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41 하노이탑 2004년에 플래시로 만든 하노이탑 입니다. 3단에서 8단까지 하노이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2013. 2. 18. 투명인간 만들기(웹캠필요) 화일다운받기 http://sciencelove.com/flash/invisibleman.swf 투명인간 만들기 프로그램입니다. 웹캠이 필요합니다. 웹캠을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 시킨다. 위 그림처럼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1번 위치에 캠카메라에 찍힌 영상이 나타난다. 2번 위치에 있는 배경찍기 버튼을 이용해서 배경을 찍고(이때는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찍어야 한다.) 4번위치에 있는 색띠를 누르면 그 색보다 더 밝은 색 또는 어두운 색이 투명해 진다. 3번 위치에 있는 색바꾸기를 누르면 밝은색 어두운색을 바꿀 수 있다. 하얀색을 투명하게 하는 경우 아래 동영상처럼 하얀색 종이를 들고 움직이거나 하얀옷을 입고 있으면 하얀색 부분만 투명해 진다. 어두운색 옷을 입고 투명해 지는 색을 적당히 조절하면 머리와 옷만.. 2013. 2. 8. 업무포털 또는 NEIS에 결재선 등록하는 방법 자주 바뀌어서 예전에 올려 놓은 것과 맞지 않는 것 같아 다시 수정해서 올려 놓습니다. 1. 업무포털에 접속한 후 상신함을 클릭합니다. 2. 상신함이 열리면 개인결재선 등록을 클릭합니다. 3. 개인 결재선 등록 이 열리면 아래와 같이 작업합니다. 1). 상신함 우측아래에 개인결재선등록 을 누릅니다. 2). 아래쪽 제목넣는 칸이 생기면 내부결재, 외부결재, 초과근무 등 원하는 제목을 입력합니다. 3). 교사목록에서 본인이 만들고 싶은 결재선을 더블클릭해서 아래쪽에 나타나게 합니다. 4) 저장을 합니다. 나이스에 결재선을 등록해 놓으면 이런 장점이 있습니다. NEIS 를 사용하여 관내 출장이나 관외출장갈때 결재라인을 매번 등록해야 합니다. 때로는 실수를 할 수도 있고, 때로는 번거로운 일이기도 합니다. 결재.. 2013. 2. 8. 3d 적청안경을 이용하여 입체도형 관찰하기 2003년도에 만들었던 프로그램입니다. 3d 적청안경을 쓰고 보면 도형들을 입체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3d 적청안경을 쓰고 보시면 됩니다. 빛이 색이 있는 셀로판지를 통과할때 일부색만 통과하는 원리를 이용해 이렇게 왼쪽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가는 것을 다르게 하면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답니다. 수동회전을 누르고 키보드 자판으로 화면을 돌려 보시면 훨씬 부드럽게 돌아갑니다. 또 끝내실때는 위쪽 닫기 버튼 말고 화면에 있는 닫기 버튼을 눌러 주세요 2013. 2. 7. 구구단 공부 프로그램 2004년에 만든 간단한 구구단 공부 프로그램입니다. http://sciencelove.com/flash/99dan1.swf 구구단을 공부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컴퓨터가 10문제를 출제합니다. 10문제를 다 풀고나면 몇문제를 맞추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3. 2. 7. 사각기둥 전개도 만들기 2002년에 디렉터로 만든 사각기둥 전개도 입니다. 왼쪽 화면에서 면을 눌러 전개도를 생성하고 오른쪽 화면에서 생성된 전개도를 3차원 공간에서 돌려가며 접어 볼 수 있습니다. 제대로 전개도가 완성되지 않으면 전개도를 접어 볼 수 없습니다. 2013. 2. 7. 회전체 만들기 2002년에 디렉터로 만든 회전체 만들기 입니다. 면의 모양을 결정하고 화살표를 누르면 회전체가 만들어 집니다. 입체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3차원 공간에서 마음대로 돌려 볼 수 있습니다. 