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음 방지 경보기를 이용한 전정기관 설명 동영상 다운받기 시중에 판매되는 졸음 방지 경보기를 이용하여 귀의 평형감각기관 중 전정기관에 관한 설명을 합니다. 졸음 방지 경보기를 귀에 걸고 고개를 앞으로 숙이면 경보가 울리게 됩니다. 수업시간에 조는 학생들에게 사용해도 효과가 있습니다. - 하지만 자주 사용하면 효과가 떨어지니 가끔 사용하도록 하세요 그리고 학생 인권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니 본인의 동의를 얻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졸음 방지 경보기를 뜯어 보니 안쪽에 아주 적은 양의 수은이 들어 있네요 그래서 앞으로 숙이면 수은방울이 앞쪽으로 굴러가서 전선과 전선을 연결시켜 전기회로를 on 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귀 속의 전정기관에도 이석이 들어 있어서 중력 방향으로 기울어 지는 정도를 알 수 있지요 재미있는 것은 기울이지 않아도 졸음 방지 .. 2013. 4. 21. 방과후 지도자료 - 소눈 해부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소눈해부에 대한 자료입니다. 함께 첨부된 pdf 화일을 보시면 영문이지만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 받은 소눈해부한 사진을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http://www.exploratorium.edu/learning_studio/cow_eye/ 2013. 4. 21.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호르몬송)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호르몬송) 입니다. http://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er.jsp?flash=/sl_song/SONG2007/SONG200711/SONG2007110003/SONG2007110003.swf&title=호르몬송®no=SONG2007110003 가사보기 우리 몸의 호르몬 어디서 나올까요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 갑상선 부갑상선 송과체 흉선 이자 생식소 모자라도 안되지만 넘쳐도 안돼 뇌하수체 전엽에선 생장호르몬 뼈 근육과 내장의 생장을 조절해 너무 많이 분비되면 말단비대증 부족하면 왜소증이 되죠 세포호흡 물질 대사 촉진하는 것 이 호르몬 넘치면은 바제도우 병 반대로 부족하면 크레틴 병이 되는 티록신은 갑상선에서 항상성은.. 2013. 4. 21.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자극 전달 과정송)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자극 전달 과정송) 입니다. http://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er.jsp?flash=/sl_song/SONG2006/SONG200611/SONG2006110001/SONG2006110001.swf&title=자극송®no=SONG2006110001 보고 듣고 맛보고 만지고 냄새 맡아요 예쁜 꽃에서 나온 빛이 각막을 지나 수정체 유리체 너머 망막에 상이 맺히면 모양을 시신경이 체크! 소리는 우리에게 어떻게 들리는걸까 귓바퀴 귓구멍 지나 고막 청소골 지나 달팽이 관을 넘어서면 또 청신경이 체크! 대뇌는 모양과 소리알죠 혀에는 쓴-맛 신-맛 짠맛과 단맛~ 저마다 맛보는 부위가 모두다 달라요 유두의 미뢰안에 미세포 미신경이.. 2013. 4. 21.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귀의 구조송) LG 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귀의 구조송입니다. http://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er.jsp?flash=/sl_song/SONG2007/SONG200701/SONG2007010003/SONG2007010003.swf&title=귀의 구조송®no=SONG2007010003 쫑긋쫑긋~ 예쁜 소리 듣는~ 우리 귀 들여다 봐요~ 소리~는 음파로 귓바퀴에 모여서 외이도를 지나오지요. 고막이 울리면 청소골은 둥둥둥 북처럼 울려주고요 달팽~이 관 안에 액체~가 진동하면 청신경이 알지요 유스타키오관 압력 조절해서 고막~을 보호하지요 반고리관 회전감각 전정기관은 수평감각 청각~의 기능 신기해 청각~의 기능 신기해 (*곡: 아기염소) 2013. 4. 21.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눈의 구조송) 눈의 구조와 관련된 과학송이 있네요 http://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er.jsp?flash=/sl_song/SONG2007/SONG200701/SONG2007010002/SONG2007010002.swf&title=눈의 구조송®no=SONG2007010002 우리 눈의 구조 막부터 살펴보면 맨먼저 눈 보호의 공막 투명 막은 각막 맥락막은 암실 망막에 상 맺히면 오~굿! 모양체는 수정체를 잡아당겨서 얇아진 수정체는 상을 맺게 해 밝은데선 홍채 힘줘 동공이 줄어 어두우면 홍채 힘빼 동공이 커져 홍채 동공 두 부분은 빛의 양을 조절(밝기 조절!) 모양체와 수정체는 거리조절 맡는다네 홍채 동공 두 부분은 빛의 양을 조절(밝기 조절!) 모양체와 수정체는 거리조절 맡.. 2013. 4. 21. 피부 감각점 - 드라이이아스를 손으로 만졌을때 화상? 동상? - 질문거리 1. 왜 통점이 가장 많을까? 2. 드라이아이스를 만지면 화상을 입을까? 3. 로봇을 사람처럼 만들려면 제일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 감각점(통점) 드라이아이스를 맨손으로 만졌다가 '앗 뜨거워!' 라고 말하면서 손사레를 친 일이 있다. 드라이아이스는 차가운 물체인데 왜 뜨겁다고 말하는 것일까? 한동안 나의 고민 거리였다. 주변에 친구들과 선생님께 여쭤 보았지만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이후 많은 고민을 했고 나름대로 결론을 내렸다. 요즘도 수업시간에 감각점을 가르칠때면 학생들에게 질문해서 고민을 하게 만드는 주제중에 하나이다. --- 나름대로 정리한 거라 틀릴수도 있음 ---- 사람의 피부 감각점 중에 가장 많은 것은 통점이다. 왜 통점이 가장 많이 있을까? 고민해본 결과 역시 생명체에게.. 2013. 4. 21. 매직아이 만드는 프로그램입니다.-입체로 보이는 원리 설명 매직아이에서 글자를 입체로 볼 수 있는 이유는 멍 하니 바라볼때 두 눈으로 들어오는 글자의 양안시차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매직아이 만드는 프로그램입니다. 2.0으로 업그레이드 합니다. 업그레이드된 내용은 한글 3글자까지 입력할 수 있고, 1.0에서 글자가 약간 깨져나오던 것을 수정했습니다. 전에 글자가 약간 깨져 나왔었는데 오늘 갑자기 해결책이 생각나 업그레이드 하게 되었네요 3글자까지 입력되니까 학생들 이름을 적어 넣을 수도 있습니다. 화면을 캡쳐해서 학급신문에 넣거나, 게시판에 붙여 놓아도 좋을 것 같네요 글자입력칸을 작게 만든 이유는 교실에서 입력후 만들기를 할때 학생들이 입력한 값을 잘 알아보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화면 크기를 적당히 조절해 가시면서 보여 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검은 점이.. 2013. 4. 21. 카메라 - 간이 사진기 바늘구멍 사진기 앞에 렌즈를 달아 크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준비물 : A4용지 박스, 지름13cm 렌즈(과학교구사에서 8000원에 구입), 유산지 크게 만들어서 보여주니 학생들이 좋아하네요 2013. 4. 21. 이전 1 ··· 173 174 175 176 177 178 179 ··· 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