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학교 1학년 과학166

수도꼭지 물이 떨어지면서 가늘어 지다 분리되는 이유(중력)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중력을 설명하려다 보니 떨어지는 수돗물 줄기가 생각났다. 수도꼭지에서 나온 물은 떨어지면서 점점 가늘어 지다가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이어져 있던 물줄기가 분리되면서 물방울로 변하게 된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걸까? 중력으로 설명하면 간단하다. 중력때문에 떨어지는 물체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속력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두물체를 떨어뜨릴 때 약간의 시간차를 가지고 떨어뜨리면 어느순간에 측정한 첫번째 물체의 속력은 두번째 물체의 속력보다 항상 빠르다. (v=g*t) 그래서 시간이 지날수록 첫번째 물체와 두번째 물체사이의 거리는 점점 더 벌어지게 된다. (s=1/2g*t^2) 같은 1초 차이라 두 물체 사이의 거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멀어진다. 수돗물에서 위아래로 .. 2018. 3. 10.
흔들린 탄산음료캔 거품 안나게 따기 - 보일의 법칙 흔들린 탄산음료캔을 거품 안나게 뚜껑을 따는 많은 방법이 나와 있다. 대부분 따라해 봤는데 별로 만족스럽지 않았다. 그러다가 최근에 인터넷에서 알게된 탄산음료캔을 바닥에 눕혀서 굴리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제 생각이 잘 못 되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맨 아래 추가 정리 중 참고) 마구 흔든 사이다캔을 옆으로 뉘어서 3번 정도 왕복해서 굴려 준다.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서 최대한 세게 흔들어 달라고 한 후 실험해 보자.) 이때 주의할 점은 사이다캔이 완전히 1바퀴 이상 굴러야 한다. 그리고 너무 빨리 굴리면 안된다. 그리고 나서 사이다 캔 뚜껑을 따면 신기하게도 거품이 넘쳐나지 않는다. 동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자. 동영상 끝부분에서 벽면에 붙은 기포가 떨어지는 걸 보여주려고 했는데 .. 2017. 12. 11.
직접 병으로 만드는 오줌싸개 인형(샤를의 법칙) 집에서 자녀와 함께 5분만에 하는 과학 실험샤를의 법칙을 증명할 때 자주 사용하는 오줌싸게 인형을 직접 만들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병을 이용해서 오줌싸게 인형을 만들어 보았다.생수병은 뜨거운 물을 부으면 녹아서 찌그러든다. 그래서 탄산수병을 사용했다.일단 동영상을 보자.https://youtu.be/pIsh-S3t3os 방법은 간단한다.병을 깨끗하게 씻고 아래쪽에 날카로운 송곳으로 작은 구멍을 뚧는다.그리고 찬물을 구멍이 충분히 잠기도록 붓고 뚜껑을 닫는다. 그럼 준비 끝.이제 뜨거운 물을 병에다 부어주면 된다. 그럼 병안에 들어있는 공기가 샤를의 법칙에 의해 팽창하게 되고 팽창한 공기는 구멍을 통해 물을 병 밖으로 밀어내게 된다.플라스틱병이라 전도가 잘 되지 않아 잘 안될 줄 알 았.. 2017. 9. 27.
작용 반작용 - 돛단배에 선풍기를 틀어주면 움직일까? 작용 반작용을 설명할 때 항상 나오는 고전적인 문제다.돛단배 위에 선풍기를 틀어주면 어느쪽으로 움직일까? 물리교과서에 정답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돛단배 위에 선풍기가 10이라는 힘으로 바람을 내보내면 반작용에 의해서 배는 10이라는 힘으로 반대쪽으로 움직이려 한다. 그런데 선풍기에서 불어나간 10이라는 힘이 바로 앞에 있는 돛에 충돌하면서 돛에 10이라는 힘을 가하게 되고, 그럼 배는 10이라는 힘으로 돛을 단 쪽으로 가려고 하기 때문에 결국 배는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 과학의날행사를 하다가 갑자기 돛을 단쪽으로 배가 움직일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그래서 실험을 해 보았다. 과학상자를 이용해서 자동차위에 선풍기를 만들고 앞쪽에 돛을 만들어 선풍기를 작동시켰을때 어느쪽으로 .. 2017. 4. 21.