또 투명도를 조절하면 회전체 반대쪽 모습까지도 볼 수 있습니다. 2013. 2. 7. 쌓기나무 3차원 2002년에 디렉터로 만든 3차원 쌓기나무 입니다. 오른쪽 화면에서 박스를 쌓으면 왼쪽 화면에 입체적으로 화면이 만들어 집니다. 회전시켜 볼 수도 있고, 정면, 측면, 상단에서 관찰해 볼 수 있습니다. 2013. 2. 7. 펜토미노 게임 펜토미노 게임 펜토미노를 가르치거나 문제 해답을 제시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직접 나와서 풀어보게 할 수도 있다. http://sciencelove.com/science/swf/pentomino.swf 2013. 2. 6. 높이 변환이 가능한 직육면체 높이 변환이 가능한 3차원 박스 http://sciencelove.com/flash/3dbox_trans.swf 2013. 2. 6. 성냥개비 집어내기 게임2.0 2004년에 플래시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2007년에 2.0으로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성냥개비 집어내기 게임 1인당 한번에 최대 3개까지 집어낼 수 있습니다. 맨 마지막 성냥개비를 집어가면 지는 게임입니다. 사람끼리 할 수도 있지만 컴퓨터랑 게임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대부분 도전한 학생들은 컴퓨터에게 번번히 지고 맙니다. 그럼 아이들이 이거 컴퓨터가 반드시 이기는 거 아닌가요? 라고 물을때 선생님이 규칙에 맞게 성냥개비를 집어내서 이겨 주시면 됩니다. 몇번 해보고 학생들이 규칙을 찾게 해 보세요. 성냥개비 집어내기 2인용 게임도 추가해 놓습니다. 사람끼리 하는 게임이고 조금 난이도를 높여서 한번에 집어가는 숫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개에서 5개까지... 1인당 최대 3개까지 집어갈 수 있고, 마지막.. 2013. 2. 6. 무료 어플개발 사이트 나모 웹에디터 처럼 쉬운 UI를 이용해 어플을 만드는 사이트 모음 각 사이트에 가보시면 동영상으로 만드는 방법 설명도 자세히 되어 있습니다. 구글과 MIT에서 만들고 있는 무료 어플 개발 사이트 (개인적으로는 조금 힘들어도 이것을 공부하시는게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http://beta.appinventor.mit.edu/ 국내에서도 무료 앱 개발 사이트 들이 있습니다. 앰비즈 메이커 : http://www.mbizmaker.com/ 앱쿠커 : 부분 유료화가 진행되고 있네요 http://www.appcookr.co.kr/ hicel : http://www.hiciel.com/ 등등 2013. 2. 6. 내가 생각한 그림을 맞추는 마술(논리 구슬 마술) 2004년에 플래시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내가 생각한 그림을 맞추는 구슬 입니다.외국 사이트에서 접하고 처음 시키는 대로 했다가 소름이 돋았던 프로그램입니다.그래서 흉내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웹에서 바로 실행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에 접속하시면 됩니다.https://sciencej.cafe24.com/html5/crystalball/crystalball.html실제 해 보면 너무 신기합니다.프로그램 실행 시키면 프로그램 내에 사용법이 나와 있습니다.한번 해보세요. 컴퓨터가 잘 맞추는지 못 맞추는지... ....... 정확한 원리는 이렀습니다.2자리 숫자를 ab 라고 하면원래의 숫자에서 앞자리와 뒷자리 숫자를 더한수를 빼어햐 하니까이런 방정식이 나오지요10*a + b -(a+b) =10*a +b -a -b.. 2013. 2. 6. 달시계 만들기 프로그램 및 설계도 달시계 프로그램입니다. 달의 위상변화에 따른 남중 시각 및 달을 볼 수 있는 시각들을 알 수 있습니다. 또 현재 달의 위상과 위치를 파악하면 현재 시간을 알아낼 수도 있습니다. 