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87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중학교 과학) + 운영지원 자료집 교과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해서 보급한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중학교 과학)과 중학교 성취평가제 운영지원 자료집 - 과학과 입니다. 2014. 2. 24. 2009 과학과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 기술부 고시) 교육과학 기술부에서 고시한 제 2011-361호 2009 과학과 개정 교육과정 입니다. 수업을 하기전에 교육과정을 한번 읽어 보면 어떤것을 가르쳐야 하고 어떤것을 가르치지 말아야 할지 알 수 있어서 좋습니다. 예전에 과학경시대회 문제를 출제한 적이 있는데 그때도 최우선으로 살펴보는 것이 교육과정이었습니다.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문제는 출제할 수가 없거든요.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교사로서 큰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2014. 2. 24. 종이로 만드는 태양 고도 와 그림자 길이 측정장치 종이로 만드는 태양 고도 와 그림자 길이 측정장치입니다. 인터넷 서핑하다가 발견했습니다. 아이디어가 좋네요. 출처 : http://blog.daum.net/uribyul/3019823 활용방법은 아래 사이트에 잘 설명해 두셨네요.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romytox&logNo=70072693133 2014. 2. 20. 팀뷰어(teamviewer)를 이용한 화면 미러링 - 스마트폰을 실물화상기로 이용 팀뷰어(TeamViewer)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화면 공유하기 2014년 1월 부터 팀뷰어 미러링이 지원되지 않아 실망이 컸는데, 오늘 살펴보니 다른 방법으로 지원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팀뷰터 퀵서포트를 이용하여 미러링 하는 방법을 소개 합니다. 그동안 화면 미러링 프로그램으로 모비즌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 모비즌이 3G와 4G의 지원을 더 이상 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스마트폰 테더링을 해도 연결할 수 없게 되었다. 반드시 USB를 통해 연결하거나 유무선 공유기가 필요하다. 그래서 대안으로 떠 오른 것이 팀뷰어 프로그램이다. 팀뷰어의 경우 4G(LTE)로 연결되어 데이터 요금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지만 유무선 공유기가 필요 없어 교실에서 노트북과 스마트폰만 있으면 아무런 제약 없이 바로 연결이 .. 2014. 2. 7. Mirrorop를 이용한 화면 미러링 - 실물 화상기 처럼 사용 안드로이드7.0에서는 현재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럴때는 예전에 바꾼 안드로이드폰을 미러링 전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금 사용하고 계신 최신 스마트폰은 모바일 핫스팟으로 만들고, 노트북과 예전안드로이드폰에서 wifi 로 스마트폰에 접속한 다음 예전안드로이드 폰에 설치한 mirrorop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근에 안드로이드7.0으로 업그레이드 한 이후 접속이 되지 않아 필자도 예전폰을 미러링 전용폰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Mirrorop를 이용한 미러링 - 실물화상기 처럼 사용 스마트기기를 미러링 해서 사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가장 큰 장점은 스마트폰을 무선 실물화상기처럼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드웨어 장비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노트북 화면을 통해.. 2014. 2. 7. 스마트폰을 테더링 걸어 wifi 핫존으로 사용하는 방법 스마트폰 테더링 걸어 wifi존 만들기 1. 스마트폰을 유무선 공유기로 사용하기 스마트폰 앱중에 노트북과 연동시키는 앱의 경우에는 동일 유무선 공유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반 교실에 유무선공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런 경우 스마트폰을 테더링하고 노트북의 무선네트워크를 테더링한 스마트폰으로 연결하면 노트북과 스마트폰이 동일 유무선 공유기에 연결된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스마트폰을 테더링 하는 것 만으로 교실에 유무선공유기 1대를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단 스마트폰 테더링은 기종에 따라 다르지만 한번에 5대에서 10까지만 접속할 수 있다. 