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네이도 발생 동영상과 위력을 보여주는 동영상 토네이도 발생 동영상 토네이도의 위력 2013. 4. 22.
온난전선 한랭전선 통과시 구름 동영상 온난전선과 한랭전선이 통과할때 구름이 어떻게 변하는지 찍은 동영상이네요한랭전선 통과https://youtu.be/0NoPXm7d5Tc?si=CvvkEoXhn3mGMqvE온난전선 통과https://youtu.be/7cTJF3fadsY?si=aMLbrL20GtXsrd0s 2013. 4. 22.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기단송) 기단과 관련된 송이 있네요 http://www.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jsp?regno=SONG2008120006 가사보기 추워!(에취!) 더워!(헥헥) 가뭄에(바짝바짝) 장마에(주룩주룩) 계절마다 바뀌는 날씨 왜 그럴까 궁금해 황사에 높새바람 장마에 태풍까지 우리나라 둘러싼 기단들 때문이지 북서쪽 시베리아 남서쪽 양쯔강 남동쪽 북태평양 북동쪽 오호츠크 거기에 하나 더 남쪽에는 적도기단 Rap) 북쪽은 한랭 남쪽은 온난 서쪽대륙 건조 동쪽바다 다습 그렇게 퍼즐을 맞춰보면 기단성질 간단하잖아 겨울철엔 시베리아 북서니까 한랭건조 봄가을엔 양쯔강 남서니까 온난건조 초여름엔 오호츠크 북동이라 한랭다습 한여름엔 북태평양 남동이니 무얼까? 삼한사온 북서계절풍 뭐 때문에.. 2013. 4. 22.
폐색전선(온난전선과 한랭전선) 손으로 표현하기 수업준비를 하다가 온난전선과 한랭전선을 손으로 표현해 보면 어떨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이디어는 간단하다 한손은 주먹을 쥐고 한손은 손가락을 펴놓고 보니, 온난전선,한랭전선과 비슷해 보였다. 손가락 등에는 구름을 표시하면 전선 모형과 비슷해 질 것 같다. 주먹이 치러 빨리 쫒아 가야하니, 한랭전선이 빠르다는 것이 설명이 되고 손가락을 핀것과 주먹을 쥔것을 비교해 보면 손가락등의 기울기가 달라져 적운형 구름과 층운형 구름도 설명이 가능할 것 같다. 그냥 공간에 두면 구름이 떨어지니까 손가락등에 올려 놓았다고 설명하고 두 손사이에 얼굴을 대고 입김을 불어 따뜻한 바람을 보내보고 손과 손 사이에 공기가 따뜻하다는 것까지 설명해 보려고 한다. 무엇보다도 아무때나 표현해 볼 수 있으니까 좋지 않을까 하는 .. 2013. 4. 22.
입으로 구름 만들기 저희 학교 학생이 입으로 구름을 만들어 보이더라구요. 너무 신기해서 협조를 얻어 촬영했습니다. 따라해 보았는데 잘못하면 고막 터질 것 같습니다. 목구멍 꽉 막고 손으로 입도 막고 입안에서 강하게 압축하다가 가만히 입을 벌리면 됩니다. 날씨가 더운 6월중순에 촬영했습니다. 날씨가 추우면 훨씬 더 잘 될 것 같네요 아래 동영상 확인하세요 본인 부탁으로 얼굴은 모자이크 처리보다 심하게 까맣게 처리했습니다. 2013. 4. 22.
토리첼리 실험 프로그램 토리첼리 실험을 가상으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실제와 비슷하게 구현해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단 시험관을 꺼냈다가 수은속으로 깊이 넣을때 사실은 조금씩 시험관안으로 밀고 들어와야 하는데 그것은 표현하지 못했습니다. 두께, 길이, 기울기와 상관이 없다는 것 그리고 압력에 따라 수은기둥 높이가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면 좋습니다. 참고로 진공상태라는 것은 시험관 안이 진공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험관안이 진공이 되지 않으면 수은기둥이 76cm 올라갈 수 없습니다. 예를 들면 시험관 위쪽에 구멍을 뚧어 놓았다고 가정하면 시험관 위쪽으로 공기가 들어갈테고 그러면 수은기둥은 수은표면까지 아래로 내려오게 될 것입니다. 실험을 하다 보면 (수은기둥을 완전히 꺼냈다가 넣으면 수은기둥이 올라오지 않습니다.) 수은기.. 2013. 4. 22.
대기압을 이용한 제품 - 키피즈(눌러락) 그릇안의 압력을 제거해서 음식을 보관하는 재미있는 용기네요 대기압을 이용해서 국물이 흐르지도 않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가르치는 대기압의 성질을 잘 이용해서 이런 상품도 만들 수 있군요. 2013. 4. 22.
대기압 - 탱크로리, 드럼통 찌그러 뜨리기 대기압을 이용해서 탱크로리 찌그러 뜨리는 영상입니다. 대기압을 이용하여 드럼통 찌그러뜨리는 영상입니다. 2013. 4. 22.
진공압축용기를 이용한 토리첼리 대기압 실험 진공압축용기를 이용한 토리첼리 대기압 실험입니다.토리첼리는 수은기둥을 가지고 실험했지요그리고 수은기둥 위쪽이 진공이었답니다.하지만 시험관 안이 진공이 아니므로토리첼리가 한실험과는 사실 같지 않습니다.다만 압력변화에 따라 물기둥의 높이가 달라지는 것만 보여주시면 될 것 같네요https://youtu.be/yBjCXaDA3fg (?) 만약 물을 시험관 끝까지 채우고 진공압축용기에 공기를 빼내면 물이 잘 내려올까요? 생각해 보세요 2013.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