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가 다른 두 풍선을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기압차이 설명)고기압저기압 같은 풍선을 크기가 서로 다르게 분다음 두 풍선을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같지 않은 결과가 나올때가 많다.보통 큰 풍선에서 작은 풍선쪽으로 공기가 이동할 것 같지만, 사실은 작은풍선에서 큰 풍선쪽으로 공기가 이동한다.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분다.이는 작은 풍선이 큰 풍선보다 압력이 크기 때문이다. 그래서 풍선을 불때 처음이 가장 힘들고 한번 불기 시작하면 그 다음부터는 풍선을 부는 것이 쉬워진다.직접 풍선내부기압을 측정하기 위해 스마트와치의 기압계를 30cm풍선안에 넣고 측정해서 풍선내부 기압값도 확인해 보았다. 풍선이 작을때는 1049 풍선이 클때는 1034hPa 임을 알 수 있다. 즉 풍선이 작을때 보다 더 클때 내부기압은 작아진다.https://youtu.be/.. 2017. 5. 18. 랜섬웨어에 걸렸을때를 대비한 대처 방법 랜섬웨어 대처 방법 네트워크를 타고 퍼지는 랜섬웨어가 전세계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작년에 랜섬웨어에 걸려 큰 낭패를 겪었던 경험이 있다. 정답은 백업을 떠 놓는 것, 한번 감염되면 절대 복구 불가... ^^ 인터넷에 복구 툴이나 복구 암호등이 떠 돌고 있지만 거의 가능성이 없다고 보면 된다.(예전에 잡힌 범인이 가지고 있던 암호를 공개해 놓은 것이라, 요즘 걸리는 것과는 거의 상관이 없다.) 랜섬웨어는 문서를 암호화 하는 건데 암호를 모르면 절대 풀 수 없다. 만약 복구 업체같은 곳에서 이 암호를 그렇게 쉽게 풀 수 있다면 우리가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암호는 아무 쓸모가 없어진다. 복구업체에 맡겨도 암호화된 문서를 풀어서 원상태로 돌린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 2017. 5. 15. 공중부양팽이가 공중에 떠 있을때 질량은 변할까?(질량보존법칙) 질량보존의 법칙을 설명하려고 만들어 보았다.열린계에서도 공중부양팽이가 공중에 떠 있을때 전체 질량 측정값은 어떻게 될까? 팽이가 공중에 떠 있을때도 측정값은 변하지 않는다. 팽이가 자기력(척력)으로 공중에 떠 있게 되지만, 같은 크기로 아래쪽을 누르는 힘이 생기기 때문이다.자석팽이를 손으로 잡고 아래 밑판 자석에 가까이 하면 같은극일때 척력이 작용해서 값이 더 커지고, 다른극일때는 인력이 작용해서 값이 더 작아지는 것도 알 수 있다.이처럼 공기 흐름이나 기체가 발생하지 않는 실험에서는 열린계에서도 질량이 잘 보존되는 것을 알 수 있다.팽이 공중에 뜨기전의 질량을 보여주고, 공중에 떠 있을때 화면만 보여주면서 처음 측정값과 나중 측정값이 어떻게 될지 토의해 보게 하면 좋다. ^^https://youtu... 2017. 5. 15. 피젯스피너를 이용한 빛의 합성 실험 최근에 학생들 사이에 피젯스피너를 가지고 노는 것이 유행이다. 돌아가는 속도가 상당히 빨라서 돌리고 있으면 재미있다. 힘껏 돌리고 좌우로 흔들어 주면 관성모멘트도 느낄 수 있다.(좌우로 손목을 돌려 보면 잘 따라 돌지 않고 엉뚱한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은 유심히 관찰하다가 이것으로 빛의 합성 실험을 하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생각난 김에 바로 구입해서 만들어 보았다. 내가 구입한 피젯스피너는 우연히도 빛의 삼원색과 같은 빨,초,파 고무줄이 있어서 빛의 삼원색 합성 실험을 위해 색종이를 오려 붙이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었다. 색팽이 실험은 후레시를 사용하는 실험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어둡게 나온다. 그래서 하얀색도 거의 회색으로 보이게 된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 2017. 5. 8. 전동기 원리 가상실험 프로그램 (전자기력 - 입체) 전동기 원리를 교육하기 위해 만든 가상실험 프로그램입니다. 관찰자의 위치를 바꿔가며 입체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해서 문제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전동기 모습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또 미리 동작시키기 전에 어느쪽으로 회전할지 미리 예상해 보게 하고 자기장과 전류의 방향을 나타나게 한다음, 오른손을 이용해서 힘의 방향을 찾아 보게 합니다. 재생버튼을 눌러 실제로 예상한 곳으로 회전하는지 확인해 보면 됩니다. 전류의 방향이나 자기장(자석)의 방향을 바꾼다음 다시 같은 방법으로 시도해 보면 좋습니다. 