또 테더링을 통해 인터넷을 할 경우에는 스마트폰 데이터(3G,4G)를 사용하게 되므로 통신비용이 발생 할 수 있다.. 2014. 2. 7. 교직원 인원점검 명렬표 - 스마트폰 전화걸기 가능 https://sciencelove.com/2746 인원점검 명렬표 2024(웹용) - 구글스프레드시트 사용(적극 추천) 교사를 위한 인원점검 웹 명렬표다. 종이 명렬표 없이 간단하게 학생들 체크를 하거나, 원하는 학생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학기초에 한번반 설치해 두면 1년 동안 편 sciencelove.com 예전에 만든 인원점검 명렬표 pro 버젼과 사용법은 똑같습니다. 단지 class1 이 staff1으로 바뀐것만 다릅니다. 설명서는 밑에 있는 아래한글 설명서를 참고하세요 교직원 인원점검 명렬표 입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nametable2c 인원점검 명렬표pro 버젼이 .. 2014. 2. 2. <수업설명팁>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 - 암기하지 말고 생각하자. 중학교에서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에 대한 수업을 하다보면 두 세포의 차이점을 설명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식물세포에만 있고 동물세포에는 없는 것은? 이전에는 별 생각없이 암기 위주로 가르쳐왔으나 언제 부터인가 왜 그럴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암기가 아닌 생각을 하고 이해를 시켜 보기로 했다. 출발점은 동물과 식물의 차이점으로 부터 시작하면 된다. 학생들에게 동물과 식물의 차이점을 질문해 보자, 그리고 그 답변과 연관지어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차이점을 이끌어내 보자. 질문만 잘한다면 자연스럽게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을 스스로 이해하게 할 수 있다. 왜 식물세포에는 이런 것들이 필요할까? 왜 동물세포에는 필요가 없을까? 그래서 내린 결론은 아래 와 같다. (물론 모든 동물, 식물세포가 이런 .. 2014. 1. 27. 인원점검 명렬표 pro 앱 - 전화걸기 가능 https://sciencelove.com/2746 인원점검 명렬표 2024(웹용) - 구글스프레드시트 사용(적극 추천) 교사를 위한 인원점검 웹 명렬표다. 종이 명렬표 없이 간단하게 학생들 체크를 하거나, 원하는 학생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학기초에 한번반 설치해 두면 1년 동안 편 sciencelove.com 메뉴얼 과 엑셀양식 인원점검 명렬표 pro 버젼입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nametable2 간단하게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체험학습이나 계발활동시 종이 명렬표 없이 인원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학기초에 한번만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해 두면 됩니다. 전화번호 없이 이.. 2014. 1. 19. 아두이노보드와 ip camera를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얼마전 시골에 집을 가진 선생님으로 부터 시골집에 내려가기전에 출발하면서 보일러를 가동시키고 싶은데 방법이 없냐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wifi를 통해서 전원을 제어하는 것들은 몇개 상품으로 나와 있으나, 인터넷을 통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은 상당히 복잡하고 어렵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그러다가 ip camera 의 경우 원격에서 회전시키거나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ip camera의 움직임을 아두이노보드에서 감지하고 아두이노보드에서 릴레이를 이용하면 전원을 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만들어 보았다. 준비물 1. ip camera(인터넷으로 제어가 가능한 ip camera - 여기에서는 Vstarcam-100 유무선 IP카메라 사용) ip camera에 대한 .. 2014. 1. 10. 스마트폰으로 원격조정과 감시가 되는 IP camera 인터넷을 통해 원격에서 조정과 감시가 가능한 ip camera(Vstarcam-100 유무선 IP카메라) 를 구매했다. 