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설명 팁> 별의 표면온도와 색깔 비교 초간단 실험- 샤프심 전구 모든 물체는 자신의 온도에 해당하는 빛을 방출 한다.별의 표면온도가 올라갈수록  무지개색과 비슷한 색을 낸다.온도가 낮은색 부터 빨,주,노,(초,초,초),파 그런데 초록색은 왜 안나오지?흑체 복사에 의해 생기는 빛은 레이저가 아니다, 빛이 나올 때 파장은 정상분포 곡선으로 나오기 때문에 초록색이 나올때는 주변에 빨간색과, 파란색도 상당히 많은 양이 함께 나온다.빛의 삼원색에서 배웠듯이, 빛의 삼원색인 빨,초,파가 함께 나오면 우리는 백색으로 보게 된다.그래서 온도가 낮은색 부터 무지개색과 비슷한 빨, 주, 노, 초(황백색), 초(백색), 초(청백색) 파 색깔은 초록색 부분에서 백색으로 보인다.적색,주황색,황색,황백색, 백색, 청백색, 청색 이 되는 것이다. 모든물체는 자신의 온도에 해당하는 빛을 내 놓는.. 2024. 12. 13.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 비교 수업 팁 (임시 정리)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을 가르 칠 때학생 2명을 앞으로 나오게 해서 설명하면 좋다.2명을 앞에 세운 다음 키큰 학생은 뒤로 보내서 뒤쪽 벽에 붙도록 한다.그리고 학생들에게 물어 본다. 누가 더 크지?다양한 답이 나온다.이때 정리 해 주자.눈으로 보이는 것과, 실제 크기 중 어떤 것을 묻는 건지 선생님이 조건을 정확하게 말해 주지 않았네?눈으로 보기에는 누가 더 크니?그렇다면 실제 크기는 누가 더 클까?실제 크기를 정확하게 비교하려면 그렇지 뒤에 있는 친구를 앞으로 오게 하고 앞에 있는 친구는 뒤로 가게 해서 2명을 같은 위치에 세워 놓고 비교하면 되겠지?그것이 절대 등급이란다. 그냥 눈에 보이는 데로 크기를 이야기 한 것은 겉보기 등급이란다.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은 쉬우면서도 어려운 내용이다.별거 아니.. 2024. 12. 13.
우리은하의 크기 알아보기 ( 돈으로 설명) 2010년에 이원숙 선생님이 과학선도학교에서 학습자료로 개발하신 자료 입니다. 은하계 크기를 설명할 때 가장 쉬운 설명 방법이지요.우리은하 의 크기는 10만원 단돈 10만원에 모십니다. ^^돈으로 표현하면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 학습목표     우리은하의 크기를 돈으로 나타냄으로 막연한 거리의 비율을 쉽게 익힐 수 있다.활동준비 1. 관련단원 : 중학교 별과 우주  2. 준 비 물 : 10,000원 화폐그림(12장), 코팅지, 자석  3. 구입방법 : 수 작업제작방법1. 1만원 지폐 모형을 12장 인쇄하여 코팅한다. 2. 1만원 지폐 1장을 반으로 자른 1장과 잇는다.(1.5만)  3. 각각의 뒷면에 테이프를 이용해 자석을 부착한다. 4. 우리 은하의 크기를 설명하며 폭에 해당하는 10만광년 만큼 1만원.. 2024. 12. 12.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서 연주할 수 있는 피아노-진동수 변화실험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서 연주할 수 있는 피아노 - 진동수에 따른 목소리 변화아래 링크에서 실행시키고 녹음해서 연주하면 된다.어렸을 때 민서가 좋아하던 목소리 녹음해서 연주하는 피아노 프로그램을 20년 만에 웹용으로 다시 만들어 보았다.아래 링크 누르고 실행하면 된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piano/recpiano.html 마이크 녹음 버튼을 눌러 목소리나 다른 생활에서 나는 소리를 녹음한 다음정지를 누르고 재생버튼을 눌러 소리를 들어 본다.(참고로 앞부분에 묵음은 자동으로 제거되도록 만들었다.)소리가 잘 녹음이 되었다면 피아노 건반을 눌러 연주를 하면 된다. 끝  '아~~~~'  또는 '랄랄랄랄~~~' 소리를 녹음하고 연주해 보자. 말을 녹음하는 것 보다. 연주.. 2024. 12. 10.