관찰자의 위치를 바꿔가며 다양한 상황에서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찾아 봅시다. 스마트폰용은 구글플레이에서 설치해서 실행해 볼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 2017. 5. 1. 원형도선주위의 자기장(입체) 가상실험 프로그램 원형 도선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의 모습을 입체로 만들어 보았다. 직선 도선만 이해하면 원형도선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까지 이해가 가능하다. 그런데 교과서에 나오는 원형도선의 그림을 보면서 이게 어떤 모양인지를 질문하는 학생들이 있었다. 원형도선을 위에서 내려다 볼때랑 비스듬한 각도에서 볼때를 잘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한다. 그래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관찰자가 바라보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다. 좌우로 돌려 솔레노이드 모양도 보여주려 했으나, 생각처럼 보여지지는 않는다.(이건 개선할 사항) 원형도선의 입체모양을 잘 이해하면 대부분의 도선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을 이해할 수 있다. 1. 원형도선을 위쪽 또는 옆이나 아래쪽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사람 눈 모양을 위아래로 드래그 하면 .. 2017. 5. 1. 직선도선주위의 자기장(입체) 가상실험 프로그램 직선도선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을 입체로 만들어 보았다. 수업을 하다 보니 간단한 사실인데 학생들은 교과서에 나오는 그림을 위에서 볼때랑 옆에서 볼때를 잘 일치시키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라보는 각도를 조절해 가면서 볼 수 있게 제작하였다. 1. 흘러가는 직선도선을 위쪽 또는 옆이나 아래쪽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사람 눈 모양을 위아래로 드래그 하면 된다.) 2. 전기가 흐를때와 흐르지 않을때의 모습을 실험해 볼 수 있다. (스위치를 누르면 된다.) 3. 전류의 방향을 바꿔가며 관찰할 수도 있다. (건전지를 누르면 자동으로 방향이 바뀐다.) 4. 자기장의 모양을 철가루, 화살표, 나침반 모양으로 바꿔가며 관찰할 수 있다. 자기장의 방향은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방.. 2017. 5. 1. 주제 맞춤형 공모연수 안내 '생활속의 과학교과서' 경기도 신과수 연구회에서 주관하는 테마연수 안내 1학점이 인정이 된다고 합니다. 신청기간은 5월8일 까지네요(30명 모집에 벌써 15분이나 신청하셨네요. ^^)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과학교과서'로 검색하셔서 '생확속의 과학교과서'신청하시면 됩니다. https://gelearning.kr:464/ 자세한 설명은 링크나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1. 연수 기획 의도 및 필요성 2017년 신과수연구회의 주제는 에너지로 정하여 발전의 원리 탐구에서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는 과학을 배우는 것이 일상생활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원자력연계 에너지교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실험 및 교육내용을 연수할 예정이다. 방사선 조사 식품, 방사선 조사 감자, 양파들.. 2017. 4. 28. 작용 반작용 - 돛단배에 선풍기를 틀어주면 움직일까? 작용 반작용을 설명할 때 항상 나오는 고전적인 문제다.돛단배 위에 선풍기를 틀어주면 어느쪽으로 움직일까? 물리교과서에 정답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돛단배 위에 선풍기가 10이라는 힘으로 바람을 내보내면 반작용에 의해서 배는 10이라는 힘으로 반대쪽으로 움직이려 한다. 그런데 선풍기에서 불어나간 10이라는 힘이 바로 앞에 있는 돛에 충돌하면서 돛에 10이라는 힘을 가하게 되고, 그럼 배는 10이라는 힘으로 돛을 단 쪽으로 가려고 하기 때문에 결국 배는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 과학의날행사를 하다가 갑자기 돛을 단쪽으로 배가 움직일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그래서 실험을 해 보았다. 과학상자를 이용해서 자동차위에 선풍기를 만들고 앞쪽에 돛을 만들어 선풍기를 작동시켰을때 어느쪽으로 .. 2017. 4. 21. 이전 1 ··· 74 75 76 77 78 79 80 ··· 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