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이동모습, 먹이잡는 모습 동영상 오징어 이동모습, 먹물, 먹이잡는 모습 2013. 4. 28. 자이언트 오징어 해부 동영상 자이언트 오징어 해부 동영상입니다. 2013. 4. 28. 고래가 새끼낳는 동영상 - 포유류 동영상 다운받기 고래가 새끼 낳는 동영상입니다. 고래는 - 척추동물이고 - 폐로 호흡하고 - 태생(새끼를 낳음)이기 때문에 포유류에 속합니다. 2013. 4. 28. 동물의 분류 프로그램 1.1 웹상에서 작동하는 생물분류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ciencej.cafe24.com/html5/animalclassification/animalclassification.html 아래 식물분류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좀더 설명을 추가하고 싶은데 일단은 요기까지 만들어서 올려 놓습니다. 2013. 4. 28. 식물의 분류 프로그램1.1 웹상에서 작동하는 생물분류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ciencej.cafe24.com/html5/plantclassification/plantclassification.html 생물을 5계로 분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위 링크를 보내주고 온라인 과제로 내도 됩니다. 조건에 맞게 분류하게 시켜 보세요. 식물의 분류를 가르치려고 만들어 보았습니다. 좀더 효과적으로 가르쳐보려고 고민하다가 만들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식물인 상태이므로 위에 나온 모든 식물들을 가져다 놓아도 됩니다. 원하는 위치로 옮겨 놓고 확인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다음 종자유무를 눌러 종자식물인지 민꽃식물인지를 구분합니다. 이상태에서 확인하기 버튼을 누르면 같은 식물이라 해도 종자식물인지 아닌지를 구별해야 합니다. 같.. 2013. 4. 28. <수업설명팁>동물의 구성단계 - 의사선생님이 되어 보자 동물의 구성단계는 세포 - 조직 - 기관 - 기관계 - 개체 순으로 구성됩니다. 어떻게 쉽게 가르칠까 고민하다가 우연히 TV에서 암환자 진단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몇년전부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다른 선생님들에게도 도움이 될까 해서 올려 봅니다. 의사 선생님이 암환자를 진단해 가는 과정이 우리가 배우고 있는 동물의 구성단계와 일치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의사 선생님이 되어 동물의 구성단계를 진단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사람몸은 약 60조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포를 하나 하나 찾다 보면, 평생을 걸려도 모든 세포를 조사할 수 없을 거야. 백만스물두번째 세포 이상없고... 잠깐 내가 몇번째 세포까지 관찰 했더라, 처음 부터 다시.... ^^> 제가 전공이 생물도 .. 2013. 4. 28. 임신에서 출산까지 (실제 사진을 바탕으로 만든 동영상입니다.) 최지혜 선생님이 올려주신 자료 입니다. 저희학교에서 사정상 일찍 8단원을 하게 된 관계로 자료를 찾다가 좋은 자료가 있어 올립니다. 알렉산더 치아라스라는 영상제작자가 만든 동영상으로 TED 라는 곳에서 강의한 영상입니다. 9분정도 되는데 다운로드가 어렵네요. 영상 연결합니다~ https://www.ted.com/talks/alexander_tsiaras_conception_to_birth_visualized?language=ko 아래 영상은 한글 자막이 나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dzy5WZivCA (한글 자막이 되어 있어요~) 2013. 4. 28. 백합꽃 관찰 사진 백합꽃을 관찰 실험을 했습니다. 암술, 수술 사진(스마트폰으로 접사촬영)과 씨방속에 있는 밑씨사진(스마트폰용 변환렌즈(확대경) 달아서 촬영) 그리고 꽃가루 사진(현미경에 스마트폰 대고 촬영) 올립니다. 2013. 4. 28. 꽃의 구조 그림그리기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꽃그림을 그릴때 꽃잎부터 그리고 있지는 않은지요? 꽃의 구조를 가르칠때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순으로 그림을 그려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그림을 그리다 보니 꽃그림을 그냥 막 그릴때 보다 훨씬 더 정교하게 그릴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생각했습니다. 기본을 알면 그림도 잘 그릴 수 있구나.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사람의 모습을 더 잘 그리기 위해 죽은사람을 해부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 였다고 하네요. 아래는 신영복 교수님의 글 중에 있는 내용입니다. 몇년전에 보았는데 꽃그림을 그리다 보니 생각이 나서 함께 올려 봅니다. 수업시간에 아래 그림 이야기를 먼저 해주고 꽃그림을 그려줄 생각입니다. 노인 목수가 그리는 집 그림은 충격이었습니다. 집을 그리는 순서가 판이하였기 때문입니다. .. 2013. 4. 28. 이전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