 영상을 얻었다. 수업시간마다 1개씩 가지고 들어가서 보여주고 있다. 1. 병끝까지 물을 넣고 뚜껑을 꽉 막는다. 2. 병이 깨질때를 대비해서 비닐봉지 안에 넣는다. 3. 냉장고에 넣고 얼린다. 나중에 얼고 나서보니 아래 사진처럼 병은 깨지지 않고 물이 얼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뚜껑을 밀어 올려 놓은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플라스틱 PET병들은 나중에 부피가 늘어나 PET병 중간 부분이 튀어나오는 것을 보여 주려고 얼리고 있다. 5개 얼려서 교실마다 1개씩 가지고 들어가서 보여주면 좋다. 나중에 좀더 큰병으로 병 깨기에 도전해 봐야 겠다. 2013.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