얼마전 수원으로 출장을 갔는데 아침에 가스렌지에 국을 데워놓다가 급히 나오게 되었다. 가스렌지를 끄려다가 옷입고 꺼야지 라고 생각한 것 까지는 기억이 나는데 나오면서 껐는지는 기억이 나질 않았다. 아마 옷을 걸치고 아무생각없이 끄고 나왔을 것이다. 하지만 확신이 서지 않는다. 결국 집에서 가까운데 근무하는 아내에게 전화를 걸어 근무 중간에 집에 가보게 하는 것으로 사건은 마무리 됬다. 집에 가보니 가스렌지가 꺼져 있었다고 한다. 그때 이런 생각이 들었다. 만약 집안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래서 ip camera 를 구입하게 되었다. 예전에는 고가장비 였는데 지금은 1.. 2014. 1. 8. 아래한글 표 대각선 내부 한쪽만 색깔 칠하기 표에 색을 칠하다 보면 대각선 한쪽만 색깔을 칠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셀속성에 가서 색깔을 칠하면 대각선에 상관없이 셀 전체에 색깔이 칠해진다. 이런 경우에는 셀서식에 들어가서 그라이데이션으로 색깔을 칠하면 된다. 아래 그림처럼 표에 한쪽만 색깔을 칠해야 하는 경우에 번짐정도는 2로 설정해 주면 두가지 색으로만 칠해지게 되고, 나머지는 아래 속성처럼 설정하면 된다.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기울임을 적당하게 조절해 주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화일 참고 2014. 1. 2. 거울위에 마술 주사위 - 반사의 법칙 거울위에 올려져 있는 마술주사위 동영상을 관찰해 보면 거울위에 올려져 있는 주사위와 거울에 반사된 주사위의 색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일이 가능한 것일까? 우선 동영상을 관찰해 보자.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사실은 거울위에 있는 주사위는 직접 보는 것이고 거울에 반사된 주사위는 반사가 되어 보여 진다는 것이다. 반사의 법칙을 잘 이용하면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어떻게 된 것인지 생각해 보자. 아래 격자그림을 만들어 거울에 비췄을때 직접 보이는 것과 거울에 보이는 모습이 다른 것과 같은 원리이다. 참고로 격자그림 만드는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ciencelove.com/305 마술주사위 원리는 알면 재미 없는데. . .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2013. 12. 30. 학기말 수업 짜투리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음 홈페이지를 이전하다 보니 기존에 링크가 다 깨졌네요. 새로 바뀐 홈페이지로 링크 옮겨 놓았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 새로 개발된 자료도 추가해 놓았습니다. 지금까지 만든 프로그램 중 학기말 수업 짜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모아보았습니다. 학기말 시간을 그냥 보내지 말고 활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프로그램은 각 프로그램 제목 아래에 링크된 곳으로 들어가시면 가능합니다. 정리하다 보니 생각보다 많네요. ^^ 반전체를 대상으로 해도 되고 (이럴때는 옆반은 10분동안 몇개 맞추었는데 너희반은 몇개 맞출수 있을까? 이런식으로 경쟁심 유발) 조별로 경쟁을 시켜도 되고 (예를 들어 분단별로 한다고 하면 1분단이 틀리면 2분단에게 기회가 넘어가는 식으로 진행하여 경쟁.. 2013. 12. 2. 수업시간이나 학기말 수업 자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음 지금까지 만든 프로그램 중 학기말 수업 자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모아보았습니다.학기말 시간을 그냥 보내지 말고 활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각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프로그램은 각 프로그램 제목 아래에 링크된 곳으로 들어가시면 가능합니다.정리하다 보니 생각보다 많네요. ^^반전체를 대상으로 해도 되고 (이럴때는 옆반은 10분동안 몇개 맞추었는데 너희반은 몇개 맞출수 있을까? 이런식으로 경쟁심 유발)조별로 경쟁을 시켜도 되고 (예를 들어 분단별로 한다고 하면 1분단이 틀리면 2분단에게 기회가 넘어가는 식으로 진행하여 경쟁심 유발)개인별로 대표를 뽑아서 경쟁을 시켜도 됩니다. 또 게임을 하다보면 학생들이 훈수를 들게 됩니다. 이럴때는 훈수를 구체적으로 말로 하게 하면 소란스러워 집니다.. 2013. 12. 2. 상태변화에 따른 부피변화 예외(물이 얼면 부피 증가) 예전에 풍화작용 설명하려고 만든 동영상인데 물질의 상태변화에서 예외 현상으로 보여주어도 좋을 듯 하여 요 단원에도 옮겨 놓았다. 대부분의 물질은 액체에서 고체가 되면 부피가 줄어들지만 물은 예외이기 때문에 부피가 오히려 커진다. 