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8

탄산수나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 병을 흔들면 내부 기압은 증가할까?[탄산수실험2] 탄산음료를 힘껏 흔들면 탄산음료병 내부 기압은 증가할까? 대부분 세게 흔들면 흔들수록 탄산음료 병 내부 기압이 증가할 거라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뚜껑을 열면 탄산음료가 뿜어져 나온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처음에 구입했을 때 탄산음료와 힘껏 흔들었을 때 탄산음료 병 내부의 기압은 변하지 않는다. 학생들도 해 볼 수 있게 아주 간단한 실험을 설계해 보았다. 우선 실험 동영상을 보자. https://youtu.be/DUx_a7pn3dM탄산음료는 넘쳐 흐르면 끈적거리기 때문에 탄산음료 대신 탄산수로 내부기압의 변화를 실험해 보았다. 병의 내부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기압계를 구매하려고 했으나, 더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끝이 막힌 주사기를 이용하기로 했다. 주사기 끝을 막고 탄산수 병에 넣어.. 2022. 10. 31.
인공지능이 글써주는 사이트 - 도움 받아 글쓰기 인공지능이 인간의 창작 영역을 넘 보고 있다(?). 이제는 주제만 던져주면 인공지능이 글을 써준다. 기사에만 나오는 이야기가 아니라, 관심만 있으면 누구나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인공지능은 지금도 학습하고 있고, 내가 알고 있는 것보다 최신 이론이나 최신 기사 내용을 참고해서 글을 써 준다. 이렇게 보면 인공지능이 생각을 하는 것처럼 착각할 수 있는데 사실은 알고리즘으로 주어진 문장, 다음에 올 가장 이상적인 문장을 퍼즐 맞추기 하는 것처럼 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학습된 양이 많다 보니, 정말 근사한 글을 써 주기도 한다. 학생들이 작성해 온 글이 인공지능이 써 준 글인지 학생이 직접 쓴 글인지 구분할 수 없을 듯 하다.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글을 써 오는 걸 막는게 잘 하는 건지, 아니면 인.. 2022. 10. 28.
인공지능이 그림 그려주는 사이트 - 학생들과 상상을 현실로 인공지능의 발달은 매년 나를 놀라게 한다. 최근에는 문장이나 단어를 적어주면 그것을 분석해서 그림을 그려주는 사이트 들이 있다. 생각보다 상당히 잘 그려 준다. 아니 그려준다기 보다 창작해 준다고 표현하는 것이 더 맞을 듯 하다. 눈을 감고 머릿속에 멋진 이미지를 떠 올려 보라. 그리고 떠오른 이미지를 문장으로 자세하게 적어 보고, 그 문장을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나의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해 줄 것이다. 필자가 미드저니를 이용하여 바닷속을 문장으로 표현했더니 그려준 그림이다. 일단 한번 그림을 감상하고 시작하자. 다양한 사이트들이 존재 하는데 그 중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인공지능이 그림을 그려주는 구나! 가 아니라, 이젠 누구나 그려볼 수 있다. 학생들과 수업시간에 영어.. 2022. 10. 27.
<수업설명팁> 체세포분열 관찰과정은 - 범죄자 심문 과정? 양파의 뿌리끝 체세포분열 관찰 과정을 설명하는 방법이다. 예전부터 체세포분열과정은 형사가 폭력조직 범죄자를 잡는 과정이라고 설명해 왔다. 기억이 안나면 형사가 돼서 범인을 취조해라 고정 - 해리 - 염색 1. 제일먼저 해야 할 일(고정) 형사가 범인을 잡으면 제일먼저 해야 하는 일은? 그렇지 도망가지 못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고정을 시키지 않으면 옷을 바꿔 입거나, 도망가는 등 계속 변신을 시도하기 때문에 일단 더 이상 못 도망가게 고정시켜야 한다. (실제 세포분열 관찰 할때도 더이상 세포분열이 진행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관찰한 결과를 다시 확인하려고 할 때 이미 세포분열이 끝나 있을수도 있다.) 2. 두 번째 해야 할 일은(해리) 범인을 취조해서 조직을 일망타진 해야 한다.. 2022. 10. 24.
