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시자료)에라토스테네스 지구 크기 측정실험 에라토스테네스 지구크기 측정 실험에서 같은 경도가아니어도 두 지점의 그림자 방향만 일치하면 지구의 둘레를 알아낼 수 있다.재과만에 이승윤 선생님이 추진하고 있는 지구크기 측정실험이다.동일 경도가 아니더라도두 지점에 그림자의 방향이 일치하는 시간에 동시에 그림자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고 두지점간의 거리를 측정하면 지구 반경을 구할 수 있다.왜냐하면 두지점의 그림자가 일치하는 순간에 두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그려 보면, 반구가 되기 때문이다.상식적으로 쉽게 떠오르지 않아.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보았다.https://sciencej.cafe24.com/html5/Eratosthenes/earth.html 만약 학교들이 함께 측정하고 싶다면, 태양의 황도를 고려하여 그림자가 일치하는 시간을 찾아서, 같은 시간에 .. 2025. 4. 23.
복사에너지 -모든 물체는 자신의 온도에 해당하는 빛을 방출한다.(흑제복사) 복사평형 실험 복사평형 수업을 하는데 뭔가 극적인게 필요하다. 말로만 하니 재미가 없다. ---그래서 토치를 가지고 들어가서 클립을 가열해서 빛이 나는 실험을 보여 주었다.토치로 가열하면 클립의 온도는 계속 올라갈까? 중간에 뻘겋게 달아 오른 클립을 보여 주면서 온도가 올라간 클립은 결국 자신의 온도에 해당하는 복사에너지를 방출 한다는 것을 설명한다.클립의 온도는 흡수한 에너지와 방출한 에너지가 같아져 복사평형이 이뤄질때까지만 올라간다. 흡수하는 에너지를 없애면 클립의 온도는 내려간다. (색 변화를 통해 온도가 올라가는지 내려가는지 알 수 있다)마찬가지로 복사평형이 일어날때 까지만... 모든물체는 자신의 온도에 해당하는 복사에너지를 방출한다.https://youtube.com/shorts/VS5RxSq.. 2025. 4. 20.
복사평형 실험- 학생실험용 가상실험 복사평형 실험을 실험 도구 주고 해 보면 상당히 지루한 실험이다.20분 정도를 기다리면서 2분 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하고 그래프를 그려야 한다.준비시간과 준비물에 비해 가성비가 떨어지는 실험 중 하나다.그래서 이번에는 태블릿을 나눠주고 20분을 5분으로 단축시켜서 가상으로 실험해 볼 수 있게 만들었다.아래 링크에서 실행시켜 보면 된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Radiationbalance/Radiationbalance_stu.html실제 실험 처럼 실행을 시키면 시간과 온도만 나온다. 학생들이 실제 실험하는 것처럼 2분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해서 기록하고 기록한 결과를 가지고 직접 그래프를 그려보게 했다. 이걸 뭐하러 할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실제 해보니, 학생들이 그래.. 2025. 4. 17.
대기권의 층상구조 수업송(학습지 포함) 대기권의 층상구조 수업송이다.suno 를 이용해서 만들었다. 공개수업때 학생들 빈칸 채워 넣는 용도로 사용했다.일부러 1분 30초 정도로 시간을 조절했다. 수업하다 보면 2번, 3번 들려줘야 하기 때문이다.1시간안에 완성하는 수업이라 실제 수업할 때 처음에 한번 들려 주고, 끝날 때 한번 들려 주는 걸 목표로 한다.정답은 그 다음 시간에 알려줘도 된다. 정답이 무엇일지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고민하는 시간을 길게 주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처음에는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지만 배우고 나면 정답이 더 잘 보인다.https://youtu.be/lCYvMC9cuZg 학습지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아 사용하시면 된다.1장에 2개 나오기 때문에 절반씩 잘라 주고 가사 채워 넣는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맨 마지막 답.. 2025. 4. 16.
