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학교 2학년 과학283

<수업설명팁>달의 위상변화 학생들 얼굴모습 이용하여 쉽게 가르치기 달의 위상변화를 가르치기 위해 색깔을 절반만 칠한 공을 들고 교실을 돌아다니며 관찰을 시키거나 또는 뻥튀기를 이용하여 모둠 활동을 시키곤 했다. 뻥튀기 이용한 활동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ciencelove.com/1971 달의 위상변화 관찰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ciencelove.com/1109 달의 위상변화 가상실험 및 스마트폰용 앱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346 그래도 학습지나 형성평가에 달의 위상에 대한 문제가 나오면 학생들은 어려워 한다. 특히 상현달과 하현달의 모습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사실은 간단하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빛이 비추는 쪽만 보인다. 그래서 항상 태양이 비추는 쪽만 밝게 빛나고 반대.. 2016. 6. 10.
태양계 행성의 크기 비교 프로그램 웹상에서 작동하는 행성크기 비교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에 가시면 할 수 있어요. http://sciencej.cafe24.com/html5/planetsize/planetsize.html 수업을 하다 보니 학생들이 지구와 태양의 크기가 얼마나 차이나는지 궁금해 하네요 그래서 인터넷 자료를 보여주곤 했는데 직접적으로 비교해 주면 좋을 것 같아서 간단하게 몇개의 행성과 태양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우측에서 행성을 선택하면 색깔이 칠해진 원이 나타나고 나타난 행성원들은 마우스로 드래그가 가능합니다. 또 확대 축소 버튼을 눌러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만들어 태양의 크기를 한눈에 보이게 만들어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만들어 놓고 보니 지구나 달은 정말 작네요. ^^ 한번 보여주면 확 느낌.. 2016. 6. 1.
<수업설명팁>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크기 측정 - 피자는 알고 있다 에라토스네테스의 지구크기 측정을 가르칠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수식만 나오면 우선 학생들은 어렵다고 느끼고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래서 시작을 실생활에서 시작한다. 피자 1조각을 칠판에 그리고 '선생님이 어제 피자가게에서 피자 1조각을 샀는데 주인이 피자 한판을 8조각내서 1조각을 파는 거라고 하더라. 그런데 선생님이 보기엔 피자 한판을 12등분 해서 1조각을 파는 것 처럼 보였어. 나머지 피자를 보자고 했더니 다 팔리고 1조각만 남았다면서 8등분해서 파는게 맞다고 하네 어떻게 하면 8조각을 낸건지 12조각을 낸건지 알 수 있을까?' 먹는 문제이기 때문에 남학생들의 반응이 심상치 않다. 여러가지 의견이 나오다가 내가 원한 의견들이 나오기 시작한다. 한 학생이 '피자를 종이위에 놓고 테두리를 따라 .. 2016. 5. 31.
달의 크기 측정 프로그램 - 시지름 이용 시지름을 이용하여 달의 크기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눈앞에 있는 가림막의 위치와 달의 위치를 드래그 해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또 눈앞에 있는 가림막의 구멍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달의 크기도 변경해 볼 수 있습니다. 설명변경 버튼을 누르면 다른방법으로 달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 나옵니다. 2016. 5. 30.
북극성 고도와 위도 관계 - 에라토스테네스 지구 중심각 측정 웹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추가 아래 링크로 접속하면 바로 실행해 볼 수 있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latitude/latitude.html latitude sciencej1.cafe24.com ----- 북극성의 고도가 그 지역에 위도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만들었다. 관측자를 드래그 해서 위도를 바꾸어 가며 북극성의 고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면 된다. 처음에 만들때 잘 만들걸... 중간에 자꾸 아이디어를 추가하다 보니 프로그램이 복잡해져 버렸다. 실험할 수 있는 것은 1. 북극성의 고도와 위도의 관계 - 지구 둥근증거 2.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실험에서 그림자의 각도와 지구중심각과의 관계 - 지구크기 측정 3. 태양의 고도와 위도 관계 - 춘,.. 2016. 5. 30.
전류주위에 생기는 자기장과 전자기력 종이 팝업 학습지 재과만에서 김동현, 박혜은 두분 선생님이 만드신 자료를 가져다 약간 수정했습니다. 처음에는 이렇게 까지 해야 되나 망설였는데, 학생들이 너무 이해를 못하네요. 그래서 팝업 학습지를 나눠 주고 짝꿍이랑 함께 학습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각각 인쇄 하려고 하니 너무 종이 낭비가 심한 것 같아서 A3용지 1장에 두 학습지를 함께 넣었습니다. 인쇄할때는 A4용지로 축소 인쇄해서 2명당 1장씩 주고 반을 잘라서 1개씩 각자 만들어서 서로 짝꿍에게 설명하거나, 아니면 둘이 함께 학습지를 완성해 가도록 했습니다. 2개다 완성한 모둠은 확인하고 도장을 찍어 준 다음에 잘 못하고 있는 모둠으로 파견을 보내서 도와 주도록 했습니다. 소란스럽고 시끄럽긴 했지만, 그래도 제가 혼자 떠들때 보다는 훨씬 낳네요. 다음에는 전자그.. 2016. 4. 18.