과학 탐구 실험이란2 (흔들린 탄산수 뚜껑 열어도 거품 터지지 않는 시간?) - [탄산수실험1] 탄산수가 들어있는 병을 힘껏 흔들고 나서 뚜껑을 열면 거품과 함께 탄산수가 뿜어져 나온다. 얼만큼 시간이 지나면 뚜껑을 열어도 탄산수가 흘러 넘치지 않을까? 갑자기 궁금해져서 실험을 하려고 구입한 탄산수를 가지고 실험해 보았다. 처음에는 탄산수 여러개를 동시에 흔들고 10초 마다 하나씩 뚜껑을 열면서 얼마나 시간이 지나면 흘러넘치지 않는지 확인하려고 했다. 60초부터 10초마다 열면서 확인하려고 했는데, 60초가 지나니 흘러넘치지 않아서 실패. 그리고 탄산수 여러개를 동시에 흔드는게 쉽지 않다. 그래서 탄산수 2개씩을 정말 힘껏 흔들고 10초마다 뚜껑을 열면서 실험해 보았다. 60초가 경과 했을 때 아슬아슬 하게 탄산수가 흘러 넘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다른 탄산음료, 탄산수 병의 크.. 2022. 10. 24.
페트병으로 초간단 헤론 분수 만들기(수압,기압) 헤론 분수 는 AD 1세기의 발명가이자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알렉산드리아 의 영웅이라고도 함)이 발명한 분수다. 지금처럼 전기장치가 없던 시절에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압차이와 기압차이를 이용해서 오랫동안 뿜어져 나오는 분수를 만들었다. 페트병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헤론 분수를 만들고 원리를 탐구해 보자. 일단 동영상을 보자 https://youtu.be/EPq_sIrniOE : 페트병 3개, 이탄뚜껑(구멍이 2개 뚫린 이산화탄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페트병 뚜껑, ) 3개, 일회용 스포이트(1ml) 1개, 가위 비닐튜브(내경4X외경6mm) 2m 필요 : 50cmX3개, 25cm X2개로 잘라서 사용 * 비닐튜브나 스포이트를 끼울 때는 따뜻한 물에 담가 부드럽게 하거나, 볼펜.. 2022. 10. 19.
교사가 알아두면 좋은 구글스프레드 시트 함수들(INDEX, MATCH... ) 구글스프레드 시트에서 알아두면 가장 도움이 되는 함수들이다. 엑셀이나 구글스프레드시트를 잘 다루는지를 알아 볼 때, index와 match 함수를 활용할 줄 안다면 상당히 잘 사용하고 있다고 인정해 줄 수 있다. 거기에 offset 함수까지 다룰 줄 안다면 학교에서 하는 대부분의 업무는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vlookup 함수가 할 수 없는 것들을 할 수 있다. index는 한번에 전체열이나 행을 나타나게 할 수 있고, 중간에 전입생이나 전출생으로 인해 원본데이터의 행을 추가하거나 삭제해도 에러없이 작동하게 할 수 있다. 활용방법은 아래 링크에 있는 시트를 사본 복사해서 테스트 해 보기 바란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dY8fvdI-Cr_IIbWvnsAd.. 2022. 10. 9.
교원평가 교사와 학급배정 확인(구글스프레드 시트 이용) 교원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선행작업으로 교사와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일치 시켜줘야 한다. 교원수가 많으면 수업 들어가는 반을 일치시키다 실수 할 때도 있고,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선택과목이 다양하기 때문에 들어가는 반이라 할 지라도 선택과목에 따라 반마다 수업든는 학생이 다를때도 있다. 그래서 간단하게 선생님이 어느반에 들어가는지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검색시트에 노란색 칸에 선생님 이름을 바꿔 가면서 관찰해 보자. 나이스에서 내려받은 시간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나이스 시간표는 보기가 좋지 않다. 만약 교사별 시간표 파일이 엑셀로 잘 정리되어 있다면 맨 아래 추가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길 권한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 2022. 10. 6.
