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과학임시자료272 (임시) Mstick을 이용한 RGB 사진 변화시키기 - 빛의삼원색 예전에 구입한 Mstick 인데 RGB색을 마음대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래서 빛의 삼원색 합성 이야기 할때 보여주려고 구입했는데 최근에 새로운 사용처를 발견했다. RGB사진을 변화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면 되는 구나. 조명색에 따라 달라지는 그림을 변화시킬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조명색에 따라 달라지는 rgb 그림은 아래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310 2019. 9. 3. (임시)편광판을 이용한 마술 김성규샘이 알려 준 편광판을 이용한 마술? 편광현상을 이용한 과학? 2019. 9. 3. (임시) 실 회전시키기 - 기체압력 이용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위쪽은 큰 구멍 아래쪽은 작은 구멍 중간에 바람을 불어 넣으면 작은 구멍쪽에서 큰구멍쪽으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기압차이가 생긴다. 그럼 실은 기압차에 의해 구멍이 작은쪽에서 큰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예전에는 베르누이 원리로 설명했는데 현재는 이건 잘못된 해석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중간에 링을 통과시키는 것은 초능력? 은 아니고 바람을 따라 이동하던 실이 바람의 방향이 바뀌니까 순간적으로 링 안쪽으로 회전하고 있을 뿐이다. 빨대와 필름통으로도 만들 수 있다. 2019. 9. 2. 손가락 렌즈 - 바늘구멍 사진기 - 핀홀안경 - 빛 눈 노안이와도 걱정 없다. 손가락으로 바늘구멍을 만드는 것만으로도 돋보기 없이 글자를 읽을 수 있다. 가까운 것 뿐만 아니라 멀리 있는 글자도 훨씬 더 잘 읽을 수 있다. 일단 한번 시도해보자. 한번 손가락을 아래 사진처럼 만들고 눈에다 (안경위치보다 더 가까이 거의 눈앞에 바싹 붙여야 한다) 대고 손가락 사이에 작은 구멍을 통해 가까운 글씨나 멀리있는 글씨를 관찰해 보자. 마법이 아니다 과학이다.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을때 눈 앞에 손가락으로 작은구멍을 만들면 신기하게 잘 보인다. 원리는 바늘구멍 사진기 원리 때문이다.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를 가르치다 생각해 낸 아이디어다. 물로 핀홀안경처럼 상품으로 나와 있는 것도 있다. 시력이 좋아진다나?(이건 과학적으로 아닌듯) 수정체는 렌즈.. 2019. 9. 1. (임시)음료수캔 비스듬하게 세우기 - 무게중심 이용 -중력 사이다캔이나 맥주캔과 같은 음료수 캔은 무게중심을 잘 맞추면 비스듬하게 세울 수 있다. 물론 음료수가 가득 들어있거나, 비어 있을때는 불가능하다. 음료수가 1/5정도 들어 있을때 옆으로 세우면 신기하게도 잘 선다. 2019. 8. 29. (임시)에어자동차 - 공기 에어 엔진 - 압축공기를 이용한 엔진 - 기압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엔진을 돌리는 에어자동차 - 기압 수업을 할때 보여 줘야지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해 보면 더 신기하다. 2019. 8. 29. (임시)날계란과 삶은 계란구별법 + 계란 세우기 - 힘 관성 회전운동 날계란과 삶은 달걀을 구별하는 방법은 힘껏 돌려 보면 된다. 그러면 삶은 계란은 신기하게도 팽이처럼 일어서서 돈다. 그냥 도는 것이 아니라 돌면서 일어선다. 안 돌리고 세울수도 있다. 이때는 소금알갱이 몇개의 힘을 빌려서 세우면 된다. 소금 알갱이 몇개를 살짝 상위에 미리 떨어뜨려 놓고 그것을 받침점으로 이용하여 세우는 것이다. 2019. 8. 29. (임시)갈릴레이 상대운동 -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배 - 속력 운동 베트남 여행중 하롱베이에서 크루즈 타고 촬영한 영상 운동은 상대적이다. 옆에 같은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배만 바라보고 있으면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멀리 있는 풍경을 보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멀리있는 풍경을 볼 수 없다면 우리배가 움직이는지 알 수 없다. 2019. 8. 29. (임시)소리수업 - 개구리 소리 - 파동 베트남공항에서 구입한 개구리 소리나는 인형 소리 수업할때 사용해야지 2019. 8. 29. 평면거울 가상실험 - 거울에 반사된 상의 크기와 위치 실험 평면거울에 반사된 상의 크기와 위치를 알아보는 가상실험이다.2015 개정교육과정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실험이다.작도가 빠지고 관찰 실험에 의해 상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하게끔 설계가 되어 있어, 그에 맞춰서 가상실험을 만들었다. 평면거울 뒤에 물체를 놓아 볼 수 있고, 평면거울을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높이가 사물의 절반인 평면거울을 놓고 거울 앞과 뒤의 물체의 위치를 옮겨가며 한개의 물체처럼 만들어 보는 실험을 통해서 평면거울에 의해 생기는 상의 위치 그리고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실험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실험과 함께 활용하면 좋다. https://sciencelove.com/2325평면 거울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 관찰" data-og-description="고전적인 내용이다. .. 