거리에 따른 밝기 변화 초간단 실험 코로나 기간에는 수능때 책상위에 칸막이를 설치 했다.2020년 설치된 칸막이를 보다가 재미있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거리에 따라 밝기가 변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하고 빛이 비춰지는 면적은 제곱에 비례해서 늘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칸막이에 강한 빛을 비춰 보면 빛이 투과하기 때문에 거리마다 비춰지는 면적을 비교해 볼 수 있다. 2. 별지시기 앞에 필터를 끼워 빛의 점들이 나타나게 하면 거리에 따라 점의 갯수를 세서 비교할 수도 있다. 3. 별지시기를 이용해서 칠판에 비추고 뒤로 물러서면서 칠판에 비춘 빛 점의 갯수를 세면서도 확인도 가능하다. 2024. 12. 10.
행사때 사용하는 촛불 프로그램 + 야광봉 프로그램 - 설치 필요 없음 설치 필요 없는 ​촛불 프로그램촛불을 켜야 하는 행사를 할 때  사용 하려고 만들었다. 초가 없어도  스마트 폰에서 아래 링크를 누르면 바로 실행 된다. https://sciencej1.cafe24.com/cho.html 우측상단에 네모를 누르면 전체화면으로 나오고 촛불을 누르면 초의 크기가 누를때 마다 바뀐다. 그리고 양초를 누르면 양초 색깔이 바뀐다.  그리고 이건 불어도 안 꺼진다.  요즘은 촛불이 아니라 야광봉이 대세라고 해서 야광봉도 만들어 보았다.아래 링크로 접속하면 된다.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고, 불빛을 누르면 불빛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https://sciencej1.cafe24.com/cho1.html   불면 꺼지는 촛불은 아래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 2024. 12. 9.
학습용 미로 만들기 프로그램2(미로를 풀면 문장을 알아낼 수 있다.) 학습용 미로 만들기 미로게임을 교육용으로 만들어서 학습에 활용할 수 있게 만들어 보았다.일단 아래 미로를 풀어 보자.미로를 풀고 미로 경로를 따라서 나열된 글자들을 연결하면 문장이 만들어 진다.정답은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수 없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이다.출력해 주면 좋지만, 자원도 낭비 되고, 준비하는데 시간도 걸린다.그래서 출력해 주지 않고도 참여시킬 수 있다.  학생용 미로를 만들어서 미로 링크 주소를 보내주면 된다.그럼 태블릿이나 스마트기기로 접속해서 웹상에서  풀수도 있다.https://t.ly/nMEsn미리 학생들에게 전달할 메시지나, 아니면 수업내용 중 중요한 문장을 이용해서 만들어 보자. 학기말이나 학년말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모둠이 활동한다면.. 2024. 12. 2.
학년말 교과서 이미지 분류하기 활동 재과만에 김신혜 수석님이 올리신 자료[학년말] 진도를 다 나갔지만 교과서를 못 버리게 만드는 이미지 분류하기!자세한 설명은 재과만에 가서 참고하세요.(재과만 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https://cafe.daum.net/sedu22/Hzi/2613김신혜 선생님은 직접 교과서 이미지를 복사해서 이미지 카드로 나눠주고 아래와 같이 활동을 하신다네요*  그림분류하고 핵심용어 찾기 1. 이미지카드 36장2. 3장씩 짝을 지어 12가지로 구분하세요. 고스톱처럼^^ ('뭔지 모르겠으면 교과서를 찾아보세요. 거의 다 교과서 사진입니다'라고만 가끔 얘기합니다. )교과서 보기는 아이들 상황에 따라, 교과서를 못 보게 하고 진행. 중간에 [교과서 보기 타임 30초!] 넣어주기3.(교사) 돌아다니며 3장씩 놔둔 것 중 틀.. 2024. 11. 25.
아나모르포시스 만들기-태블릿 이용 자신의 사진으로 직접 만들어 보기 원기둥 형태의 거울을 이용하면 일부러 왜곡되게 만든 그림을 관찰할 수 있다.자신의 사진이나 그림을 가지고 왜곡된 상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아나모르포시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나 직접 수업시간에 활동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2407 아나모르포시스 만들기(원형거울 이용 왜곡상) 전개도 및 프로그램원형거울을 이용하여 왜곡된 상을 관찰하는 활동이다. 인터넷 상에 아나모르포시스라고 검색하면 많은 그림들이 나온다. 최근에는 교과서에도 실려 있다. 학생들이 직접 활동을 하면 좋겠다는sciencelove.com 출력해 주고 위 활동을 하다가 종이 없이 태블릿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진이나 이미지로 아나모르포시스를 직접 만들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024.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