구글 스프레드시트 - 교사를 위한 조건부 서식 활용하기 학교에서 업무를 하다 보면 최종 데이터에 원하는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거나, 원하는 내용만 특별한 색으로 바꿔서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다. 원본 데이터를 바꾸지 않고, 원본 데이터 위에 원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만 찾아서 색을 칠하게 하면, 한눈에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예를 들면 성적이 90점 이상인 학생은 노란색으로 50점 미만인 학생은 초록색으로 칠하게 하거나, 이름이 홍길동인 학생만 색칠 하게 할 수도 있다. 수행평가 점수를 부여한 경우 최저점 보다 낮게 점수가 부여된 학생만 빨간색으로 바뀌게 하면, 수행평가 점수의 오류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조건을 조합해서 색을 칠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차평가는 90점 이상이면서 총점이 80점 이상인 학생 등등... 조건부 서식.. 2022. 10. 3.
초간단 종이컵 로켓 만들기(커피 캔과 알코올 이용) 예전에 음료수 캔과 알코올을 이용해서 종이컵 로켓을 만들어 사용하곤 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음료수 캔 윗부분을 깡통따개를 이용해서 따내야 하는데, 이것이 쉽지 않았다. 또 따낸 부분이 날카로와 안전사고의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더 안전하고 간단한 종이컵 알코올 로켓 만드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음료수 캔 대신, 커피캔을 사용하면 윗부분을 따내지 않아도 종이컵 로켓을 발사할 수 있다 뚜껑 부분이 넓을수록 좋은데, 약간 좁기는 하지만 테스트 해보니 잘 발사된다. 그래서 이제는 깡통따개 없이도 종이컵 로켓 실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일단 영상을 먼저 보자. https://youtu.be/kTyM8NQmGeo 1. 준비물 뚜껑이 있는 커피캔, 종이컵, 분무기(에탄올 알코올 포함), 송곳, 라이터 준비 .. 2022. 9. 20.
오목게임(2인용) - 태블릿 사용 태블릿 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오목게임을 할 수 있는 바둑판을 만들어 보았다.두명이서 태블릿을 가운데 두고 게임을 하면 된다. 별다른 기능은 없다. 그냥 실행시키고 오목을 두면 된다.학생들이 종이에 오목판을 그리거나, 칠판에 오목판을 그려서 게임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간단하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할수 있도록 만들어 보았다.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게임을 하면 된다.https://sciencej1.cafe24.com/html5/omok/omok.html컴퓨터가 누가 이겼는지 판정해 주지 않는다. 정말 단순한 오목을 둘 수 있는 바둑판이라고 보면 된다.컴퓨터가 판정하지 않기 때문에 친구들과 4목이나 6목을 둘 수도 있다. 추후에 시간이 될 때 승리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추가할 예정. 다시하기를 누르면.. 2022. 9. 18.
홈페이지 누적 방문자수 10,000,000 명 돌파 홈페이지 누적 방문자수가 10,000,000 명을 돌파 했다.1998년에 ICT 연수를 받으면서 처음으로 개인용 홈페이지를 만들어서가족사진을 올리거나 디렉터로 개발한 자료를 올리곤 했다.그러다가 2002년에 sciencelove.com 이라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을 구입하면서본격적으로 홈페이지를 운영하기 시작했다.그러고 보니 본격적으로 운영한지 벌써 20년이 넘었다.처음에는 돈을 주고 구입한 개인계정에 홈페이지를 만들어 사용하면서이전까지 혼자 만들어 사용하던 자리바꾸기 프로그램, 학급투표 프로그램, 플래시 노래방 프로그램등학급운영과 수업운영에 필요한 자료들을 누구나 데이터만 바꿔서 사용할 수 있게 개발해서 보급하기 시작했다.2007년쯤 경기도 과학교육원에서 교사용 서버를 지원해 주는 행사(?)가 있.. 2022. 9. 14.