2019. 7. 7. 편광필름 이용하여 마법처럼 반사광 사라지게 하기 편광필름을 이용하면 다양한 현상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브루스터각 으로 반사되는 편광된 빛을 마법처럼 완전히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알고 있던 거지만, 실제 확인해 보니 더 신기하다. 과학실 장식장 유리창에 반사된 빛이나, 탁자 유리면에 반사된 형광등 빛, 또 자동차 유리에 반사된 빛을 브루스터각이 되게 맞추고 편광판을 회전시켜 편광된 빛과 수직이 되게 맞추어서 보면 마법처럼 반사광이 사라져 버린다. 물론 평행하게 맞추면 다시 반사광이 보인다. 노트북 lcd모니터도 편광 원리를 이용하는데 편광판을 돌려가며 잘 맞추면 마치 화면이 꺼져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다. 주변의 사물은 다 보이는데 분명 켜 놓은 노트북 화면만 꺼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잘 응용하면 연구실이나 교무실을.. 2019. 7. 5. 암석단원 정리용 블리츠 카드 게임 암석단원 정리용 블리츠 카드게임입니다. 모둠별로 카드 게임을 하면서 암석단원 내용을 재미있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된다면 문제를 미리 나눠 주고 공부할 시간을 줘도 좋을 것 같네요카드는 위 화일을 다운 받아서 출력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암석단원 온라인용 블리츠 카드게임은 아래 링크에서 할 수 있다.https://t.ly/YVr0T 블리츠게임을 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블리츠카드 게임을 직접 만들 수 있는 엑셀프로그램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본인이 원하는데로 문제를 수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떤 수업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https://sciencelove.com/2364 블리츠 카드 게임 이용한 학습용 카드 게임 만들기 및 게임 설명서엑셀 양식을.. 2019. 4. 21. 암석의 순환 카드 게임 및 활용방법 암석의 순환을 쉽게 익힐 수 있는 카드게임을 만들어 보았다. 이것 저것 시도해보고 계속 실패하다가, A4용지 1장만 모둠별로 나눠 주면 게임을 할 수 있게끔 만들게 되었다. 따로 코팅할 필요 없다. 모둠별로 1장씩 나눠주고 게임을 한 다음 걷어서 재사용해도 되고, 버려도 된다. 어차피 모둠별로 카드모음 A4용지 1장씩만 나눠 주면 된다. 재단기를 사용하여 미리 점선으로 잘라가지고 가면 가위가 없어도 손으로 뜯어내서 카드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게임을 해보면 처음에는 생각보다 어렵다. 그런데 익숙해지니 재미있어진다. 특히 상황카드는 2가지 상황이 동시에 나오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상황을 성공시켜 암석을 얻어가면서 게임의 묘미가 더해진다. 처음에 어려워 하면 암석의순환 그림을 밑판으로 깔고 해당되는 곳에.. 2019. 4. 16. 간접측정은 부정확한가 (열화상 카메라 이용 간접측정 - 지구내부 구조도 간접측정) 지구내부구조를 가르치다 보면 지구내부에 들어가 본 적도 없는데 어떻게 지각,맨틀,외핵,내핵으로 되어 있는지 알 수 있냐는 질문을 받곤 한다. 지구 내부를 직접 들어가 본 사람은 없다. 그런데 어떻게 이런것 들을 믿을 수 있을까? 우리 주변에는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전자나 우리가 살고 있는 우리 은하 처럼 직접 관찰하거나 측정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직접관찰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면 가장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간접측정을 통해서 구조를 탐구 하게 된다. 간접측정한 것은 옳지 않을까? 직접 측정 한 것보다 부정확할까? 꼭 그렿지는 않다. 오히려 간접측정한 것이라도 측정 방법과 결과에 대해 반박할 수 없다면, 직접측정 한 것 만큼 정확할 수 있다. 오히려 때로는 직접측정한 것 보다 더 정확할 수도 있.. 2019. 3. 17. 거울에 반사된 상의 모습 착시 - 당연한 것은 없다. 거울에 반사된 상은 거울면에 대칭이다. 우리는 매일 거울을 봐 왔기 때문에 누구나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믿음이 깨지는 순간 우리는 당황하고 혼란스러워 진다. 그러면서 평상시에 안하던 깊은 생각을 하게 되고, 창의력이 생겨난다. 당연한 걸 당연하게 보는 순간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다. 그리고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다. 그냥 당연하다고 믿고 있을 뿐.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거울에 반사되어 생기는 상의 모습에 대해 완전히 이해했다고 믿는 순간 다음 사진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 사진은 진짜일까? 조작된 걸까?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너무나 당연한 걸 보면 더이상 토의할 말이 없다. 