그래서 지구상에 생명체가 탄생했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도 있다. 물이 얼면서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밀도가 작아져 물위로 떠오르게 되고 물 표면부터 얼어 붙게 된다. 추워지면 추워질수록 물 표면의 얼음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이로 인해 단열효과가 나타나 물 아래쪽은 얼지 않고 겨울을 버틸 수 있게 해 주었다는 것이다. 물이 바닥부터 얼어 붙었다면 물 표면은 계속해서 추위에 노출되었을테고 겨울이 되면 물 전체가 빙하처럼 얼어 붙게 되어 생명체가 살 수 없게 되었을 것이다. 아래 설명은 풍화.. 2013. 11. 25. 클릭커 어플에 대한 구상 최근에 외국산 socrative 어플을 비롯하여, 국내에서 개발된 콜라주, pingpong 등 다양한 클릭커 앱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교실 수업시간에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교사 입장이 아닌 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서 만들어져서 그런지 약간의 아쉬움이 있다. 조금만 더 개선한다면 세계적으로 좋은 어플이 될 것이다. 직접 만들어 보고 싶은 욕심도 있으나 이미 웹저장용 프로그램(웹도전골든벨, 웹칠교놀이 등등)들을 만들어 배포해 본 결과 웹상에서 무언가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거나 관리한다는 것은 개발자에게 너무 힘든 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새로운 클릭커 프로그램에 있어야 할 기능들을 정리해 보면 1. 교사는 pc 환경에서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 교사의 스마트.. 2013. 11. 21. 저융점 금속을 이용한 화석 만들기(상태변화) 70도에서 녹는 저융점금속이 있습니다. 3학년 가르칠때 물질의 특성에서 보여 주었었는데 오늘 보니 1학년 상태변화에서 보여주어도 될 것 같아서 상태변화 단원에도 똑같이 올립니다. 아이들이 금속이 저온에서 상태변화가 일어난다는 생각을 잘 못하기 때문에 보여주면 신기해 합니다. 녹는점이 70도라면 뜨거운 물에서도 녹을 수 있습니다.금속이 뜨거운 물에 녹는 다는 것은 잘 상상이 가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끓는 물에 녹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실험하는 김에 예전에 만들어 두었던 삼엽충 화석 몰드에다가 저융점 금속을 녹여서 부어 금속 삼엽충 화석도 만들었습니다. 예전에 어디선가 보니 저융점 금속으로 숟가락을 만들어끓는 물을 저어주니 숟가락이 녹아서 사라지는 동영상도 있더군요. 상태변화나 녹는점을 가르칠때 보여주.. 2013. 11. 15. 아두이노로 만든 선생님 목소리에 반응안하는 소음 경보기 SPL-Duino와 함께하는 2013년 전국 STEAM(융합과학) 창작경진대회에 민서가 만들어서 가지고 나간 선생님 목소리에 반응안하는 소음 경보기 입니다. 좋은 경험이 되었기를... 그냥 택배박스에 구멍 뚫어서 만들었습니다. 목소리가 감지가 되면 왼쪽 초록색 등이 올라 갑니다. 제한된 값보다 커지면 오른쪽 빨간색 등이 1개씩 카운트 되면서 올라갑니다. 빨간색 등이 끝까지 올라가면 경보가 울립니다. 중간에 조용해 져서 초록색 등이 반응하지 않으면 빨간색 등 카운트도 초기화 됩니다. 토론시간에 아이들은 계속해서 떠들기 때문에 아이들 목소리에 반응하지만 선생님이 수업하실때는 중간 중간 말이 끊어지기 때문에 반응하지 않는 원리입니다. 민서가 발표하는 영상이 유투브에 올라와 있네요 바싹 긴장한 모습.... ^^.. 2013. 11. 14.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한 과학 실험 교육 최근에는 Physics Toolbox Sensor Suite 앱을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hrystianvieyra.physicstoolboxsuite&hl=ko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한 과학 실험 교육 각종 실험수업을 하기위해서 MBL과 같은 다양한 장비들을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MBL장비를 갖추고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준비과정과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많이 따른다. 전문적인 실험은 아니더라도 스마트폰에 들어있는 센서 및 장비만 이용해도 간단한 실험들을 충분히 할 수 있다. 스마트폰만 있으면 학생들과 함께 가상실험도 해 볼 수 있고 스마트폰에 들어있는 센서를 이용해서 간단한 실험 설계도 가능할 것이다. 스마트.. 2013. 11. 12.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