(임시)전류 주변의 자기력, 전자기력과 관련된 실험도구 정리 수업이 끝나고 수업시간에 보여줬던 물품들을 정리하려고 하다가 한번 사용한 물품들을 정리하고 싶어 졌다. 하나 하나 동영상 자료로 만들어 놓으면 좋겠지만, 게을러서 쉽지가 않다. 다음에 만들어야지 생각만 하고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 잊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나중에 또 생각이 나지 않아 고생하기도 한다. 그래서 치우기전에 보여줬던 실험도구들을 그냥 사진으로 찍어 보았다. 중간에 보여주고 치운 물품도 있지만 정리하기 전에 아직 남아 있는 물품 위주로 사진 찍어 놓았다. 1. 발전기 돌려 띄우는 연 2. 액체자석(?) - 인력과 척력, 자기장 모양 설명 가능 3. 자석 대형 모형 4. 철가루 판 5. 전자기력을 이용한 코일 기차 6. 설명하기 위한 자석 붙인 용지들 7. 액체자석 8. 손으로 들고 보여줄 수 있.. 2016. 4. 14.
저항의 직렬 병렬 연결 종이 팝업 학습지 저항의 직렬 병렬 연결을 가르치는데 학생들이 너무 어려워 한다. 일부 아이들은 분수 덧셈조차도 할 줄 모른다. 그래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라도 가르치고 싶었다. 수준이 낮은 아이들을 가르칠때는 중간에 포기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부터 공식을 들이밀면 대부분 아이들은 시작도 하기전에 포기해 버리기 때문이다. 저항의 직렬, 병렬 연결은 퍼즐 맞추기 게임이나 다름없다. V=IR이라는 힌트를 이용해서 각각에 걸리는 전압과, 저항과 전류를 하나씩 맞춰 나가는 퍼즐 게임이다. 퍼즐 게임처럼 접근을 하고 퍼즐 규칙을 옴의법칙으로 설명해 주면 초반부에는 포기하지 않고 도전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래도 옴의법칙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가르쳐야 겠기에 저항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을 쉽게 확인해 볼 수 있는.. 2016. 4. 3.
Autodesk 123D Circuits 를 이용한 전하량 보존의 법칙 Autodesk 에서 운영하는 123D Circuits 사이트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하량 보존의 법칙입니다. * 2018년 Autodesk 에서 운영하는 123D Circuits 이 종료 되었습니다. 더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유사한 사이트로 팅크캐드 사이트에서 circuit 을 운영하네요. 기존 것을 옮겨 온 것 같은데, 공유는 안되는 것 같습니다. * https://www.tinkercad.com/ 아래 사이트에 가면 123D Circuits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데 https://123d.circuits.io/lab 그곳에서 원하는 회로를 제작해 볼 수 있고 가상으로 작동시켜 볼 수 있습니다. 실제랑 거의 똑같이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전류가 많이 흐르면 전구가 끊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저항이 필.. 2016. 3. 15.
정전기 실험 관련 만화(과학쟁이) 2012 년에 과학 잡지에 연재했던 우리집은 실험실 관련 내용중 정전기 관련 내용이 있어서 올립니다. 동기유발 자료로 보여주면 좋을 듯 하네요. 그리고 기고했던 글 중에 실험 관련 내용도 1가지 추가합니다. 스푼이용해서 돌리는 실험은 빨대보다 간단해서 좋아요 2016. 3. 6.
초간단 정전기 북 만들기 동영상 다운받기 초간단 정전기 북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네오디움자석 2개(직경 12mm, 두께 2mm), 플라스틱관 또는 빨대(높이 10mm), 알루미늄호일 만 있으면 됩니다. 먼저 알루미늄 호일을 조금 잘라 손으로 동그랗게 공 모양으로 만듭니다. 최대한 둥그런 공 모양이 되면 좋습니다. 빨대를 높이 1cm 가 되게 자른 후 안에 알루미늄호일공을 넣고 양쪽끝에 네오디움 자석을 붙입니다. 접착제가 필요 없습니다. 자기력때문에 형태를 유지합니다. (이게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이기도 합니다. 만들기 쉽지만, 떨어뜨리거나 하는 경우에 자석끼리 붙으면서 정전기북이 부서집니다. 떨어뜨리거나 강한 힘으로 누르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좀더 형태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싶다면 스카치테이프로 한번 감싸 주면 됩니다. 완성.. 2016. 3. 4.
