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도 비교하기2.0(일기도-위성사진 비교) . - 기상청과 끊어져 있던 영상을 다시 복원했습니다. http://sciencej.cafe24.com/flash/weather.swf 1. 기상청에서 일기도와 위성사진을 가져다가 시간대별로 볼 수 있습니다. 2. 드래그 바를 이용하여 일기도와 위성사진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일기도에서 저기압일때 위성사진에 구름이 끼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의 주변에 구름이 어떻게 끼는지, 또 어떤것이 이동속도가 빠른지도 볼 수 있습니다.) 3. 일기도 위에 펜으로 표시를 할 수 있습니다. (일기도 위에 펜으로 표시를 하면 시간이 바뀜에 따라 저기압이나 고기압이 어느쪽으로 이동해 갔는지 알 수 있습니다.) 4. 우리나라를 지나갔던 태풍의 기상위성 사진을 볼 수 있도록 기상청으로 링크를 .. 2013. 4. 22. 일기도그리기1.0 - 플래시이용 플래시로 일기도 그리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전에 어디선가 다운받아서 사용한 적이 있는데 학생들 앞에서 등압선을 그려주다가 잘못 그렸을때 지울수가 없어서 언제 만들어 봐야지 생각하다가 생각난 김에 만들어 보았습니다. 프로그램 실행해 보면 '한줄지우기' 와 '전부지우기' 가 있는데 한줄지우기를 누를때 마다 마지막에 그린줄부터 한줄씩 계속 지워져 나갑니다. -시간이 되면 나중에 그린것을 저장했다가 다시 그려주는 기능을 추가할까 합니다. 항상 느끼는거지만 미술 솜씨가 없어서 이쁘게 못 만들겠네요 정답도 만들었는데 너무 엉터리로 그린것 같아서 정답화면 넣다가 뺐습니다. 이건비밀인데요 그래도 엉터리로 그린 정답화면 보시려면 왼쪽 아래 민서 얼굴을 누르시면 됩니다. (정답은 아니고 그냥 막 그렸으니까 참고만 하세요.. 2013. 4. 22. (추리퀴즈)예술가들이 가장 실수를 많이 하는 그림 이런 모습의 그림을 본 일이 있다. 어두운 밤에 한 여자가 해변에 서있는 모습이었다. 그림 한 구석에는 등대에서 불빛이 먼 바다로 뻗어나가고 있었고 그 여자는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머리카락을 흩날리며 먼 바다 수평선을 응시하고있는 그림이었다. 누구나 한번 쯤은 입장을 바꾸어 서있고 싶은 모습일 것이다. 멋있는 그림이긴 하지만 그 그림에서 과학적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물론 예술작품은 예술 그 자체로 이해를 해야지 거기에 과학의 잣대를 가지고 오류를 발견하려고만 한다면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고 한다면 할 말은 없다. 나 자신도 그런 사람이 있다면 별로 가까이 하고 싶은 마음은 없을 것이다. 단지 그 때 문득 그 생각이 들었고, 지금 또 문득 그 생각이 나서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다. 그림에서 문제는.. 2013. 4. 22. 샌프란시스코 물안개 새벽에 생긴 물안개가 낮이 되니까 사라지네요 2013. 4. 22. 하늘에서 본 소나기 일부분만 샤워기로 물 뿌리는 것 같네요 2013. 4. 22. 마찰열을 이용한 용점 (에너지 전환) 동영상 다운받기 마찰열을 이용해서 용접을 하네요 역학적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된다는 것을 설명할때 보여주면 좋을듯... 2013. 4. 22. 무한 에너지 공급장치 동영상 다운받기 무한 에너지 공급장치가 가능할까요?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하면 절대 불가능합니다. 그럴싸하게 만들어진 영상을 보시고 고민해 보세요. 결론은 절대 불가능. http://youtu.be/287qd4uI7-E 2013. 4. 22. 점핑팝스-지비(ZEEBEEZ) 장난감을 이용하여 위치 에너지 전환 점핑팝스 - 지비(ZEEBEEZ) 장난감을 이용하여 에너지 전환에 대해 설명해 보려고 한다.지비 장난감은 뒤집어 놓은채로 회전을 시키면서 떨어 뜨리면 바닥에 닿는 순간 되튀어 오르는 장난감이다.동영상에서는 떨어뜨리는 에너지를 없애기 위해 바닥에 놓은 상태로 튀어 오르게 하였다.(바닥에 놓아두면 언제 튀어오를지 모를뿐 아니라, 운이 나쁘면 아무리 기다려도 튀어오르지 않는 경우도 있다.)결국 사람이 한일이 지비의 탄성에너지로 전환이 되고 이 탄성에너지가 다시 운동에너지로 전환되고이 운동에너지가 다시 위치에너지로 전환이 된다.중간에 에너지 손실을 무시한다면 위치에너지의 값을 측정해서 지비 장난감의 탄성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또 사람이 지비 장난감에 해준 일은 지비 장난감의 위치에너지와 같으므로사람이 지비 장난.. 2013. 4. 22. 해머 또는 망치로 철판과 납판을 내리치면 (에너지 보존) 망치나 큰 해머로 두꺼운 철판이나 납판을 내리치면 어떤판이 더 열을 받아 온도가 높아질까? 참고로 망치로 두꺼운 철판을 내리치면 망치는 내리치던 속력과 비슷한 속력으로 튕겨 나오게 되고 두꺼운 납판에 내리치면 망치가 납판에 박힌다고 한다. 자 같은 방법으로 여러번 내리친다면 어떤 판이 더 열을 받을까? 에너지 보전법칙으로 생각해 볼 재미있는 문제 . . . 우리가 망치로 철판을 내리친다는 것은 우리가 망치에 일을 해 주는 것이고 우리가 해준일은 철판에 충돌하기 직전의 운동에너지로 바뀌게 된다. 그런데 철판에 충돌시키면 거의 같은 속도로 되튕겨 올라온다고 했으니 충돌전과 충돌후의 운동에너지의 차이는 거의 없으므로 에너지이 손실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철판은 거의 열을 받지 않게 된다. 반면에 .. 2013. 4. 22. 이전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