달가리기를 눌러 관측자가 현재 시간을 태양과 비교하여 어떻게 알아내는지를 먼저 알려 주시고 달의 위상변화와 함께 설명하시면 더 좋을 것 같네요 2013. 2. 6. 정단층 역단층 가상실험 프로그램 정단층 역단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상반과 하반을 정하는 것입니다. 사람을 수평으로 세웠을때 머리가 닿는 쪽이 상반다리가 닿는 쪽이 하반이라고 설명합니다.교과서 그림에도 단층면에 사람을 수직으로 그려보게 해도 좋습니다.어디가 상반인지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되면그다음에는 상반이 내려갔는지 올라갔는지를 구분하게 합니다.물이 높은데서 낮은데로 흐르듯이 위에 있는 것(상반)이 내려가는 것은 정상적인 일이니까 정단층반대로 상반이 올라가면 역단층이라고 가르치면 됩니다.첨부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면 상반과 하반을 가르치실때 도움이 됩니다. 2013. 2. 5. 눈 결정만들기 2004년에 플래시로 개발한 자료입니다. 눈의 결정모양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중심에 대고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림을 그리면 눈의 결정모양이 만들어 집니다. 2013. 2. 5. 망원경 현미경의 원리 자동작도 가상실험 프로그램 2.0 2.0으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첫번째 렌즈의 종류도 바꿀 수 있게 했습니다.렌즈 2개를 이용하여갈릴레이 망원경케플러 망원경그리고 현미경의 원리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갈릴레이 망원경은 작도에 문제가 있네요. 프로그램 상 오목렌즈를 지나서 만들어진 상을 거꾸로 다시 작도하는 형태라 논리적으로 오류가 생깁니다. 나중에 다시 만들겠습니다.작도에 약간의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거의 99% 맞는다고 보시면 됩니다.현미경을 만들든 망원경을 만들든 중요한 것은 접안렌즈로 볼 때 실물보다 큰 허상을 만들어야 한다는 겁니다. 2013. 2. 4. 움직도르래와 복합도르래 비교 2009년에 만든 움직도르래와 복합도르래를 비교하는 가상실험입니다. 움직도르래를 3개 연속해서 연결한 것과 옆으로 연견할 것의 차이를 알게 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옆으로 연결한 복합도르래는 물체가 올라간 거리가 잡아당긴 거리의 1/6 밖에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6줄이 물체를 끌어 올리고 있기 때문이지요 물체가 1m 올라간다는 것은 6줄이 각각 1m 씩 올라가야 하는 것이고 6줄이 다 연결되어 있으니까 결국 사람이 6m 를 잡아 당겨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동거리가 6배 늘어나니까 힘은 1/6로 줄어 들겠지요 움직도르래를 계속해서 아래로 3개 연결한 경우에는 아래쪽에 연결된 움직도르래가 위쪽에 절반만 올라오기 때문에 결국 물체는 사람이 잡아당긴 거리에 1/2 * 1/2 *1/2 해서 1/8 만 .. 2013. 2. 4. 수면에서의 빛의 반사-정반사 난반사 2003년에 개발한 플래시 자료입니다. 수면에서 빛의 반사를 알아보는 실험입니다. 물결이 잔잔해 지면 수면이 거울처럼 정반사가 일어나지만 물결이 치면 난반사가 되어 수면에 반사되는 상을 볼 수 없습니다. 수면에 정반사가 일어날때 착시가 나타나 엄마와 아이가 기도하는 모습으로 보이네요 2013. 2. 4. 전기력선 그리기 가상실험 2003년에 플래시로 개발한 전기력선 그리기 가상실험입니다. 서로다른 두 전하사이에 생기는 전기력선을 전하의 값들을 조작해가며 그려볼 수 있습니다. 2013. 2. 4. 이전 1 ··· 94 95 96 97 98 99 100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