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과학임시자료272 <수업설명팁> 칼을 유리창에 그어보면서 모스굳기계에 대한 설명 수업시간에 모스굳기계에 대한 설명을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굳기란 단단하고 무른정도를 이야기 하는데 학생들은 굳기를 강하고 약한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다이아몬드로 탱크를 만들면 어떤 것으로도 부술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오개념을 없애기 위해서 제가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학생들에게 이런식으로 설명합니다. --------------- 굳기란 단단하고 무른 정도를 이야기 한다. 2개의 광물을 서로 긁어서 긁히는 쪽이 무른쪽이고, 안긁히는 쪽이 단단한 쪽이다. 굳기 순서에서 숫자가 크다고 해서 더 강하다는 것은 아니다 혹시 칼 가지고 있는 사람? (칼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칼을 건네주면 받아서 유리창가로 간다) 선생님이 유리창을 칼로 잘라 보려고 한다. 에잇 (.. 2015. 3. 26. <수업설명팁> 교실 유리창가의 화강암을 이용한 조암광물 설명 광물의 구성에서 화강암에 대한 설명을 할때 주로 사용한다. 교실 유리창가를 보면 대부분 학교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아래는 학생들에게 수업시간에 설명하는 방법입니다. ----- 시험볼때 공식적으로 컨닝이 가능한 암석이 유리창가에 존재한다. 화강암이다. (대부분 대리석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화강암의 결정 크기는 밝은점과 어두운점들이 구분이 되는 것으로 보아 충분히 크다. (결정크기가 작다면 단색으로 보인다.) 그리고 잘 살펴보면 결정 색깔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하얀색 석영, 갈색 장석, 검은색 흑운모 이들은 조암광물중에 가장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광물들이기고 하다. 조암광물줄에 가장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광물이 뭔지 아니? (학생들은 석영과 장석을 헷갈려 한다.) 학교 운동장을 살펴보자. 학교운동장.. 2015. 3. 26. 지구내부구조송 - LG사이언스랜드 - 지구내부구조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지구내부구조송입니다. 링크를 따라가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http://lg-sl.net/product/sciencesong/sncsong/readSncsong.mvc?sncsongId=SONG2014090002 지구의 내부구조 알아볼까요 지각 맨틀 외핵 내핵 지각과 맨틀 경계면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 맨틀과 외핵 경계면 구텐베르크 불연속면 외핵과 내핵 경계면 레만 불연속면 지진파 2가지 P파 S파로 알아봐요 딱딱한 지각은 두꺼운 대륙지각 얇은 건 해양지각이죠 지구의 전체부피 80퍼센트 맨틀은 고체가 분명해요 S파가 못가는 외핵은 액체 P파 빨라지는 오천백킬로 아래로 내핵은 고체일거에요 (*곡 : 헨델 오페라 중 '울게하소서' 편곡) 2015. 3. 26. 지구계송 - LG사이언스랜드 - 지구계 구성요소 설명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지구계송입니다. http://lg-sl.net/product/sciencesong/sncsong/readSncsong.mvc?sncsongId=SONG2014010001 지구는 태양계 세번째 행성 공전과 자전을 하고 있지 지구를 구성하고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을 지구계라 하지 지각과 지구내부는 지권 대부분 고체로 되어있지 기권은 몰라도 대기권은 알거야 질소 산소 구십구프로 살아있는 모든 것들 그들의 권역 생물권 수권의 대부분은 바닷물 담수의 대부분은 빙하와 지하수 외권은 지구바깥 우주공간 지상에서 천킬로 밖이야 물질이 지구계의 권역을 순환해 물,탄소 탄소 여러 형태 물은 고체,액체,기체로 순환 물질이 순환할때 에너지는 전환되어요 지구 에너지원 태양에너지와 지구내부 에너지 2015. 3. 26. <수업설명팁> 화성암 결정 크기 쉽게 설명하기 + 프로그램 화성암의 결정크기는 냉각속도와 관련이 있다. 빨리 식는 것은 결정이 작고, 천천히 식는 것은 결정이 크다. 