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울반사 실험 - 얼굴 합성하기 놀이 예전에 교과서 집필할 때 개발했던 수업 방법이다. 두사람이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한사람이 거울을 들고 두사람의 중간에 거울을 위치 시킨다. 그리고 거울로 얼굴 절반을 가리면 두사람의 얼굴이 합성되어 한 사람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일단 영상을 보자. https://youtu.be/1y3PPH8s16s 평면거울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은 거울면에 대칭인 곳에 같은 크기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거울로 얼굴의 절반을 가리면, 위쪽에는 거울 뒷면에 있는 사람의 모습이, 아래쪽에는 거울에 반사된 거울 앞면에 있는 사람의 모습이 보이게 된다. 각도를 잘 맞춰서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해 보자. 촬영 각도를 잘 잡아야 한다. 그럼 둘의 얼굴을 합성해서 재미있는 영상이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누구와 누구의 얼.. 2023. 11. 12.
밀도차이를 이용한 혼합물 분리(몸으로 체험하기-수업설명팁) 밀도차이를 이용한 혼합물 분리에 대해 수업을 하면서 실제 실험도 보여 주고, 가상실험도 해주면서 수업을 진행했다. 그러다 학생들이 직접 체험을 해 보면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 밀도차이 이용한 분리 실험 몸으로 체험하기 그래서 학생들에게 밀도가 적혀 있는 종이를 잘라 나눠 주었다. 아래 올려져 있는 밀도 체험활동 출력물을 A4용지 1장에 출력해서 한칸씩 잘라서 나눠 주면 된다. 1. 학생들에게 밀도가 적힌 종이를 무작위로 하나씩 나눠 준다. - 뽑아가게 해도 좋다. 2. 선생님이 아래 용액 중 하나를 선택해서 알려 주면 물 1g/cm³ , 식용유 0.93g/cm³, 알코올 0.79g/cm³, 소금물 1.2g/cm³, 수은 13.54 g/cm3 교실에 알려준 용액이 꽉 찼다고 가정하고 용액보다 밀.. 2023. 11. 11.
숨겨진 모양 퍼즐 프로그램 만들기- 미스테리판 (협동,창의력) 모둠원들이 합심해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게임이다. 미스테리판 활동은 판 밑에 숨겨진 모양을 찾는 활동이다. (과학 수업시간에는 러더퍼드 산란 실험 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 미스테리박스나, 미스테리튜브 처럼 겉에 보이는 현상을 관찰하고, 모둠별로 전략을 세워, 수행해 가며 숨겨진 모양을 정확하게 알아내는 활동이다. 일단 학생입장에서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레이저를 30번만 사용하고 숨겨진 모양을 맞춰 보자. 레이저는 위치를 바꾸거나 회전을 시켜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직접 해 봐야 의미를 알 수 있다. http://t.ly/8hE6i stu sciencej1.cafe24.com 덮개 밑에 있는 도형의 모양은 확인할 수 없지만, 빛을 비춰 반사되 나오는 모습을 통해 모양을 유추할 수 있다. 위 링크의.. 2023. 11. 1.
무료 QR코드 생성기2 - 편지나 문장을 적는게 가능한 QR코드 만들기 QR코드를 바로 복사할 수 있는 기능추가, 입력 글자수 1700 바이트까지 가능하게 수정--------------QR코드를 만들어서 수업시간에 많이 활용하곤 했다.그러다 링크주소만 알려주는게 아니라 미션을 수행할 때 QR코드를 통해 문제를 내거나, 다음 미션지를 주거나, 어떤 결과에 대한 설명서를 적어 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그래서 긴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QR코드 생성기를 만들어 보았다. (교과서 한페이지 정도 입력 가능) 사용법은 간단하다. 아래 링크에 가서 글자를 붙여넣고 생성하기를 눌러 QR코드를 만들면 된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QRcode/QRCodeMaker2.html 만들어진 QR코드를 QR코드 복사하기버튼을 눌러 복사한 다음 필요한 곳에 붙여.. 2023. 10. 31.