정전기(마찰전기)를 이용한 컵속 면봉 돌리기 동영상 다운받기 예전에 스펀지제로에 나왔던 문제이다. 정전기 관련 수업을 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제시한 후 문제를 풀게 해 보면 좋다. 물론 이때는 마찰전기 관련 도구를 보여주면 안된다. 10원짜리 동전 2개를 받치고 위에 면봉 또는 이쑤시개를 중심을 맞춰 올린다. 그리고 컵으로 덮고 동전위에 있는 면봉만 움직이게 하는 문제이다. 학생들이 고민하도록 일부러 컵 아래쪽에 동전을 받쳐서 바람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었다. (사실 이건 아무 의미없다. 학생들은 컵 아래쪽에 생긴 공간으로 바람을 불어 넣는등 뭔가를 하려고 시도한다.) 함께 올려놓은 동영상을 다운받아 앞부분만 보여주고 해결해 보게 해도 된다. 동전을 구하기 힘들면 풀뚜껑을 사용해도 된다. 단 너무 가벼운 것을 사용하면 정전기에 함께 끌려.. 2016. 3. 3.
적외선 온도계(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열의 이동방법(전도) 관찰 얼마전 구입한 적외선 온도계(열화상 카메라)를 가지고 놀다가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했다. 손바닥을 나무책상위에 올려놓았다가 땠을때 적외선 카메라를 비춰보면 나무위에 손바닥 자국이 남아 있는 것이었다. 이번에는 금속위에 손바닥으로 올려 놓았다가 땠을때 적외선 카메라로 비춰보면 손바닥 자국이 보이지 않는다. 왜 그럴까 생각해 보니 전도가 잘 되는 금속종류는 손바닥에서 얻어간 열을 바로 옆으로 퍼뜨려 적외선카메라로 관찰해도 손바닥 모양을 관찰할 수 없지만 전도가 잘 안 되는 물질은 손바닥에서 뺐어간 열을 옆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외선 카메라로 보면 손바닥 자국이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알루미늄 호일처럼 비열이 작은 물질은 열을 가해도 금방 식어서 손으로 만져도 아무 문제가.. 2015. 10. 12.
관찰과 추리 학습지(외떡잎 식물과 쌍떡잎 식물 비교) 셜록홈즈처럼 학생들이 모둠별로 관찰하는 학습지 입니다. 이전시간에 셜록홈즈-관찰과 추리에 대한 수업을 이미 했기때문에 같은 방법으로 관찰부터 시도하게 합니다. https://sciencelove.com/2080 관찰과 추리 학습지 - 셜록홈즈가 되보자 동영상 다운받기 위 동영상은 크롬으로 접속해서 다운 받으시면 잘 됩니다. 익스플러에서는 다운로드가 잘 안되는 경우가 있네요. 동영상 다운 받기를 눌러 드롭박스 회원가입 창이 뜨면 회원 sciencelove.com 학습지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 사진을 이용하여 관찰하면서 보이는 그대로 관찰결과를 최대한 많이 적게 합니다. (여건이 된다면 실제 쌍떡잎 식물과 외떡잎 식물을 주고 해도 좋습니다. - 전 쪽파와 열무를 사다가 했는데 남학생들이라 먹고 맛을 적는 아.. 2015. 9. 4.
식물세포와 동물세포 관찰 추리 학습지 셜록홈즈처럼 학생들이 모둠별로 관찰하는 학습지 입니다. 이전시간에 셜록홈즈-관찰과 추리에 대한 수업을 이미 했기때문에 같은 방법으로 관찰부터 시도하게 합니다. https://sciencelove.com/2080 관찰과 추리 학습지 - 셜록홈즈가 되보자 동영상 다운받기 위 동영상은 크롬으로 접속해서 다운 받으시면 잘 됩니다. 익스플러에서는 다운로드가 잘 안되는 경우가 있네요. 동영상 다운 받기를 눌러 드롭박스 회원가입 창이 뜨면 회원 sciencelove.com 교과서 동물세포 식물세포 사진과 학습지에 있는 동물세포와 식물세포 사진을 함께 관찰하면서 보이는 그대로 관찰결과를 최대한 많이 적게 합니다. 용어를 몰라도 상관없습니다. 핵이있다. 도 좋고 동그란 물체가 있다 도 좋습니다. 그냥 관찰한 결과를 최대.. 2015. 8. 28.
