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서 연주할 수 있는 피아노-진동수 변화실험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서 연주할 수 있는 피아노 - 진동수에 따른 목소리 변화아래 링크에서 실행시키고 녹음해서 연주하면 된다.어렸을 때 민서가 좋아하던 목소리 녹음해서 연주하는 피아노 프로그램을 20년 만에 웹용으로 다시 만들어 보았다.아래 링크 누르고 실행하면 된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piano/recpiano.html 마이크 녹음 버튼을 눌러 목소리나 다른 생활에서 나는 소리를 녹음한 다음정지를 누르고 재생버튼을 눌러 소리를 들어 본다.(참고로 앞부분에 묵음은 자동으로 제거되도록 만들었다.)소리가 잘 녹음이 되었다면 피아노 건반을 눌러 연주를 하면 된다. 끝  '아~~~~'  또는 '랄랄랄랄~~~' 소리를 녹음하고 연주해 보자. 말을 녹음하는 것 보다. 연주.. 2024. 12. 10.
거리에 따른 밝기 변화 초간단 실험 코로나 기간에는 수능때 책상위에 칸막이를 설치 했다.2020년 설치된 칸막이를 보다가 재미있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거리에 따라 밝기가 변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하고 빛이 비춰지는 면적은 제곱에 비례해서 늘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칸막이에 강한 빛을 비춰 보면 빛이 투과하기 때문에 거리마다 비춰지는 면적을 비교해 볼 수 있다. 2. 별지시기 앞에 필터를 끼워 빛의 점들이 나타나게 하면 거리에 따라 점의 갯수를 세서 비교할 수도 있다. 3. 별지시기를 이용해서 칠판에 비추고 뒤로 물러서면서 칠판에 비춘 빛 점의 갯수를 세면서도 확인도 가능하다. 2024. 12. 10.
행사때 사용하는 촛불 프로그램 + 야광봉 프로그램 - 설치 필요 없음 설치 필요 없는 ​촛불 프로그램촛불을 켜야 하는 행사를 할 때  사용 하려고 만들었다. 초가 없어도  스마트 폰에서 아래 링크를 누르면 바로 실행 된다. https://sciencej1.cafe24.com/cho.html 우측상단에 네모를 누르면 전체화면으로 나오고 촛불을 누르면 초의 크기가 누를때 마다 바뀐다. 그리고 양초를 누르면 양초 색깔이 바뀐다.  그리고 이건 불어도 안 꺼진다.  요즘은 촛불이 아니라 야광봉이 대세라고 해서 야광봉도 만들어 보았다.아래 링크로 접속하면 된다.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고, 불빛을 누르면 불빛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https://sciencej1.cafe24.com/cho1.html   불면 꺼지는 촛불은 아래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 2024. 12. 9.
학습용 미로 만들기 프로그램2(미로를 풀면 문장을 알아낼 수 있다.) 학습용 미로 만들기 미로게임을 교육용으로 만들어서 학습에 활용할 수 있게 만들어 보았다.일단 아래 미로를 풀어 보자.미로를 풀고 미로 경로를 따라서 나열된 글자들을 연결하면 문장이 만들어 진다.정답은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수 없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이다.출력해 주면 좋지만, 자원도 낭비 되고, 준비하는데 시간도 걸린다.그래서 출력해 주지 않고도 참여시킬 수 있다.  학생용 미로를 만들어서 미로 링크 주소를 보내주면 된다.그럼 태블릿이나 스마트기기로 접속해서 웹상에서  풀수도 있다.https://t.ly/nMEsn미리 학생들에게 전달할 메시지나, 아니면 수업내용 중 중요한 문장을 이용해서 만들어 보자. 학기말이나 학년말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모둠이 활동한다면.. 2024. 12. 2.
학년말 교과서 이미지 분류하기 활동 재과만에 김신혜 수석님이 올리신 자료[학년말] 진도를 다 나갔지만 교과서를 못 버리게 만드는 이미지 분류하기!자세한 설명은 재과만에 가서 참고하세요.(재과만 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https://cafe.daum.net/sedu22/Hzi/2613김신혜 선생님은 직접 교과서 이미지를 복사해서 이미지 카드로 나눠주고 아래와 같이 활동을 하신다네요*  그림분류하고 핵심용어 찾기 1. 이미지카드 36장2. 3장씩 짝을 지어 12가지로 구분하세요. 고스톱처럼^^ ('뭔지 모르겠으면 교과서를 찾아보세요. 거의 다 교과서 사진입니다'라고만 가끔 얘기합니다. )교과서 보기는 아이들 상황에 따라, 교과서를 못 보게 하고 진행. 중간에 [교과서 보기 타임 30초!] 넣어주기3.(교사) 돌아다니며 3장씩 놔둔 것 중 틀.. 2024. 11. 25.