보일-샤를의 법칙 종이 학습지 - 종이를 접어가며 공부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종이를 접어서 이해 시켜 보기로 하였다.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은 결국 분자운동으로 설명하면 쉽다. 기체의 부피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외부압력과 내부압력이 같아질때까지 부피가 변하다가 같아지면 부피 변화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이 이야기를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부피가 어떻게 변할지를 예측할 수 있다. 아래 프로그램을 함께 사용하면 좋다. http://www.sciencelove.com/965 따라서 보일의 법칙이나 샤를의 법칙도 외부압력과 내부압력이 언제 같아지게 되는지를 따져 보면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워 하기에 학습지의 검은선을 잘라 접어 보면서 실험해 보도록 하였다... 2015. 12. 2.
물질의 상태변화를 접어보며 확인할 수 있는 종이 학습지 물질의 상태변화를 가르치는데 학생들이 직접 조작해 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접어 볼 수 있는 학습지를 만들었다. 학생들에게 양면인쇄(짥은쪽으로 넘김을 해야 한다.) 해서 나눠 주고 배울때 마다 배운내용과 관련있는 칸에 있는 설명에 답을 하게 하고 접는선을 따라서 안쪽으로 접어서 내용을 확인해 보게 하면 된다. 그냥 해도 되지만 학생들이 직접 접었다 폈다 하면 스스로 공부하거나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 하다. * PS. 할일이 없어야 생각을 하게 된다. 수능때 방송감독하면서 하루종일 방송실에서 할일 없이 앉아 있다 보니, 이런 저런 쓸데 없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물질의 상태변화에 관한 학습지를 구상해 보게 되었다. 2015. 11. 19.
미세 질량을 측정할 수 있는 빨대 저울 만들어 머리카락 질량 측정 대학교 다닐때 물리실험 시간에 했던 활동이다. 예전부터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제서야 다시 만들어 보게 되었다. --------------- 미세질량을 측정할 수 있는 빨대 저울을 만들어 보고 머리카락 질량을 측정해 보자. 미세질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저울을 만들어 머리카락의 질량을 측정해 보자. 1. 준비물 : 슬라이드글라스 2장, 지우개, 고무밴드, 빨대, 실핀, 클립, 자, 집게 2. 만드는방법 : 가. 지우개를 가운데 두고 양옆에 슬라이드글라스 2장을 준비한다. 나. 고무줄을 이용해 슬라이드글라스 2장을 지우개에 고정시킨후 세운다. 다. 빨대의 1/5 정도 되는 부분에 실핀을 꼿는다.(끝에서 4cm 정도 되는 곳) - 이때 실핀은 정확하게 지름 보다는 지름 약간 위쪽에 꼿아야 무게중심을 잡기가 좋다. .. 2015. 4. 9.
칭찬해준 양파가 잘 자란다? (과학적 사고력의 필요성) 칭찬해준 양파가 욕을 먹은 양파보다 잘자란다? 과학교사로서 너무 황당할 따름이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진실로 믿고 있다. 선생님들 중에도 10명중 9명 정도는 위 사실을 진실로 믿는다 왜? TV에도 방영된적이 있고,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많은 사람들이 실험을 통해 이 사실을 입증한 사진들이 많이 올라와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 과학적으로 많은 오류를 가지고 있는데도 말이다. 난 예전부터 이 사실을 믿지 않았다. 식물은 동물이 아니다. 청각 기관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말소리를 듣고 영향을 받는다. 심지어는 칭찬글과 욕을 글자로 써서 양파를 담은 비이커에 붙여 놓는 것 만으로도 변화가 나타난다고 한다. 정말 황당할 뿐이다. 나보고 실험해 봤냐고 묻는 사람들이 있다... 2015. 3. 2.
과학적 지식과 관찰에 대한 수업 (미스테리 튜브) 과학 첫째 시간에 사용하기 좋은 내용입니다. 미스테리 튜브 관련 학습지는 바로 아래에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과학이란 무엇인지 학생들에게 설명하기 위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맨 아래 최근에 추가로 올려 논 설명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신곡중학교 수석교사로 계신 장미순 수석선생님의 자료를 가지고 재구성해 보았습니다. 미스테리 튜브 제작방법을 보고 직접 만드셔서 하시면 좋습니다. 아니면 제가 만들어 놓은 동영상을 보여 주셔도 됩니다. 1. 미스테리 튜브 미스테리 튜브 실험은 과학적 탐구와 과학의 본성을 잘 소개하는 실험이다. 학생들의 목표는 미스테리 튜브의 내부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학생들은 튜브 안을 절대 볼 수 없게 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각자 .. 2015. 3. 2.