간단한 사실인데도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하고 어려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쉽게 설명해 줄 수 있을까 고민을 하다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명을 한다. 설명을 해보니 학생들이 잘 이해하는 것 같아 맨위에 프로그램으로도 만들어 놓았다.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서 실행하면 아래 설명해 놓은 현상을 직접 눈으로 보여줄 수 있다. 학생들을 광물결정이라고 가정하고 마그마처럼 액체상태로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학생들은 교실에서 각자 돌아다니면서 마음대로 놀고 있다. 자 그럼 게임을 해보자 마음대로 놀다가 갑자기 선생님이 시키는 대로 해야 한다. 선생님이 남자는 남자끼리 여자는 여자끼리 모여라, .. 2015. 3. 16. 굴절 - 자석이용 떠 보이는 동전, 물속에 들어가면 짧아 보이는 물체 빛 관련 실험에는 재미있는 실험들이 많다.그 중에 물을 부으면 컵속에 있는 물체가 떠 보이거나,물속에 있는 물체가 짧아 보이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 많다.오늘 쉽게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막대자석을 이용해서 물체를 움직여 가며 보여주는 방법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사각수조와 막대자석을 이용하면 직관적으로 쉽게 물속에 있는 물체가 물이 없을때와 있을때의 차이점을 비교해 줄 수 있다. 1. 물속에 있는 물체가 떠올라 보이는 것을 물밖에 있는 자석과 비교하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영상은 입체감이 나지 않아 미흡해 보이지만실제로 해보면 훨씬 더 구별이 잘 된다.https://www.youtube.com/watch?v=cAm6aHB0b9k 2. 물속에 있는 물체가 짧아 보이는 것과 물속에서 물밖을 봤을.. 2015. 2. 15.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분광기 만들기 분광기를 관측할때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시간을 내서 스마트폰에 장착할 수 있는 분광기를 만들어 보았다. 쉽지는 않았다. 중간에 잠깐 쉬었다가 생각나면 개선하고 쉬고, 하면서 3개월 정도 걸렸다. 전개도를 출력해서 동영상처럼 만들면 된다. 준비물은 전개도와, 공CD , 고무줄2개 그리고 가위,자,풀,스카치테이프 등이 필요하다. *주의할점 반드시 CD를 사용하도록 하고 CD를 자를때 방향성이 있으므로 방향에 주의해서 붙여야 한다. 그리고 CD를 벗겨 내면 안된다. 반사를 해서 만들기 때문에 CD뒷면이 벗겨져 투명해 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래서 풀로 CD를 붙이면 뒤에 반사면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과감하게 CD조각을 스카치테이프를 이용해서 붙이 도록 한다. 자세한.. 2014. 7. 1. 소리렌즈 - 파동의 굴절 소리도 파동이기 때문에 밀한 매질을 만나면 속력차이에 의해서 굴절이 일어난다. 그래서 풍선안에 이산화탄소를 채워 넣으면 볼록렌즈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예전에 탐구자료로 만들었던 건데 파동을 설명하기 위해 이곳에 다시 올려 놓는다. 활동준비 1. 준 비 물 : 드라이아이스, 고무풍선, 은박풍선, 스피커, 컵 2. 구입방법 : 과학교구사 3. 소요경비 : 드라이아이스 20Kg (30000원), 탐구과정 1. 풍선안에 드라이아이스 조각을 넣고 끝을 잘 묶는다. 2.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 풍선안에 이산화탄소 기체가 채워지며 부풀어 오른다 3. 풍선의 중심으로부터 60-70cm 정도 되는 곳에 스피커를 설치한다. 4. 스피커가 설치된 풍선의 반대쪽으로가서 풍선중심으로부터 15-30c.. 2014. 4. 19. <수업설명팁>레이져 포인터 하나로 설명하는 정반사와 난반사 투과 정반사와 난반사에 대한 설명을 열심히 하였다. 그리고 레이져 포인터를 들고 천장에 비추어본다. 수직으로 천장에 비추다가 약간 비스듬하게 천장에 비춘다. 학생들에게 질문해 보자. '비스듬하게 비춘 레이져 빛은 천장에 충돌하고 어느쪽으로 진행할까요?' 거의 대부분 학생들이 입사각과 반사각의 예를 들며 반대쪽으로 진행한다고 대답한다.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은?' 배운것과 실제 생활에서 일어나는 일이 전혀 일치하지 않음을 느낀다. 천장에 비춰진 빛은 난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모든방향으로 폭탄터지듯이 진행한다. 