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 반응 실험과 선스펙트럼 관찰 팁 정리 1. 소독용 알콜솜(탈지면) 을 이용하면 별다른 준비물 없이 깔끔하게 불꽃반응 실험이 가능하다. (우리학교 선생님을 통해 이번 실험에서 알게 되었다) 도자기로 된 기다란 접시(회초밥 접시(?))를 준비하고 소독용알콜솜을 올린 후 그 위에 원소를 살짝 올리고 태우기만 하면 된다. 뒷처리가 깔끔하고, 알코올을 엎지를 위험도 없어 안전하고 좋다. 소독용알코솜을 긴접시에 3개 올리고, 각각 원소를 작은숟가락으로 1/3 정도 퍼서 올린 후 불을 붙이면 된다. 한번에 너무 많이 하지 말고, 2-3개씩 실험하고 치우고 하면서 반복 실험하면 된다. 다 타고 나면 실험이 끝난 솜은 증발접시로 옮겨 놓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버리면 된다. 처음에는 그냥 점화기를 모둠별로 나눠 주었는데, 나중에는 준비가 끝난 모둠 손들라고.. 2023. 3. 16. 구글설문지 응답여부 자동확인 및 응답 내용 확인(구글설문지 응답 확인 스프레드시트 사용법) 궁금하면 일단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이것 저것 살펴 보자. 한마디로 학생들 구글설문지 답변 받은 것을 명렬표 순서대로 원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knJF2LnCgiFJfyBWRQmFpKluWKQnsu6Onp38U67HliI/edit#gid=561566493 설명이 쉽지 않다. 동영상을 보면 조금 이해가 될 듯 https://youtu.be/-6jKMQzKjCo 구글설문지로 학생들 응답을 받을 때. 미리 입력해 놓은 학생 명렬표와 비교해 가면서 제출 여부 및 입력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만들어 논 구글 설문지가 있다면 링크 주소만 가져다가 바로 활용할 수 있다. 예전에 zoom 자동 출석 및 응답 확인이랑 비슷하.. 2023. 3. 13. 윈도우11 노트북이용하여 스마트기기 미러링 하기(장비 필요 없음) 윈도우10에서 무선디스플레이를 연결해서 스마트기기 화면을 공유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윈도우11로 바꾸고 나서는 메뉴가 조금 달라져서 쉽게 미러링을 할 수가 없다. 노트북으로 미러링 하면 어떤 점이 좋은지는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188 잘 활용하면 노트북과 스마트기기를 함께 사용할 수 있어서 정말 좋은 점이 많다. 스마트기기(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을 무선 실물화상기 처럼 사용할 수 있다. 또 학생의 태블릿을 공유해서 화면에 띄워 줄 수도 있다.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모습 https://youtu.be/35WHQ9NqzZw 1. 무선 디스플레이 설치 윈도우11에는 무선디스플레이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아래 방법으로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 추가.. 2023. 3. 11. 교과학습방 이용하여 수업 링크 쉽게 보내고 학급운영까지 하기 수업시간 태블릿PC 를 학생들에게 나눠주고 수업할 때 제일 먼저 생기는 문제 중 하나가수업과 관련된 링크 주소를 전달하는 방법이다.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uQvhxsffjtW2wEm_qrO7hvDzL-2-FHcXa9pLAUrwwz0/edit#gid=35792113복잡한 건 싫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가성비가 좋은 방법이다.구글클래스룸, SNS, QR코드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필자가 제일 좋아하는 방법은 구글스프레드시트로 만든 교과 학습방을 이용하는 방법이다.학생들이 로그인 할 필요도 없고, 갑자기 생각나는 주소가 있으면 바로 추가로 제시할 수도 있다.집에서도 필요하면 접속해서 추가 활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원래는 쌍방향 수업에.. 2023. 3. 5. 개인과제 제출방(포토폴리오)을 만들어 수업이나 평가에 활용하는 방법 학생들에게 과제를 받거나 수업시간에 간단한 답변을 받기 위해서 매번 과제를 받을 주소를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중,고등학교의 경우에는 들어가는 반이 많다 보면, 간단한 과제 1개를 받기 위해서 반마다 과제를 받을 링크주소를 생성해서 학생들에게 알려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과제를 인터넷으로 받고 싶어도, 엄두가 나지 않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필자는 개인과제 제출방을 만들어 사용한 이후로 이런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띵커보드나 페들렛을 이용하여 학기초 반마다 개인과제 제출방을 1개씩 만들어 1학기 동안 사용하면 된다. 