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으로 글 쓰는 기계 - 오토마타 라이팅 - 자동글쓰기 자동으로 글을 써주는 장난감이다. 원리를 살펴보면 x,y,z 축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아래쪽 돌아가는 판에 홈을 파서 볼펜을 잡고 있는 손을 움직이게 하는 기계다. 구입을 해서 분석해 보면 응용할 분야가 많을 듯 하여 구입해서 만들어 보았다. 원하는 글자도 직접 만들 수 있는 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아래 링크에 가서 글을 쓰면 오토마타-라이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판의 도면을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http://otonanokagaku.net/magazine/vol41/appli/ 잘 이용하면 x,y,z축의 분석을 통해 공간분석도 가능할 것 같고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원하는 글자 판을 근사하게 만들어 볼 수 도 있을 것 같다. 오늘 두꺼운 종이를 잘라서 만들어 보었는데 잘 안된다. 재미있는 장난감이다. 2015. 2. 5.
어떤게 진짜 자동차 경주일까?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어디까지가 가상일까? 세상의 기술은 너무나 빨리 발전하고 있다. 하나는 진짜 레이싱카에 카메라를 달고 찍은 화면이고 하나는 게임화면이라고 한다. 어느쪽이 진짜 경주화면인지 찾아 보자. 2015. 1. 28.
[취재파일] '드론'에 혼쭐 난 백악관..가장 막기힘든 공격수단 본문[취재파일] '드론'에 혼쭐 난 백악관..가장 막기힘든 공격수단 로봇혁명 드론이 세상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그런데 이 드론이 잘못된 방향으로 사용된다면 상상할 수 없는 재앙을 초래할 수도 있다. 조종법이 너무나 쉽기 때문에 누구나 마음대로 날릴 수 있는 드론 결국 우려가 현실이 되는 건 아닐까? 백악관 벽에 충돌한 드론에 대한 기사이다.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50128093008252 2015. 1. 28.
중학생을 위한 과학 정의적 특성 함양 프로그램 (ORM 2014-85-2)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에 올라온 자료 입니다. 별 생각없이 봤는데 자료가 너무 좋네요. 그래서 링크 걸어 놉니다. 중학교 1학년 과학 전단원이 다 제시되어 있습니다. 책자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kice.re.kr/resrchBoard/view.do?seq=43846&s=kice&m=030101 Ⅰ. 과학이란? 1. 숨어있는 숫자를 찾아라!|2 2. 어림의 달인|16 3. 나를 닮은 과학자 찾기 놀이|32 Ⅱ.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1. 어느 외계인의 지구 탐사기|40 2. 너와 내가 함께하는 지구계 이야기|52 3. 넌 아니? 상자 속에 뭐가 들었는지?|66 Ⅲ. 힘과 운동 1. 손바닥 밀기 모둠 대항전|84 2. 다 같이 일어서기|96 3. 이야기가 있는 그래프 그.. 2015. 1. 28.
로봇과 독거노인 영상 - 일상 속으로 들어온 로봇, 축복일까 재앙일까 로봇과 독거노인에 대한 에니메이션을 보면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로봇이 에니메이션 처럼 인간세계로 들어오는 일은 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슬픈 에니메이션이지만 한편으로 생각하면 사람이 할일을 로봇이 대치한다고 볼 수도 있다. 로봇과 사람이 직업을 두고 싸움을 벌이는 시대가 올 것인가? 우리의 일자리를 로봇에게 빼앗기게 된다면 마냥 즐거운 일만은 아닐 것이다. 짧은 영상이지만 노인문제에 대한 생각, 그리고 로봇에 대한 생각 등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상이다. 일상 속으로 들어온 로봇, 축복일까 재앙일까 - 아래 기사를 참고하세요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globaleconomy/675150.html 2015. 1. 28.
문제행동의 이해 및 대응법 - 송형호 선생님 자료 송형호 선생님이 서울교육청에서 주최한 일반고 혁신 역량 강화 연수에서 했던 내용입니다. 아래 링크에 가시면 http://cafe.naver.com/ket21/7949 파워포인트를 올려 놓으셨네요 파워포인트를 다운 받아 보시면 아랫부분에 간단한 설명도 해 놓으셔서 보기가 좋습니다. 한번 다운 받아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올려 놓으신 자료를 보니 제가 생각하는 것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네요. 최근 생활지도에 대한 제 생각은 선택을 교사가 하지말고 학생이 하게 하자 라는 것입니다. 선택권을 학생에게 넘기면 갈등의 절반은 해결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2015. 1. 22.
캄보디아에서 본 하현달의 모양 - 달의 위상 변화 캄보디아에서 본 하현달의 모습은 아래쪽 절반만 보이는 모습이었다. 달의 위상변화에서 하현달의 모양은 왼쪽편만 보이는 반달 모양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알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 새벽에 하현달의 모습을 살펴보면 왼쪽이 아니라 약간 좌측 아래쪽 절반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왼쪽 절반만 보이는 모습은 하현달이 남중하는 가장 이상적인 경우에만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하현달이 동쪽 지평선 부근에서 떠오를때는 아래 그림처럼 거의 아래쪽 절반만 보이게 된다. 위 사진처럼 왼쪽만 보이는 채로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런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아래링크에 있는 달시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하현달이 지평선 주위를 돌게 하면서 관찰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http:/.. 2015. 1. 15.
제18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프로그램 자료집 자료집 다운 받기 대한민국 과학창의축전 프로그램 자료집이 올라왔네요 가보고 싶어도 갈 수 없었는데 이렇게 책자로라도 볼 수 있어서 정말 좋습니다. 쭉 살펴 보았는데 아는 것도 있고, 잘 모르던 것도 있네요. 2014. 12. 16.
<수업설명팁> 역학적 에너지를 개수로 쉽게 설명하기 공식을 들이밀면 우선 겁부터 먹는 학생들이 있다. 막연히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 때문이다.역학적 에너지 보존법칙을 가르칠때도 마찬가지다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 공식을 적어 놓고 설명을 하면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 공식도 잘 이해하지 못 한 학생들에게는 수업을 듣지 말라는 것과 같다. 그래서 오늘 수업시간에 역학적에너지 보존법칙을 설명할때 에너지를 개수로 바꿔서 설명해 보았다.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몰라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나중에 개념이 이해되고 나면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공식과 연관시켜 주었다.   롤러코스터 그림을 제시하고 공기저항이나 마찰을 무시할 때 역학적에너지는 항상 보존된다.즉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는 서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다. 10m높이에 출발 준비를 하고 있는 롤러코스터의 위치.. 2014.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