중학생을 위한 과학 정의적 특성 함양 프로그램 (ORM 2014-85-2)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에 올라온 자료 입니다. 별 생각없이 봤는데 자료가 너무 좋네요. 그래서 링크 걸어 놉니다. 중학교 1학년 과학 전단원이 다 제시되어 있습니다. 책자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kice.re.kr/resrchBoard/view.do?seq=43846&s=kice&m=030101 Ⅰ. 과학이란? 1. 숨어있는 숫자를 찾아라!|2 2. 어림의 달인|16 3. 나를 닮은 과학자 찾기 놀이|32 Ⅱ.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1. 어느 외계인의 지구 탐사기|40 2. 너와 내가 함께하는 지구계 이야기|52 3. 넌 아니? 상자 속에 뭐가 들었는지?|66 Ⅲ. 힘과 운동 1. 손바닥 밀기 모둠 대항전|84 2. 다 같이 일어서기|96 3. 이야기가 있는 그래프 그.. 2015. 1. 28.
무지개 스프링 자유낙하를 통한 관성실험 스프링을 자유낙하 시키면 어떻게 운동하게 될까? 전에 다른 선생님이 하는 것을 본 적이 있었는데 언젠가 실험해 보고 싶었습니다. 무지개 스프링을 구입하여 캐논 PowerShot SX40HS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 하였습니다. 이 카메라에는 저속촬영 기능이 있어 초당 120프레임에서 240 프레임 까지 촬영이 가능하네요 이번 영상은 120프레임으로 촬영한 후 정상속도로 재생시켰습니다. 그래서 실제보다 저속으로 보이기 때문에 관찰하기가 좋습니다. 동영상 중간 중간에 멈추고 학생들에게 어떻게 될지 토의해 보게 하고 영상을 보여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학습지에 문제를 내놓고 토론을 시키면 재이밌는 다양한 토의가 이루어 지네요. 2014. 3. 31.
상태변화에 따른 부피변화 예외(물이 얼면 부피 증가) 예전에 풍화작용 설명하려고 만든 동영상인데 물질의 상태변화에서 예외 현상으로 보여주어도 좋을 듯 하여 요 단원에도 옮겨 놓았다. 대부분의 물질은 액체에서 고체가 되면 부피가 줄어들지만 물은 예외이기 때문에 부피가 오히려 커진다. 그래서 지구상에 생명체가 탄생했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도 있다. 물이 얼면서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밀도가 작아져 물위로 떠오르게 되고 물 표면부터 얼어 붙게 된다. 추워지면 추워질수록 물 표면의 얼음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이로 인해 단열효과가 나타나 물 아래쪽은 얼지 않고 겨울을 버틸 수 있게 해 주었다는 것이다. 물이 바닥부터 얼어 붙었다면 물 표면은 계속해서 추위에 노출되었을테고 겨울이 되면 물 전체가 빙하처럼 얼어 붙게 되어 생명체가 살 수 없게 되었을 것이다. 아래 설명은 풍화.. 2013. 11. 25.
저융점 금속을 이용한 화석 만들기(상태변화) 70도에서 녹는 저융점금속이 있습니다. 3학년 가르칠때 물질의 특성에서 보여 주었었는데 오늘 보니 1학년 상태변화에서 보여주어도 될 것 같아서 상태변화 단원에도 똑같이 올립니다. 아이들이 금속이 저온에서 상태변화가 일어난다는 생각을 잘 못하기 때문에 보여주면 신기해 합니다. 녹는점이 70도라면 뜨거운 물에서도 녹을 수 있습니다.금속이 뜨거운 물에 녹는 다는 것은 잘 상상이 가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끓는 물에 녹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실험하는 김에 예전에 만들어 두었던 삼엽충 화석 몰드에다가 저융점 금속을 녹여서 부어 금속 삼엽충 화석도 만들었습니다. 예전에 어디선가 보니 저융점 금속으로 숟가락을 만들어끓는 물을 저어주니 숟가락이 녹아서 사라지는 동영상도 있더군요. 상태변화나 녹는점을 가르칠때 보여주.. 2013. 11. 15.
