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 경기과학에 실렸던 소리관련 원고 2009 경기과학에 실렸던 제가 쓴 소리관련 원고입니다. 2013. 4. 20.
소리관련 연구수업 지도안 2002년도에 부발중학교에서 했던 소리관련 연구수업 지도안입니다. 그당시 선생님들 노트북을 빌려 조별로 컴퓨터를 이용한 실험을 하게 했습니다. 관련 프로그램은 '가상실험'에 가시면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획기적이었던 점은 엑셀로 조별 보고서를 만들어 학생들이 조별 컴퓨터에서 엑셀로 입력을 하면 교사용 컴퓨터로 자동으로 취합되게 하여 결과정리때 각조에서 입력한 결과를 파워포인트로 한꺼번에 띄워놓고 설명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입니다. 파워포인트는 링크가 많이 걸려 있어서 첨부하지 못했습니다. 2013. 4. 20.
집음기 만들기(소리의 반사성질 이용) 동영상 다운받기 우산을 이용해서 집음기를 만드네요 아이디어가 좋은 것 같습니다. 소리도 파동이기 때문에 반사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지요 오목거울처럼 우산이 소리를 가운데로 모아주기 때문에 가능할 겁니다. 더 큰 우산으로 한다면 성능이 더 좋아지겠는데요 2013. 4. 20.
판위에서 소리에 따른 파동의 변화 실험 파동에 따른 변화 옥수수 전분의 파동에 따른 변화 2013. 4. 20.
녹말 전분을 이용한 파형 나타내기 + sineGen 프로그램 녹말 전분을 이용한 파형 나타내기 사용한 프로그램은 sineGen 이라는 무료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은 첨부합니다. 2013. 4. 20.
노래하는 고속도로 노래하는 고속도로 2013. 4. 20.
페트병 연주 소리는 진동수에 의해 소리의 높낮이가 결정된다. 가압펌프(원래 용도는 탄산음료를 먹고 탄산이 빠지지 않게 페트병 내부의 압력을 높이게 만든 뚜껑)를 이용하여 페트병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면 페트병을 두들겼을때 페트병의 진동수가 달라지게 된다. 페트병 내부의 압력이 커지면 페트병의 진동수가 커지게 되고 고음이 나게 된다. 원래는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8개를 만들 생각이었으나 라음 이상은 포기, 라 정도면 되도 페트병이 터질듯 부풀어 오른다. (탄산수 병을 사용하면 더 높은 압력도 가능할지도, 지금 보니 병이 생수병인 것 같기도 하다. 탄산수 병 밑을 보면 생수병과 다른데 지금보니 생수병인 것 같다, 정확히 어떤 병을 사용했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sounwav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페트병.. 2013. 4. 20.
가청주파수-모기벨소리 테스트<선생님은 어디까지 들을 수 있나?> 아래쪽에 있는 MPTM 프로그램이 더 좋습니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는 20-20000Hz 입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진동수가 높은 고음을 거의 들을 수 없다는 군요. 모기벨소리 우리나라에서는 틴벨이라고도 하는 군요 그래서 1만7천Hz 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만든 벨소리랍니다. 학생들에게는 들리는데 어른이나 선생님들은 거의 못듣는 다는 군요 유럽과 미국에서는 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답니다. 원래는 한 발명가가 상점에서 서성이는 청소년들을 쫒아내기 위해 생각을 해 냈다는 군요. 그런에 이것이 전화벨소리로 사용되어 지고 있답니다. IT통신이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틴벨이 전파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 같습니다. 벌써 발빠르게 일부 이동통신사에서 이미 선생님은 못듣는 벨소리 라는 이름으로 .. 2013. 4. 20.
유리잔 연주 - 소리의 3요소, 진동수와 음높이 유리잔의 진동수를 다르게 하면 연주를 할 수 있다. 유리잔을 두들기거나, 손가락으로 문질러서 나는 소리는 유리잔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 유리잔이 더 잘 진동할지를 생각해 보면 쉽다. 1. 같은 유리잔에 물의 양이 달라지면 같은 유리잔에 물을 많이 넣을수록 유리잔의 질량이 무거워져 진동을 잘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같은 유리잔에 물이 많아질수록 소리는 낮은음을 내게 되고, 물의 양이 적을수록 고음이 된다. 2. 크기가 다른 유리잔 같은원리로 큰 유리잔 보다는 작은 유리잔이 가볍고 빨리 진동하기 때문에 고음이 난다. 엄청 큰 유리잔을 상상해 보면 쉽다. 엄청 큰 유리잔을 한번 진동하는데 시간도 오래 걸릴 것이다. 3. 같은 크기의 유리잔이라도 두께에 따라서도 음 높이가 달라진다. 유.. 2013.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