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풍선 날리기(공기의 온도에 따른 밀도차 이용) - 부력 태양풍선은 열기구처럼공기는 온도가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게 되고 부피가 팽창하면 밀도가 작아지게 되어 떠오르게 됩니다.공기에 의한 부력에 대해 설명할때도 좋을 것 같습니다.시중에 판매하는 태양풍선(Solor Bag) 을 구입하여여름 중등과학교실에 날려 보았다.얼마전 부터 날려보고 싶었으나 바람이 많이 불어 날리지 못하다가이번에 날려 보게 되었다.지름 1m 정도 길이는 15m 정도 되는 검은 얇은 비닐백을 잘 펼친다음공기를 넣고 양끝을 묶고 잡고 있으면 태양에 의해 검은 비닐 안에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따뜻해진 공기의 밀도가 작아져서풍선이 밀도차에 의해 떠오르게 된다.생각보다 짧은 시간에 떠 오르는 것을 보고 놀랐다.공기를 넣는 방법도 더 고민해 보면 뛰지 않고 송풍기등을 이용해서 넣을 수 있을 것 .. 2013. 4. 21. 토마토 계란 중간에 띄우기 - 밀도 마술 실험 계란이나 토마토를 물에 넣으면 가라 앉습니다.물론 소금물을 진하게 만들면 위에 떠오르게 되지요그럼 정가운데 떠있게 할 수 있을까요?이론적으로 소금물과 토마토의 밀도가 같으면 중간에 떠 있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건 실제로 쉽지 않아요. 밀도가 완벽하게 같다면 토마토 입장에서는 외력이 0인 상태가 됩니다. 토마토를 중간에 놓다가 살짝 이동하게 되면, 그 방향으로 등속운동하게 됩니다. 그래서 실제로 이런 상황을 만드는 것은 어렵습니다.그래서 안전하게 정가운데 떠 있게 만들어 보았습니다.학생들에게 가운데 떠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고민해 보게 하면 좋을 듯...이실험 준비할때 소금물이 빨리 녹으라고 약간 미지근한 물을 사용했습니다.위에 붓는 물도 똑같이 아니면 조금 더 따뜻한 물을 사용하면 좋겠지요. 찬물을.. 2013. 4. 21. 갈릴레오 온도계 (밀도차이)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외부 온도에 따라 변하는 온도계 안의 밀도(온도에 따라 액체의 부피가 변화)와 항상 일정하게 밀도가 유지되는 유리구슬들이 외부 온도의 변화에 의해 떠오르거나 가라앉는 원리를 이용하여 만든 온도계 2013. 4. 21. 끓는 기름에 물 튀는 현상 액체HCFC를 이용하여 재현(밀도, 끓는점) 끓는점차이와 밀도차이를 설명하려고 생각하다가 끓는 기름속에 물이 들어가면 튀어오르는 현상으로 설명해 보기로 했다. 뜨거운 기름에 물이 들어가면 급격하게 기름이 튀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때문에 화상을 많이 입기도 한다. 뜨거운 기름에 물이 들어가면 튀는 이유는 끓는점차이와 밀도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200도 이상의 뜨거운 기름속에 물이 들어가게 되면 물은 기름보다 밀도가 크므로 기름속으로 가라앉게 된다. 가라앉은 물은 주변의 높은 온도 때문에 순식간에 끓는점(100도)에 도달하게 되고, 급격하게 기화하게 된다. 이때 물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부피가 1600배 정도 커지기 때문에 기름 밖으로 수증기가 급격하게 빠져나가면서 기름이 사방으로 튀게 된다. 이 실험자체가 위험하므로 다른 물질을 이용해서 .. 2013. 4. 21. 무지개 물탑쌓기 - 밀도실험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설탕물의 농도차이(밀도차이)를 이용하고 각각의 농도에 색소를 섞으면 사진처럼 6층 물탑을 쌓는 것도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에 가면 요리재료를 이용한 밀도탑관련 내용도 볼 수 있다. http://sciencelove.com/1736 2013. 4. 21. 순물질과 혼합물 끓는점 비교 가상실험 - 끓는점은 순물질의 특성 혼합물은 끓는점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만들었던건데 순물질에서 끓는점이 물질의 특성인 이유를 설명할때 사용해도 될 것 같네요. 순수한 물은 100도에서 끓지만 소금물과 같은 혼합물은 더 높은 온도에서 끓는다. 그리고 끓는점이 계속해서 올라간다. 평상시에 설명하던 방법을 간단하게 가상실험으로 제작해 보았다. 설정에서 압력을 표시하면 대기압과 수증기압이 화살표로 표시된다. 사람모형표시를 누르면 분자들이 사람모양으로 바뀐다. 끓는점 오름에 대한 것은 이렇게 가르치면 좋습니다. 물이 100도가 되면 대기압을 뚫고 공기중으로 날아가게 되는데 그것이 끓는점입니다. 그런데 혼합물이 되면 물 표면에서 혼합물(저는 힘센 깡패들(?) 이라고 예를 들기도 합니다.)들이 물이 대기중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해합니다. .. 2013. 4. 21. 크로마토 그래피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치킨타월에 꽃을 그릴 자리에 6개의 점을 찍은 다음 중심에 이쑤시개 등을 이용해서 물을 떨어 뜨리면 물이 퍼져 나가면서 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해 사진처럼 꽃이 그려집니다. 완성한 후 코팅을 해서 책갈피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2013. 4. 21. 다이버를 이용한 마술(기체의 압력과 부피) 다이버를 이용한 마술(기체의 압력과 부피)제가 우연히 발견해서 수업할때 마다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2가지 다 과학적 원리가 숨어있습니다.일종의 속임수입니다.1. 초능력으로 다이버 오르내리게 하기2. 손으로 눌러 다이버 떠오르게 하기두가지 다 트릭이 있습니다.어떤 트릭이 있는지 밝혀 보는 것도 재미있는 학습이 될 것 같네요.다이버가 뜨거나 가라앉는 이유는 보일의 법칙과도 관계가 있지만밀도의 변화로 설명을 많이 합니다.시험관의 부피는 변화가 없는데압력을 가하면 시험관안의 공기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물이 더 많이 차 올라오므로 시험관 주둥이 끝까지 놓고 볼때 부피는 변화가 없지만 질량이 증가한 형태가 됩니다.즉 밀도가 증가한 거지요. 그래서 물보다 밀도가 커지는 순간 가라앉게 되는 겁니다.심화실험으로 시험관(.. 2013. 4. 21. 물질의 특성 임시정리 1. 알루미늄 포일 두께 계산하기 가. 여러장을 겹쳐서 측정한다음 장수로 나눈다. 나. 밀도를 이용하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 알루미늄 밀도는 주어진 상태에서 알루미늄을 사각형으로 잘라 가로 세로 길이를 측정하면 면적이 나오고, 전자저울에 올려놓고 질량을 측정하면 두께를 계산할 수 있음. 2. 1회용 라이타를 이용한 뷰테인 가스 밀도 측정 - 응용실험으로 좋음 (시간이 되면 동영상으로 만들어 볼 예정) - 1회용 라이타를 준비한다. - 질량 측정 : 1회용 라이타 질량 - 뷰테인가스를 다 뺀다음 1회용 라이타 질량 - 부피 측정 : 수상치환으로 1회용 라이타 손잡이를 눌러 뷰테인가스의 부피를 측정한다. - 2개의 값을 이용해서 밀도측정 가능 3. 신문에 나온 사진중에서 특정한 사람 그림의 면적 정.. 2013. 4. 21. 이전 1 ··· 172 173 174 175 176 177 178 ··· 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