학생들은 잘 수긍하려 들지 않는다. 증거는? 모든학생의 눈에 천장에 비춰진 레이져 빛이 보인다는 것이다. 본다는 것은 빛이 눈으로 들어와야 보인다. 따라서 천장에 비춰진 빛은 지금 모든학생의 눈으로 들어가.. 2014. 4. 9. 2009 경기도 과학교육원 - 과학수업아이디어 나누기 - 빛관련 연수 이 행사에 참여해서 빛과 관련된 수업아이디어를 발표하였습니다. 제가 개발하거나 활용하는 빛과 관련된 내용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금보니 약간 틀린부분도... 아래는 발표 동영상 입니다. 한번 보시면 빛에 대한 전반적인 수업 아이디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lW70zNqRbeI 2009 과학수업아이디어 나누기 행사 관련 내용 가. 일시 : 2009. 4. 19(일) 09:00~18:00 나. 장소 : 경기도과학교육원 연수동 실험실 다. 참여대상 : 초, 중, 고 과학교사 (학생 및 일반인 참여 없음) 1) 참신한 과학수업 아이디어를 소개할 전국의 우수한 과학교사들로 구성된 강사진으로 수업 주제별 워크샵 운영(수업 시연) - 과학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간단한 수업아이디어.. 2014. 4. 9. 본다는 것은? - 편지봉투 안뜯고 안에 있는 내용읽기 초능력 마술 편지봉투 안의 내용을 볼 수 있을까? 볼 수 없다면 왜 볼 수 없을까? 학생들에게 본다는 것의 개념을 명확하게 잡기 위해서 모둠 활동을 해 보았다. 결국은 본다는 것이 무엇인지에서 부터 접근해야 한다. 본다는 것은 빛이 눈으로 들어오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편지봉투를 뜯지 않고 안에 있는 내용을 볼 수 있을까? 우선 편지봉투를 살펴보자. 분명히 편지봉투를 투과해서 오는 빛은 약하지만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투과해 온 빛을 보면 편지봉투안의 내용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편지봉투를 투과해 온 빛보다 편지봉투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편지봉투 안의 내용을 볼 수 없는 것이다. 낮에 밝은 태양빛 때문에 별을 볼 수 없는 것과 같은 원리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해답이 나온다. 낮.. 2014. 4. 3.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주기율송)-주기율표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입니다.아래 사이트에 가시면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http://www.lg-sl.net/product/sciencesong/sncsong/readSncsong.mvc?sncsongId=SONG2013070001 주기율은 원소의 화학적 성질이 일정한 순서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한다는 법칙을 말해요 이것을 표로 나타낸 것이 주기율표 멘델레예프가 만든 것을 기초로 해서 현재 주기율표는 18족과 7주기 형태 7주기는 미완성 상태로 발견 중이죠 95번부터는 합성으로 만든 인공원소 동일 주기의 원소들은 같은 수의 전자껍질을 가지고, 동일 족에 있는 원소들은 최외각 전자수가 주기적으로 같기 때문에 물리, 화학성질이 비슷 18족의 원소들은 화학반응 거의 없죠 주기율표의 왼쪽 아래로.. 2014. 3. 8.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중학교 과학) + 운영지원 자료집 교과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해서 보급한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중학교 과학)과 중학교 성취평가제 운영지원 자료집 - 과학과 입니다. 2014. 2. 24. 2009 과학과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 기술부 고시) 교육과학 기술부에서 고시한 제 2011-361호 2009 과학과 개정 교육과정 입니다. 수업을 하기전에 교육과정을 한번 읽어 보면 어떤것을 가르쳐야 하고 어떤것을 가르치지 말아야 할지 알 수 있어서 좋습니다. 예전에 과학경시대회 문제를 출제한 적이 있는데 그때도 최우선으로 살펴보는 것이 교육과정이었습니다.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문제는 출제할 수가 없거든요.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교사로서 큰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2014. 