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렌즈 작도 프로그램 2.6 - 눈의 구조와 간이사진기 비교 설치없이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웹용 추가로 만들어 올려 놓았습니다. 약간 기능이 떨어지지만 다운로드 없이 실험할 수 있습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lens/lens.html 학생에게 안내하는 설명이나 가상실험 링크는 아래 학생용 링크를 소개해 주세요. https://sciencelovestudy.tistory.com/38 렌즈 작도 프로그램입니다. 2.5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우측상단에 실제 렌즈에 의해 보이는 모습이 나타나게 했습니다. 2015개정교육과정에서는 작도보다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관찰을 중시하네요. 왼쪽 물체를 이동시켜 볼 수 있고 렌즈 오른쪽 초점 F 를 변화 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 만든 메뉴를 통해서 눈의 구조와 사진기의 구조를 비교해 .. 2013. 4. 21.
지진 해일(쓰나미)피해 2004년에 발생했던 지진해일 피해 모습입니다. 위성사진 전문업체인 디지털 글로브가 찍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아체 지역의 모습입니다. 슬라이드를 이용해서 해일 발생전과 발생후를 정확하게 비교해 볼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2013. 4. 21.
도플러 효과 가상프로그램 - 도플러 효과 체험 저사양 컴퓨터에서는 속도가 너무 느려지네요. 그래서 도플러효과(저사양용)을 추가로 만들어서 올려 놓았습니다. 압축을 풀면 저사양용도 함께 있습니다. 도플러 효과 가상 실험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파원(우주선)과 관측자를 마우스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놓고 파동발생 간격을 정한다음 파동을 발생시키면 우주선으로 부터 파동이 만들어 집니다. 파동이 관측자에 도달을 하면 관측자의 모습이 잠깐 바뀌게 됩니다. 사운드 작동에 체크해 놓으면 도달할때마다 소리가 납니다. 이제 파원의 속력을 바꿔 운동을 시켜 보면 관측자에 도달하는 파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 수 있습니다. 사운드 작동을 시키지 말고 학생들에게 파동이 관측자와 충돌하는 순간마다 박수를 치게 하면 훨씬 효과가 좋습니다. 물론.. 2013. 4. 20.
은하수-지구에서 보는 우리은하 모습 지구에서 본 우리 은하의 모습 즉 은하수 모습입니다. 처음에 에니메이션인 줄 알았는데 실제로 사진작가가 촬영한 동영상이라네요 세계 각 지역을 다니며 우리은하 중심(궁수자리 주변)을 촬영한 영상들입니다. 참고로 궁수자리는 영상을 잘보면 우리은하 아래쪽에 주전자 모양으로 보이는 별입니다. 여러번 반복되는 영상에서 잠시 멈춤을 하고 궁수자리를 찾아 보세요. 아래는 우리은하 중심을 보고있는 실제 영상입니다. 2013. 4. 20.
별의 일주운동 - 노래방 조명기계 화이트볼을 이용 노래방 조명기계 화이트볼을 이용하여 별의 일주운동을 설명해 보았습니다. 오래전부터 생각해 오던건데 몇일전 구입해서 사용해 보았습니다. 낮에도 어느정도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빛이 나오는 구멍을 막아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 자리를 표시해 놓으니 보기가 더 좋네요. 조명기계는 G마켓에서 노래방 조명으로 검색해서 '화이트볼 12인치' 짜리로 구입했습니다. 140000원 정도 합니다. 그리고 구입해 보면 천장에 다는 거라 플러그가 없고 전선이 끊어져 있습니다. 학교에서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 본체나 모니터 전원선을 가져다가 중간을 잘라서 연결해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평선을 변화시킬 수 있는 천구운동 모형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258 2013. 4. 20.
무료 별자리 관찰 프로그램(Stellarium) - 별자리,성운,좌표계 관찰 무료 별자리 관찰 프로그램입니다. 용량도 작고 지금까지 써본것 중에 제일 좋으네요 천체에 관한 대부분의 것들을 다 해볼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시간이 되는데로 만들어 올리겠습니다. 아래사이트에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그럼 별다른 설정없이 한글판으로 사용가능합니다.) http://www.stellarium.org/ko/ 혹시 몰라 설치프로그램을 첨부화일로도 올려 놓겠습니다. 한글로 번역된 설명서 경상남도 과학교육원에 가시면 장유고등학교 임수연 선생님께서 번역해 놓으신게 있네요 아래사이트에 가시면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earth.gnse.kr/info/free/view.html?articleID=b58d2cf2-695b-11df-a7fd-7d78e10160dd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1... 2013. 4. 20.
계절별 별자리 프로그램 - 계절별로 별자리가 달라지는 이유 가상 프로그램 아래 링크로 가시면 웹상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SeasonalConstellations/SeasonalConstellations.html 계절별로 별자리가 달라지는 이유를 설명하려고 만들었습니다. 지구라고 쓴 글자를 드래그 하면 지구가 자전을 합니다. 그럼 우측상단에 관측자 입장에서 보는 하늘의 별자리가 나타납니다. 별자리는 밤에만 보이겠지요. 지구를 드래그 하면 지구가 공전궤도면을 따라 공전을 하게 됩니다. 지구가 공전한후 다시 자전을 시키면서 어떤 별자리가 밤에 보이는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자동자전 에 체크를 해놓고 공전시키면 공전하면서 자동으로 자전을 하게 됩니다. 지구를 공전시키면서 보면 태양 또는 별자리의 연주운동도 관찰할 .. 2013. 4. 20.
북두칠성 입체 별자리 만들기 - 종이 팝업 북두칠성 입체 별자리 만들기입니다. 기존에 OHP용지와 빨대를 이용해서 만드는 방법이 있는데 준비물이 많이 들고 번거롭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또 노력에 비해 관찰하고자 하는 것은 아주 간단한 원리이므로 한번 관찰하고자 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많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팝업형태로 간단하게 입체 북두칠성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첨부화일을 다운 받으셔서 출력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출력용지 팝업 형태로 접어서 정면에서 본 모습 팝업형태로 접어서 위에서 본 모습 야광스티커등을 이용해서 별의 등급에 맞춰 입체 별 끝에 붙여주는 활동을 해도 좋을 듯... 2013. 4. 20.
온도에 따른 색변화 관련 영상 모든 물질은 자신의 고유한 온도에 해당하는 파장을 내놓게 됩니다. 별의 온도에 따른 색변화를 직접 보여줄 수는 없지만 간접적으로 고온의 물질을 이용해서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아서 유투브에서 영상을 찾아 보았습니다. 썩 마음에 드는 영상은 없네요 2013.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