밀도 비교 가상실험 - 밀도가 작으면 물에 뜰까? 밀도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밀도 비교 가상실험이다. 아래 링크에서 실행하면 된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density/ 실행시키면 물체들이 물 위쪽에 머물러 있고, 밀도 값에 물음표 표시가 되어 있다. 학생들 스스로 밀도를 계산해 보게 한 후, 물에 뜰지 가라않을지 생각해 보게 한다. 밀도보기에 체크가 되어 있다면 물체를 선택하는 순간 밀도가 나타난다. 그리고 놓는 순간 물체는 아래로 떨어져 물속에 빠지게 되고, 밀도에 따라 뜨거나 가라앉게 된다. 이때 물속에 있는 물체를 드래그 해서 강제로 물에 넣어 보거나, 들어 올려 볼 수 있다. 강제로 집어 넣어도 물보다 밀도가 작다면 떠 오를 것이다. 우측 액체종류 선택에서 물이 아닌 밀도가 다른 액체를 선택하고 물체들이 .. 2023. 10. 30.
떠오르는 모래 시계 - 밀도 1학년에서 부력과 마찰력 설명할 때 사용했던 내용입니다. 밀도설명할 때도 설명하면 좋겠네요 과연 모래시계의 밀도가 변하는 것일지 고민해 보게 하면 좋겠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https://sciencelove.com/929 떠 오르는 모래시계 - 부력+마찰력? 떠 오르는 모래시계라고 이름을 지어 봤습니다. 동영상은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관찰과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만든 문제입니다. 모래시계에 고무찰흙을 감싸서 물속에서 간신히 sciencelove.com 2023. 10. 28.
빛반사 활동 - 숨겨진 모양 찾기 프로그램(러더퍼드 산란 실험) 판 밑에 숨겨진 도형 모양을 예측하는 활동이다. 레이저를 비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경로를 확인해 가면서 덮개 아래 있는 물체의 모양을 예측해 보자. 덮개치우기 체크 버튼 추가-덮개를 치우고 하면 답을 맞추기가 더 쉬워진다. 덮개치우기 버튼을 잘 활용하면 빛반사에 대해 더 쉽게 이론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더 적게 눌러 보고 숨겨진 모양을 예측해 보면 된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rutherford/ 정답보기를 누르고 비밀번호 1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정답을 확인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를 드래그 하면 이동이 되고, 화살표 부분을 드래그 하면 회전이 된다. 발사 버튼을 누르면 레이저가 나간다. 정답확인하면 덮개가 사라지면서 자신이 예측한 .. 2023. 10. 24.
기관계(소화계,순환계,호흡계,배설계) 통합적 작용 가상실험 수업시간에 사용하려고 만들어 보았다. 기관계(소화계,순환계,호흡계,배설계,)가 통합적으로 작용해야만 생명체가 살 수 있다. 목적은 살아 남는 것 따라서 우리가 지금까지 배운 내용은 살아남기 위한 거다. 우리가 살아남으려면 우리몸에 있는 약 60조개의 세포 하나 하나를 살려야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배운 내용으로 세포 하나를 살려 보자. 아래 링크에 가서 실행해 보면 된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organsystem/ 가상실험에 목표는 조직세포를 살리는 것이다. 조직세포가 영양소와 산소를 원료로 에너지를 만들어 내야 우리가 살 수 있다. (수업시간에 목표 설정을 해 주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단순하게 폐에서 산소를 받고 이산화탄소 내놓고 이런 기능적인 것보다 목표설.. 2023. 10. 19.
화면에서 움직이는 그림 gif 쉽게 찾아 수업에 활용 파워포인트나, 아래한글에 움짤. 즉 움직이는 그림을 넣고 싶을 때가 있다. 단순하게 멈춰 있는 그림이 아니라 아래 처럼 움직이고 있는 그림은 생동감을 준다. 재과만 톡톡에서 이동준 선생님 소개로 알개 되었다. 아래 링크에 가면 수많은 움직이는 그림을 검색하고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gifer.com/en GIFER - millions of GIFs for any occasion! Millions GIFs on GIFER. Share the best GIFs now >>> gifer.com 예전에도 접속해 봤던 사이트 같은데 이번에 알게 된 것은 검색어를 잘 선택해서 검색하면 수업과 관련된 수많은 움짤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는 물리와 관련된 사진들을 검색해 본 결과이다. https://.. 2023.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