정전기 실험 - 일회용 비닐봉지 띄우기 일회용 비닐 봉지를 잘라서 풍선이나 플라스틱막대를 이용해서 쉽게 띄울 수 있다. (유투브를 보다 보니 정말 간단하게 정전기 실험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예전에는 비닐끈을 잘라서 띄우는 실험을 하곤 했는데 일회용 비닐을 사용하면 훨씬 더 쉽게 척력을 이용해서 떠 있게 할 수 있다. https://youtu.be/hujuFtNAPL0 준비물도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만들 수 있어 실험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부여할 수 있다. 또 개인이나 모둠별로 창의적인 모양을 만들어 띄우게 한다면 다양한 실험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 일회용 비닐 봉지 끝을 가위로 잘라 원형 모양이 되게 한다. 2. 털가죽이나 천으로 문질러 (-)로 대전시킨다. 3. 플라스틱 막대나, 막대풍선, 또는 원형 풍선을 털가죽으로 문질러.. 2015. 3. 12.
캄보디아에서 본 하현달의 모양 - 달의 위상 변화 캄보디아에서 본 하현달의 모습은 아래쪽 절반만 보이는 모습이었다. 달의 위상변화에서 하현달의 모양은 왼쪽편만 보이는 반달 모양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알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 새벽에 하현달의 모습을 살펴보면 왼쪽이 아니라 약간 좌측 아래쪽 절반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왼쪽 절반만 보이는 모습은 하현달이 남중하는 가장 이상적인 경우에만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하현달이 동쪽 지평선 부근에서 떠오를때는 아래 그림처럼 거의 아래쪽 절반만 보이게 된다. 위 사진처럼 왼쪽만 보이는 채로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런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아래링크에 있는 달시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하현달이 지평선 주위를 돌게 하면서 관찰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http:/.. 2015. 1. 15.
<수업설명팁>크로마토그래피 달리기를 이용한 설명 스파이더맨 복장을 하고 키와 외형이 비슷한 학생들이 30명 모여 있다. (복장이 똑같기 때문에 외형으로는 절대 구분할 수 없다.) 이 안에는 육상선수 10명, 수영선수 10명, 평범한 여학생 10명이 있다고 한다. 3집단을 가장 빨리 구별해 낼 수 있는 방법은? 100% 정확하지 않아도 된다. 모둠별로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자. (학생들에게 시켜보면 다양한 재미있는 방법들이 나온다. 예)멋진 아이돌 사진을 가져다 보여줄 때 반응을 하는 집단은 여학생들이다. 등등...) 출발선에 모든 학생을 세우고 400m 경주를 시킨 후 선두그룹이 400m 에 도달하는 순간 그 자리에 멈추게 하면 어느정도 구분이 가능하다. 선두그룹은 대부분 육상선수, 그다음 그룹은 수영선수, 마지막 그룹은 여학생 이처럼 이동.. 2014. 11. 2.
얼음과 물과 식용유의 밀도 비교 동영상 동영상 다운받기 얼음의 밀도는 0.92 식용유 밀도는 0.93 물의 밀도는 1 이다. 얼음을 식용유가 들어있는 비이커에 넣으면 식용유 위로 떠오르게 된다. 실제로 해보면 중간까지 가라 앉았다가 아주 서서히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얼음과 식용유의 밀도차이가 많이 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식용유위에 떠있는 얼음이 녹으면 어떻게 될까? 얼음이 녹아 물이 되면 물의 밀도는 식용유 보다 커지게 된다. 그럼 물은 식용유 밑으로 가라앉게 될 것이다. 오늘 직접 실험해 보았다. 이왕이면 물에 색소를 타서 얼렸으면 더 잘 보였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동영상 중간에 타임랩스 기능을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얼음이 녹는 것을 1분정도로 빨리 재생시켰다. https://youtu.be/RUth7cM.. 2014. 9. 25.
<추리퀴즈> 세상에서 가장 큰 금화를 들고 도망간 강도 - 밀도 설명 오스트리아 수도 빈에서 화제를 일으킨 경매가 열렸다. 경매물은 그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금화였다. 이 금화는 직경 50cm, 두께 3cm로 캐나다 왕립 조폐국이 2007년 제작했다. 은행강도 루팡이 경매장에 몰래 잠입해서 실제금화를 모조품으로 바꿔놓고 실제 금화를 훔쳐 내 왔다고 한다. 루팡은 자신의 성공을 자랑하기 위해 인터넷에 글을 올렸고 우리의 코난과 경찰들은 이 글을 읽게 되었다. 루팡이 금화를 훔친방법은 다음과 같다. 금화를 훔치기 위해 치밀하게 계획을 세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문제는 금화의 크기가 직경 50cm 라는 것이다. 훔치는 것 까지는 문제가 없는데 그것을 들고 경비와 경비견 사이를 통과해 나와야 한다. 유리창도 없고 다 막혀 있기 때문에 나올 수 있는 곳은 정문밖에 없다.. 2014.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