그런데 위 사진을 보여주면 할 말이 많다. 많은 말이 오간다음에 정답을 알려 준다. 이건 실제 사진이다. 조작된 것이 .. 2019. 2. 13. 렌즈 작도와 거울 작도 가상실험 앱 - 스마트폰용 물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나 거울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작도하면서 확인하는 앱이다. 렌즈작도 프로그램 https://sciencelove.com/1152 거울작도 프로그램 https://sciencelove.com/1165 초,중,고에서 다 사용할 수 있게 렌즈나 거울을 통해 보이는 모습을 한쪽 옆에 나타나게 했다. 렌즈작도에서는 카메라나 망막에 상이 맺히는 원리도 알아 볼 수 있다. 최대로 축소하고 물체를 최대한 멀리 놓으면 상이 초점부근에서 맺힌다는 것도 보여 줄 수 있다. (돋보기로 태양빛을 이용하여 물체를 태우는 원리) 물체를 움직일 수 있고, 물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초점거리도 조절할 수 있다. 앱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거나 플레이 스토어에서 '렌즈작도 가상실험' '거울작도 가상실험'으로 .. 2019. 1. 24. 암석분류 가상실험 앱 - 스마트폰용 암석을 직접 만져 볼 수 없어도 스마트폰으로 가상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수업시간에 모둠별로 태블릿을 가지고 분류하거나, 집에가서 혼자 연습해 볼 수 있게 앱으로 만들었다. 플레이스토어에서 암석분류 로 검색하거나 아니면 아래 링크에서 설치할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Rockclassification 암석들을 드래그 해서 해당하는 곳에 가져다 놓으면 된다. 설명을 누르면 암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나오고 돋보기 확대 아이콘을 누르면 암석을 크게 확대해서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컴퓨터용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sciencelove.com/1029 2019. 1. 22. 화성암 분류 가상실험 어플 - 스마트폰용 화성암 분류 프로그램을 어플로 제작했다. 이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해서 화성암 분류를 해 볼 수 있다. 모둠별로 태블릿을 나눠 주면 화성암 분류 프로그램 어플을 실행시키고 화성암의 결정크기와 색을 살펴보면서 화성암을 구분할 수 있다. 추가로 예전에 없던 문제출제 버튼을 만들었다. 문제 출제 버튼을 누르면 화성암의 모습이 왼쪽 사각형 안에 나타나게 되는데 결정크기와 색깔을 보고 암석명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정답을 누르면 어떤 화성암인지 오른쪽 화면에 십자표시로 나타난다. 수업시간에 모둠별로 태블릿을 주고 10개이상 문제출제를 하고 상의해서 또는 돌아가면서 어떤 화성암인지 맞춰보라고 했더니, 게임처럼 반복하는 과정에서 화성암 구분기준을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었다. 돌아다니면서 들어보니 화성암의 모습.. 2019. 1. 21. <수업설명팁>평면 거울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 관찰 고전적인 내용이다. 평면거울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은 거울면에 대칭인 곳에 물체와 같은 크기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거울면에 대칭인 곳에 똑같은 물체를 놓으면 언뜻보아서는 이것이 거울에 반사된 상인지 실제 물체가 그곳에 있는 건지 잘 구분되지 않는다. 모눈종이 중간에 거울을 올려 놓고, 모눈종이 칸수를 세어서 거울면에 대칭이 되는 곳에 똑같은 딱풀을 놓았다. 일부러 거울의 높이는 딱풀의 절반 정도 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럼 거울의 아래쪽은 반사된 물체가, 거울의 위쪽은 실제 뒤에 있는 물체가 마치 한개의 물체처럼 보인다. 이제 시선을 옮겨가며 관찰해 보자. 어디까지가 거울에 반사된 모습이고, 어디부터가 실제 뒤에 놓여진 물체를 보는 것인지 구분하기 힘들다. 학생들에게 미러링을 해서 보여 주었는.. 2018. 12. 11. 소리진동 및 공명(cork speaker 를 이용한 진동 및 공명현상) 병 마개 대신 병 입구에 덮어서 사용하는 블루투스 cork speaker를 구입하게 되었다. 이 스피커는 병을 울림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병의 재질과 크기 형태에 따라 음질이 달라진다. 작은 크기지만 병만 잘 고르면 소리를 크게 들을 수 있다. 물이 든 병에 스피커를 장착하고 작동시키면 물 표면이 요동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진동수를 잘 맞춰 공명을 일으키면 물 표면에 작은 물방울들이 튀어 오르게 할 수 있다. 소리라는 것은 진동에 의해 생긴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고, 공명현상도 보여 줄 수 있다. 실제 실험해 보니 물의 양에 따라 공명되는 진동수가 달라지는 걸 알 수 있었다. 진동수를 맞추기 위해 약간의 시간을 투자해서 예상대로 진동에 의해 물이 튀어오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소리라는 것이 물체의 진.. 2018. 12. 11.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