아나모르포시스 만들기-태블릿 이용 자신의 사진으로 직접 만들어 보기 원기둥 형태의 거울을 이용하면 일부러 왜곡되게 만든 그림을 관찰할 수 있다.자신의 사진이나 그림을 가지고 왜곡된 상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아나모르포시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나 직접 수업시간에 활동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2407 아나모르포시스 만들기(원형거울 이용 왜곡상) 전개도 및 프로그램원형거울을 이용하여 왜곡된 상을 관찰하는 활동이다. 인터넷 상에 아나모르포시스라고 검색하면 많은 그림들이 나온다. 최근에는 교과서에도 실려 있다. 학생들이 직접 활동을 하면 좋겠다는sciencelove.com 출력해 주고 위 활동을 하다가 종이 없이 태블릿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진이나 이미지로 아나모르포시스를 직접 만들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024. 11. 12.
역학적 에너지 수업송 활용 방법 -학습지 포함 suno 로 역학적 에너지 관련 노래를 만들고 가사를 받아 적을 수 있는 학습지를 만들어 나눠 주었다.기존에 1시간에 노래를 반복해서 들려주고 가사를 맞추게 하는 수업을 하는 것 보다.역학적 에너지 수업 4차시 내내 수업 시작할 때, 음악을 딱 1번만 들려주고 가사를 맞추도록 했다.하루에 1번만 들려 준다. 수업시간이 남는다면 끝날때 1번 더 들려 줘도 된다.학생들은 매시간 들으면서 알아낸 가사를 조금씩 받아 적어야 한다.1시간에 끝내는 것이 아니다. 시간을 두고 매시간 조금씩 완성해 나가야 한다.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해 보니 한시간 수업하는 동안 맞추게 하는 것 보다매시간 지속적으로 듣는 것이 훨씬 효과가 있다.처음에는 알아들을 수 없어서 적을 수 있는게 별로 없지만, 조금씩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알아 .. 2024. 11. 7.
notebookLM 이용하여 인공지능으로 한글 대화 팟캐스트 만들기 요즘 인공지능의 발달은 정말 할말이 없다. 이게 말이 되나?notebooklm 사이트를 이용하면 주어진 자료를 가지고 2명이 대화하는 형태의 팟캐스트(심층대화)를 만들 수 있다.아쉽게도 한글자료를 올려도 대화는 영어로만 만들어 준다.그래서 영어로 만들어준 팟캐스트 자료를 한글 대화 형태의 팟캐스트로 바꿔 보려고 한다.1. notebooklm 사이트에 가서 영어 팟캐스트를 만든다.가. 접속해서 회원가입하고 로그인을 한다. (구글 계정을 연동해서 로그인하면 된다)https://notebooklm.google/나. 새노트북을눌러 새로운 노트를 생성한다.다. 소스 업로드를 눌러 원하는 자료를 올린다.문서파일을 pdf 파일로 바꿔서 올려 준다. 용량이 너무 크면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필요하면 웹사이트 주소를.. 2024. 11. 5.
역학적 에너지 보존 - 물병을 이용한 초간단 실험 역학적에너지 보존을 이야기 할 때 많이 하는 실험 중 하나다무거운 추나 볼링공을 천장에 매달고 얼굴 앞에서 놓면 공이 그네처럼 갔다가 되돌아 오는 왕복운동을 한다.공이 얼굴 있는 곳으로 다시 돌아 왔을 때 역학적 에너지 보존에 의해처음 위치에너지 보다 커질 수 없기 때문에 추나 볼링공은 얼굴 앞에서 멈추게 된다.즉, 과학을 믿으면 안전하다.수업시간에 직접 실험해 보았다. 일단 동영상을 보자.https://youtu.be/TObd1mkuP1E 1 교실 천장에 안전하게 추를 매달만한 곳이 없다.선풍기 매달린 곳을 사용해 볼까 했으나 이것도 조금 위험할 것 같다.그래서 학생들 도움을 받아 봉을 이용해 보았다.봉에다가 실을 걸어서 두명의 학생이 잘 잡고 있으면 된다. 그런데 약간 걱정이 든다.두명의 학생이 잡고.. 2024.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