<수업설명팁> 기권 중 대류권과 중간권에서만 대류가 일어나는 이유(실험) 대류권의 특징은?대류권에서 일어나는 특징은 절대 외우지 말것! 대류권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을 왜 외우지?그냥 창밖을 봐라. 창밖에 보이는 모든 현상이 대류권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이다.비가오고, 눈이오고, 바람이 불고, 번개가 치고, 꽃이 피고, 낙엽이 떨어지고 등등.... 기상현상이 일어나지.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바람이 분다는 거야. 기권 중에 성층권과 열권은 안정된 층이야. 바람 한점 없지. 그 이유는 대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야.그럼 왜 대류권과 열권에서는 대류가 일어날까?그건 아래쪽이 위쪽보다 온도가 높기 때문이지. 뜨거워진 공기는 위로 올라간다는 건 알고 있지?대류현상이 뭔지 잘 기억이 나지 않으면 아래 링크 가서 다시 공부하고 와https://sciencelove.. 2025. 4. 16.
OX숨은 그림 퀴즈(화학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단원 정리) OX숨은 그림 퀴즈(화학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단원 정리) 20문제 입니다.단원 마무리 할 때 활용하며 좋습니다. 맞는 답 번호만 색칠하면 정답 그림이 나옵니다.학생들 수업시간에 시켜 봤더니 정말 열심히 하네요.자신만의 그림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https://sciencelove.com/2586 OX 숨은 그림 찾기 학습지 만들기 프로그램문제만들기 문제화면 아래쪽에 정답화면을 미리 볼 수 있게 추가했다(가끔 학습지에 정답을 함께 넣어 보관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리고 문제도 미리 입력해 놀 수 있게 추가해 놓았다.(가끔 문sciencelove.com 2025. 4. 10.
스펙트럼 관찰 관련 - 분광기 (임시 정리) 분광기와 스펙트럼에 대한 내용 임시 정리1. 분광필름은 빛을 프리즘 처럼 나눠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분광필름만 있어도 스펙트럼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왜 분광기를 만드는 것일까? 2. 분광필름을 눈에만 대고 봐도 스펙트럼을 볼 수 있다. - 그런데 문제는 위 프리즘 그림처럼 가느다란 빛을 봐야 하는데 사방에서 모든 빛이 다 들어 오기 때문에 스펙트럼들이 겹쳐서 제대로 된 스펙트럼을 볼 수 없다. - 네모난 천장광원을 보면 가장자리만 무지개가 보인다. 중심부분은 여러가지 색의 스펙트럼들이 겹쳐서 흰색으로 보인다. (알다시피 모든 색의 빛이 합성되면 흰색이 된다) - 스펙트럼을 잘 보려면 가느다란 선을 통과한 빛을 보는 것이 좋다. - 암실에서 가느다란 빛이나 점광원을 보면 분광필름만.. 2025. 4. 9.
<수업설명팁> 질량보존 법칙 다트총으로 설명하기 질량보존 법칙은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반응물의 총질량과 생성물의 총질량은 변하지 않는다는 법칙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총질량이다. 보통 종이나 나무를 태우고 나서 질량을 측정하면 측정값이 줄어든다. 그럼 이건 질량보존 법칙이 성립하는 걸까? 당연히 성립한다. 측정값이 줄어든 것은 생성물에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날아갔기 때문이다. 날아간 기체까지 모두 가져다가 생성물의 총질량을 측정하면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만약 밀폐된 병안에서 실험을 한다면 발생하는 기체가 밖으로 날아갈 수 없기 때문에 측정값도 변하지 않는다. 존법칙이 성립하는 이유는?> 생각으로 답하지 말고, 반드시 과학적으로 답하게 해야 한다. 화학변화에서(물리변화도 마찬가지다) 반응전과 반응후에 원자의 종류나 개수가 변했을까? 변할 이유가 없다.. 2025. 4. 1.
십자말 풀이(가로세로 퍼즐) 만들기 한글 프로그램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가지고 십자말 풀이 퍼즐을 만들 수 있다.만든 퍼즐은 이미지 복사하거나 화면 캡쳐해서 학습지에 넣어주거나, 이미지 파일로 만들어서 태블릿으로 보내주고 풀게 하면 된다.십자말 퍼즐은 한글 뿐 아니라 영어 그리고 제2외국어로도 가능하다. 아래 링크를 눌러 만들어진 십자말 풀이 만들기 프로그램을 먼저 살펴보기 바란다.http://edgo.kr/SRVh51. 아래 구글스프레드시트를 사본 복사 한 다음 문제와 내용을 본인의 수업에 맞게 수정한다.  - 이때 정답 화면이 십자말 풀이 퍼즐에 나타난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OLH0dDMkPQ_iwWS11NLlTa9LJPKHALXxzAxO9qKdLsI/edit?gid=0#gid=0만들어진 구.. 2025.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