간단한 과제나, 사진첨부 파일을 받을 때 따로 과제를 받을 링크를 생성하지 않고, 학기초에 만든 개인과제 제출방을 재활용하면 좋은 점이 많다. 개인적으로 예전에는 페들렛을 썼.. 2023. 3. 1.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유튜브 영상 만들기(chatGPT+pictory) 인공지능을 이용하면 수업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과학 학습 영상을 만들 수 있다. 교사가 수업 자료로 만들수도 있고, 필요하다면 학생들이 모둠별로 영상을 제작해 보게 할 수도 있다. 단순히 인공지능이 만들어주는 영상을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든 영상을 추가해서 인공지능과 협업해서 영상을 만들 수도 있다. 다음은 부력에 대한 학습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이다. 1. chatGPT 이용해서 부력 설명 만들기 가. https://chat.openai.com/ 에 접속하고, 회원가입을 한다. 나. 채팅창에 부력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 달라고 요청한다. 이때 한글로 요청하는 것보다 가능하면 영어로 요청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생성형 인공지능이 한글보다 영어를 더 많이 학습했기 때문이다. 2. 설명한.. 2023. 2. 27. 인원점검 명렬표 2023(웹용) - 적극 추천 아래 링크에 새로만든 인원점검 명렬표 2024를 사용하세요. 여러가지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고, 명단을 수정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https://sciencelove.com/2746 인원점검 명렬표 2024(웹용) - 구글스프레드시트 사용(적극 추천) 교사를 위한 인원점검 웹 명렬표다. 종이 명렬표 없이 간단하게 학생들 체크를 하거나, 원하는 학생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학기초에 한번반 설치해 두면 1년 동안 편 sciencelove.com 교사를 위한 인원점검 웹 명렬표다. 종이 명렬표 없이 간단하게 학생들 체크를 하거나, 원하는 학생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학기초에 한번반 설치해 두면 1년 동안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험학습을 갔을 .. 2023. 1. 5. 협력하여 고무줄로 종이컵 쌓기 (힘의 합력과 탄성력 이용) 힘의 합력에 대해 배우고 나서 즐겨하는 활동이다. 준비물도 간단해서, 마음만 먹으면 바로 진행할 수 있다. 과학 수업 시간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일반교과 시간에도 모둠 활동으로도 많이 활용하고 있다. 학기 말 모둠 활동으로 기록이나 경쟁게임으로도 좋다. 고무줄, 50cm 끈 4개, 종이컵 너무 쉬워서 만드는 방법은 설명이 필요 없다. 1개의 고무줄에 끈 4개를 연결하면 된다. 여유가 있다면 고무줄에 끈을 직접 연결하지 말고, 클립을 통해 연결한다. 그럼 클립이 고무줄 사이를 이동해 다니기 때문에 좀 더 협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끈 끝에 고리를 연결해 주는 것도 좋다. 고리에 손가락을 넣고 게임을 하게 할 수 있다. 고리가 없으면 학생들이 자꾸 끈을 짧게 잡으려고 한다. 클립이나 고리 대신 실로 고리를 만들.. 2023. 1. 4. 역학적 에너지보존법칙(총알 속력과 높이) 역학적 에너지 보존법칙을 확인하는 실험은 보통 높은 곳에서 물체를 떨어뜨리고, 바닥에 도착하기 전에 속력을 측정해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모두 전환되는 걸 보여주는 실험이 대부분이다. 좀 더 재미있는 실험을 해 볼 수는 없을까 생각을 하다가, 장난감 총을 이용한 실험을 설계해 보았다. 쇠 구슬보다 총알은 가볍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공기저항도 많이 받고 오차가 심할 수 있다. 하지만 중학교 수준에서 정확한 실험 결과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실험을 하게 하고 싶었다. 그리고 기존의 실험과 반대가 되는 역발상으로 새로운 실험에 도전해 보고 싶었다. 장난감 총알을 하늘로 발사해서 올라간 높이를 측정하면 처음 발사된 총알의 속력을 알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총알이 가볍고 속력이 빨라서 올라간.. 2023. 1. 4.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