2. 24. 종이로 만드는 태양 고도 와 그림자 길이 측정장치 종이로 만드는 태양 고도 와 그림자 길이 측정장치입니다. 인터넷 서핑하다가 발견했습니다. 아이디어가 좋네요. 출처 : http://blog.daum.net/uribyul/3019823 활용방법은 아래 사이트에 잘 설명해 두셨네요.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romytox&logNo=70072693133 2014. 2. 20. 거울위에 마술 주사위 - 반사의 법칙 거울위에 올려져 있는 마술주사위 동영상을 관찰해 보면 거울위에 올려져 있는 주사위와 거울에 반사된 주사위의 색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일이 가능한 것일까? 우선 동영상을 관찰해 보자.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사실은 거울위에 있는 주사위는 직접 보는 것이고 거울에 반사된 주사위는 반사가 되어 보여 진다는 것이다. 반사의 법칙을 잘 이용하면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어떻게 된 것인지 생각해 보자. 아래 격자그림을 만들어 거울에 비췄을때 직접 보이는 것과 거울에 보이는 모습이 다른 것과 같은 원리이다. 참고로 격자그림 만드는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ciencelove.com/305 마술주사위 원리는 알면 재미 없는데. . .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2013. 12. 30. 호루라기 피리 악기 만들어 연주하기(파동실험) * 요즘은 호루라기 피리 키트도 판매되고 있다. 자르기 힘들면 키트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천중학교 과학교육선도학교에서 재미있는 과학수업을 위해 2010년에 개발한 자료 입니다. 실험목표 호루라기 피리를 이용하여 파동의 일종인 소리에 대해 수업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소리의 높낮이와 진동수에 대해 탐구할 수 있다. https://youtu.be/uYhLCDL0V_c ▸ 실험준비 1. 관련단원 : 중학교 2학년 6단원 빛과 파동 2. 준 비 물 : 호루라기(플라스틱), 주사기(10ml), 글루건, 송곳, 줄톱, 칼 3. 구입방법 : 자체제작 4. 소요경비 : 1000원 정도 ▸ 실험방법 1. 주사기 앞부분(돌출 부분)을 줄톱으로 자른 후 가위로 다듬어 매끈하게 만든다. 2. 주사기의 .. 2013. 6. 24. 쥬스병을 이용한 빛 굴절 및 전반사 실험 몇일전 마트에 갔다가 재미있는 쥬스병을 발견했다. 쥬스병 1개에 2개의 쥬스가 담겨있는 병이었다. 정식명칭은 '서울_아침에주스듀엣_280ML' 보는 순간 이건 굴절실험에 딱이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쪽에는 물을 한쪽에는 향연기를 채워 넣으니 가지고 다니면서 실험이 가능하다. 특히 향연기가 장시간 남아 있어서 편리하게 실험을 할 수 있다. 물속에서 빛이 나아가는 경로를 보려면 우유를 한방울 섞어야 하는데 갑자기 실험하려니 우유가 없어서 녹차로 실험해 보았다. 녹차로 실험해도 잘 보인다. 기존의 실험장치와는 달리 물에서 공기로 나아가는 실험도 병을 뒤집어 놓으면 쉽게 할 수 있다. 내친김에 각도기를 투명필름에 인쇄해서 붙여 보았다. 정밀도가 높은 실험은 어렵겠지만 중학교 수준에서의 실험은 다 가능하다. .. 2013. 5. 8. 지구 내부구조 종이이용해서 모형 만들기 외국 사이트에서 보고 학교 현실에 맞게 조금 수정해서 따라해 보았습니다. 지구 내부구조를 모둠별로 만들어 합쳐보는 활동입니다. 2명이 1조가 되도록 하고 20개의 종이를 준비했습니다. (B4용지 10장이면 20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A4용지 또는 B4용지를 가져다 절반으로 접어서 자르고 다시 대각선으로 종이를 잘라 준다. 끝부분을 동그랗게 다듬은 다음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2명이 1장씩 받아서 받은 종이에 연필로 선을 그은다음 각 층과 특징을 표시하고 다 하고 나면 앞으로 제출하도도록 하였습니다. B4용지 1장을 반으로 나누면 1장당 길이가 약 39cm 정도 되는데 학생들에게 계산하기 좋게 지구 중심부터 위쪽으로 32cm 까지 지구 내부 구조를 그리라고 하면 된다. 아래 그림에서는 남은 부분.. 2013. 5. 8. 7차교육과정 2학년 전단원 학습지 2007년에 만든 중학교 2학년 전단원 학습지 입니다. 민서엄마가 직접 수업에 쓰기 위해서 만든 겁니다. 저작권은 민서 엄마에게 있습니다. 2013. 4. 28.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