고무풍선과 압정을 이용한 압력 실험 우선 실험 동영상을 보자 자석고무판과 압정 그리고 고무풍선을 준비한다. 자석고무판에 압정을 촘촘하게 붙이고 자석판을 들어 아이들에게 압정을 확인시켜 주었다. (그냥 종이위에 올려놓고 하면 풍선이 터질때 사방으로 흩어져 위험하다. 자석위에 앞정을 붙이거나 아니면 테이프로 압정을 꼼꼼하게 붙여서 사용하도록 하자. 자석고무판이 없었다면 교탁위에서 시도하지 않았을 것이다.) 풍선을 불어 압정위에 올려 놓는다. 교실에 들어가면 풍선 위에 출석부나 책을 올려 놓는다. 조금 자신감이 생기면 출석부를 막대로 살짝 내리쳐 보자. ^^ 아이들은 압정위에 풍선을 올려 놓는 것 만으로도 긴장하게 된다. 압력은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힘인데 작용하는 힘이 같아도 힘을 받는 면적이 압정수에 비례해서 늘어나게 되므로 압력은 반비례해서.. 2013. 10. 31.
분자의 배열송 - LG사이언스 랜드 제공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분자의 배열송입니다. 물질의 상태변화를 분자운동으로 잘 설명하고 있네요 http://www.lg-sl.net/product/sciencesong/sncsong/readSncsong.mvc?sncsongId=SONG2013060001 물질의 상태가 변화하는 것은 분자의 배열이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분자의 배열은 열에 의해 변하지만 때때로 압력에 의해서도 변해요 세가지 물질의 분자에 대해 알아봐요 압력은 고체, 액체, 기체 순으로 높아 거리는 기체, 액체, 고체 순으로 멀고 운동의 빠르기는 기체, 액체, 고체 순 고체의 분자배열은 매우 규칙적이고 액체는 자유롭고 기체는 더 자유로워 물질이 상태 변화하면 분자 자체는 변하지 않고 배열만 다르게 변해요 물질의 상태변화에 대한 명칭 알아.. 2013. 8. 29.
영하 40도에서 비눗방울이 어는 모습(상태변화) 동영상 영하 40도에서 불어놓은 비눗방울이 이렇게 얼어 버린다네요 온도가 낮으니 비눗방울도 상태변화가 일어나 고체가 되는 군요. 신기 ^^ 2013. 7. 25.
회전불꽃을 통한 원운동에서 접선방향으로의 관성에 의한 운동 스파클라 불꽃에 불을 붙여 빠른속도로 원운동 시키면 불꽃이 떨어져 나갈때 접선 방향으로 날아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https://youtu.be/6dPUp6ySK2o 원운동은 결국 구심력 때문에 물체의 운동방향이 계속해서 바뀌는 운동인데 구심력이 사라지는 순간 더이상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없기 때문에 그때 부터는 등속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동영상에서 보는 것처럼 원운동에서 떨어져 나온 불꽃은 접선방향으로 직선으로 날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교실가지고 가서 보여 주었는데 간단하면서도 학생들 반응도 좋았다. 아래는 유투브에서 받아온 강철솜을 이용한 실험 2013. 6. 26.
박스를 이용한 힘의 합성 실험 힘의 합성을 가르치다가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할 수 없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재료를 찾다 보니 택배박스가 눈에 들어오네요 택배박스를 가지고 간단하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택배박스 대각선에는 잘 늘어나는 고무줄을 3개 연결했고, 끝은 호치케스로 고정시켰습니다. A4용지에 화살표를 뽑아 아래 2곳에 붙여 주었습니다. 그리고 손으로 잡고 상자를 찌그러 뜨리면 힘의 합성을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조별로 한개씩 만들어 주고 가지고 놀게 하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우유곽으로 조그맣게 만들어서 해도 좋을 것 같네요 아래 링크에 있는 힘의 합력 프로그램과 같이 사용하시면 더 좋습니다. https://sciencelove.com/918 2013. 6. 3.
초간단 질량 측정 장치 만들기 예전에 과학소년에서 부록으로 주었던 제품이라고 하네요. 우연히 책을 읽다가 발견해서 직접 만들어 보았습니다. 첨부된 화일을 출력해서 하드보드지 또는 딱딱한 종이에 붙여서 사용하면 됩니다. 클립의 무게를 측정하고 클립을 하나씩 달아가면서 눈금 표시를 하면 더 좋을 것 같네요. 2013. 5. 27.
식물의 구조와 기능학습지입니다. 2003년도에 만든 식물의 구조와 기능학습지입니다. 2013.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