간단한 도둑잡기 컴퓨터 게임 2인용 (수학적 논리 게임) 경찰은 범인을 잡아야 하고, 도둑은 도망 다녀야 한다. 태블릿을 이용하면 2명이서 보드 게임처럼 간단하게 해 볼 수 있다 아니면 TV화면에 실행시켜 놓고, 나와서 2명이서 게임을 하게 할 수도 있고, 선생님과 학생들이 대결을 할 수도 있다. 모둠별 또는 분단별 대표를 뽑아 시합시켜 봐도 좋을 듯 하다. 게임을 반복 하면서 논리적인 규칙을 찾아 내면, 경찰이 항상 이길 수 있다. 도둑 잡기 게임(2인용) 은 아래 링크에서 실행하면 된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thiefgame/thiefgame.html 2명이서 하는 2인용 게임이다. 1. 한명은 경찰, 한명은 도둑 역할을 맡는다. 2. 가위바위보를 해서 이긴 사람이 먼저 움직인다. (보통은 도둑이 먼저 움직이도록 .. 2022. 9. 7.
총알 속도 측정 가상실험(탄동진자) 총알 속도를 간단하게 구하는 탄동진자 가상 실험이다. 예전에는 실제로 이런 방법으로 총알 속력을 구하곤 했다. 가상실험에서 다양한 요소를 바꿔 가며 실험해 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가상으로 실험을 해보고 결과를 확인 해 보자. https://sciencej1.cafe24.com/html5/ballisticpendulum/ballisticpendulum.html 1. 총알의 속력을 구하는 과학적 원리 총알의 속력을 구하는 원리는 역학적 에너지 보존법칙과 운동량 보존법칙을 이용한다. 실험결과 나무도막(총알포함)이 얼만큼 올라갔는지를 측정하면, 위치에너지를 알 수 있고, 그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면 나무도막(총알포함)이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운동에너지 즉 속력을 알아낼 수 있다. 총을 .. 2022. 8. 26.
진자운동 가상실험 학교에서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실험이 진자 실험이다. 별 다른 도구 없이 학생들이 초시계(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이용해도 됨)를 가지고 측정을 통해 과학 탐구 실험을 하게 할 수 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실행하면 된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양에 따라 진자의 주기가 이론값과 약간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pendulum/pendulum.html 빈 종이를 주고 진자의 주기가 1. 실의 길이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2. 진폭(각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3. 추의질량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해 보게 할 수 있다. 나름대로 표를 만들어 직접 측정해 보면서 진자에 대해 탐구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주기를 측정할 때는 10번 반복하는 시간.. 2022. 8. 22.
맹점 확인하기 가상실험 사람이 본다는 것은 눈으로 들어온 빛이 망막에 도달해서 시세포를 자극하면, 자극이 시신경을 타고 뇌로 전달되기 때문에 볼 수 있다. 그런데 만약 시세포가 분포하지 않는 곳이 있다면 그곳으로 들어온 빛은 볼 수 없게 될 것이다. 그곳이 바로 맹점이다. 망막에서 시세포로 들어온 자극들을 뇌로 보내야 하기 때문에, 망막에 시신경 다발이 모여 빠져 나가는 곳이 맹점이다. 이 곳에는 시세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맹점에 빛이 모이면 우리는 볼 수 없게 된다. 맹점의 위치는 정면을 바라 볼 때 코쪽에 있다. 그래서 한쪽눈을 가리고 정면에 초점을 맞췄을 때 바깥쪽에 있는 물체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두눈을 다 뜨고 물체를 관찰할 때는 맹점 때문에 물체가 사라지는 일은 없다. 그래서 우리는 평상시에 맹점.. 2022. 8. 6.
