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리파이프 -과학완구 2008년에 이천중학교 과학선도학교에서 개발한 찾아가는 과학관 전시물 자료입니다.https://youtu.be/FHU63vMmyEk 2013. 5. 29.
2008 이천중학교 제3회 과학축제 2013. 5. 29.
2007년 제3회 이천중학교 과학체험 축제 전시장 모습 2013. 5. 29.
우주인이 발명한 ‘무중력 컵’ 동영상 화제 [서울신문 나우뉴스]무중력 공간에 있는 우주비행사가 마치 지구에서처럼 컵에 커피를 따라 마시는 영상이 공개돼 네티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무중력상태에서 액체를 따르면 공기 중에 뿔뿔이 흩어지기 때문에 우주비행사들은 주머니 형태의 컵과 빨대를 이용한다. 그러나 나사(NASA)의 화성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한 돈 페티(Don Pettit)박사는 무중력 상태의 우주선 안에서 컵에 액체를 담아내는데 성공했다. 그는 “무중력 상태에서는 액체를 컵에 담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러나 ‘무중력 컵’을 이용하면 액체가 공중에 흩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중력 컵이란 얇은 플라스틱판을 구부려 만든 것으로, 이 플라스틱 판 가장자리를 따라 액체를 부으면 액체와 플라스틱판에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해 .. 2013. 5. 29.
프리트랙 제작기 프리트랙을 자작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소개되어 있네요 나중에 시간날때 만들어 봐야 겠어요. http://teciyoo.tistory.com/257 2013. 5. 29.
지하철 환기구 풍력발전 가능할까? 2008년 10월 29일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는 국내 처음으로 지하철 환기구로 배출되는 바람을 이용한 풍력 발전설비를 고안했다고 밝혔다. 과연 효과가 있을까? 선풍기 앞에 발전기 다는 꼴이다. 송풍구에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면 지하의 탁한 공기를 충분히 지상으로 뽑아내지 못하게 된다. 송풍구를 지나가는 바람이 발전기를 돌려서 바람이 약해지게 되기 때문이다.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도 달지 않은 때와 똑같이 공기를 뽑아내려면 송풍기를 더 세게 돌려야 하는데, 이러면 추가로 전기를 써야 한다.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강신형 교수는 "송풍기에서 강한 바람이 나온다고 해서 이걸 이용해서 전기를 얻겠다는 것은 야만적인 생각이다"라며 "차라리 송풍기 출력을 낮추는 쪽이 에너지를 더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 송풍.. 2013. 5. 29.
파동 실험 파동에 따른 변화 옥수수 전분의 파동에 따른 변화 2013. 5. 29.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한 몇가지 실험 1. 움직이는 드라이 아이스 드라이아이스는 밀도가 물보다 크므로 가라 앉아야 한다. 어떻게 드라이아이스가 물위에 떠 있는 것일까? 처음에는 금속인줄 알았는데 자세히 관찰해보면 표면에 반사된 전등이 물결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고민해 보았는데 아마도 금속판위에 물을 아주 얇게 깔아 놓은것으로 보인다. 언제 실험해 보아야 겠다. 2. 드라이 아이스 폭탄(위험하므로 따라하지 말것) - 물이 든 페트병에 드라이 아이스 넣고 뚜껑을 꽉 막아 둔다. 그럼 시간이 지나면 폭발 3. 드라이 아이스로 거품내기(주방세제 이용) - 물에 주방세제를 섞고, 드라이아이스를 넣어 두면, 물 위쪽에 거품이 크게 생김. 터뜨리면 연기(수증기가 응결한 작은 물방울)가 쫙 퍼짐 4. 드라이 아이스 권총 만들기 (필름.. 2013. 5. 29.
선생님은 못듣고 학생들만 듣는 핸드폰 모기 벨소리 http://sciencelove.com/flash/모기벨소리테스트.swf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는 보통 20Hz 에서 20000Hz 라고 합니다. 우리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공기가 1초에 20번에서 20000번 사이에서 진동하기 때문입니다. 청각이 아주 예민한 사람은 이 소리를 다 들을 수 있지만, 보통 사람들은 100Hz 보다 작거나 18000Hz 보다 높은 소리는 거의 들을 수 없습니다. 부채질을 할때는 소리가 들리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1초동안 우리가 할 수 있는 부채질은 20번보다 작기 때문입니다. 이론적으로 20번 이상 부채질을 한다면 (공기도 20Hz 이상으로 진동하겠지요) 청각이 예민한 사람은 부채질 소리도 들을 수 있답니다. 모기소리를 들은 경험이 있을 겁니다. 우리가 .. 2013.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