ZEP 메타버스 - 방탈출 게임 - 문제적 남자 zep 이 유료화 하면서 무료의 경우 동시접속이 20명으로 제한되었습니다.그리고 만들어진 스페이스 복사도 안되네요.학생이 20명이 넘어가면 모든반 학생들 접속이 안되기 때문에 학교에서 사용하기에 많이 불편해 졌습니다.2명씩 짝을 이뤄 참가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문제는 -------------------문제적 남자를 가지고 메타버스 - 방탈출 게임을 만들어 보았습니다.게더타운과 비슷한 ZEP 을 사용했습니다. ZEP 사이트(https://zep.us/) 에셋스토어에서 지금 우리 스쿨은(좀비버전) 맵을  가져다가(FREE 버전 구매)문제만 문제적남자에 나오는 퍼즐 내용으로 바꾸었습니다.그리고 교실 이곳 저곳에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힌트를 추가로 포함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논리적 퍼즐 문제이기 때문에 모든.. 2022. 7. 13.
잡아내지 말고 잘못을 스스로 말하게 하라(학생에게 선택권을 넘겨라 4탄) 1. 학교에서 잘못한 학생을 데려다 야단칠 때 교사의 관점에서 야단칠때가 많다. '너 수업시간에 이런 이런 행동을 하면 안되지. 그리고 선생님이 몇번이나 조용히 하라고 했니? 왜 선생님 말을 안듣고 계속 그런 행동을 하지. 넌 남의 말 안 듣고 떠드는 경향이 있어. 등등' 학생이 잘 못한 상황이지만 학생은 전혀 반성의 기미가 안 보인다. 학생입장에서는 떠들던 수많은 학생 중 1명 이었을 뿐이고, 나 말고, 다른 아이들도 떠들었는데 나한테만 뭐라고 하니 짜증이 날 것이다. 학생을 야단치면 많은 학생들이 '저만 떠든거 아닌데요. 길동이도 떠들었는데요' 라며 불만을 토로한다. '지금 선생님은 네가 떠든 걸 이야기 하는 거야. 길동이가 떠들었다고 해서, 네가 떠든것이 괜찮은 건 아니야. 본질을 흐리지 말고, 네.. 2022. 7. 5.
갈등없이 과제 내고 처리하는 방법. (학생에게 선택권을 넘겨라3탄) 학교에서 대부분의 갈등은 많이 배우고, 똑똑하고, 현명한 선생님이 멍청한 학생을 데려다가 논리적으로 잘못을 지적하고 합리적인 지시를 내리는데서 시작된다.  1.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과제를 낸다. 과제를 좋아하는 학생은 거의 없다. 과제를 낼때 부터 갈등이 시작된다. '일요일 까지 과제 제출 안하는 학생은 감점이다. 선생님이 시간 충분히 준다. 꼭 하도록 해라' 학생들에게 배려해 주는 것처럼 말하지만, 학교일에 바쁜 학생들은 어느순간 과제가 있는지 잊어 버린다.  중간에 한번 정도 '과제 안내면 감점이다. 아직 안낸 사람들은 꼭 제출하도록 해라.' 라고 강조하면서 교사로서 할 일은 다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다음주 월요일에 교실에 들어가서 '과제 제출 안한 누구 누구는 감점이다.' 라고 선언을 한다... 2022. 6. 29.
초간단 택배박스 투석기 만들기 (택배박스 이용5) 짧은 시간에 만들어서 쉽게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택배박스를 이용한 투석기를 만들어 보았다. 기존 나무젓가락을 이용해서 만드는 투석기는 고무줄도 너무 많이 들고, 만든 후 뒷 처리도 쉽지 않았다. 그래서 택배박스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투석기를 개발 하게 되었다. 수업이 끝나면 택배박스 투석기는 바로 분해 해서 다음 반에 가서 만드는 것부터 다시 시작해서 재 활용 할 수 있다. 개인별로 만드는 것도 좋지만, 2명 또는 모둠별로 만들게 해서 함께 탐구하게 하면 더 의미가 있다. 먼저 투석기 동영상을 보자 https://youtu.be/d6yrZfqWcVo 택배박스(A형B골200x100x100mm), 택배박스(A형D골180x100x100mm) 추천 고무줄 2개, 나무젓가락(20cm 이상), 일회용.. 2022.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