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3

증강현실을 이용하는 빛 실험실(AR 빛 실험실) - 적극추천 마커를 다운 받아 인쇄하지 않고 웹상에서 실행해 볼 수 있게 있게 웹용 마커를 만들어 보았다. 컴퓨터 화면이나 태블릿 화면에 마커를 띄워 놓고, 스마프폰으로 AR빛실험실 앱을 실행시켜 비춰 가면서 실험 하면 된다. 마커는 드래그 해서 움직일 수 있고, 회전도 가능하고, 제자리에서 누르면 나타나거나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인식이 잘 안되면 마커를 확대하거나 축소해 볼 수도 있다. 프린터로 출력해도 잘 인식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웹에서 실행시키니 생각보다 인식도 잘 된다. 1. 구면거울과 빛의 반사 http://sciencej1.cafe24.com/html5/arlight/ARlight1.html 2. 다양한 렌즈와 빛의 굴절 http://sciencej1.cafe24.com/html5/arlight/ARl.. 2017. 6. 8.
윈도우10 에서 노트북을 무선공유기로 사용하는 초간단 방법 윈도우10 에서는 스마트폰처럼 노트북을 모바일핫스팟으로 만들 수 있다. 가끔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수업을 하거나, 학생들 자료를 받을 때 데이터가 없어서 곤란할 때가 있다. 이럴 때 노트북을 무선공유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동일 wifi 에서만 실행되는 미러링 앱도 사용이 가능하다. 단 노트북이 유선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한번에 8명까지만 접속이 가능하다. 당연히 많이 접속하면 속도가 느려진다. 1. 윈도우 10 화면에서 좌측아래 검색창에 ‘핫스팟’ 이라고 검색어를 넣고 검색한다. 2. 모바일 핫스팟 설정 변경 을 선택한다. 3. 다른 디바이스와 인터넷 연결공유를 켠다. 필요하면 편집을 눌러 모바일 핫스팟 이름과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4. 스마트폰이나 다른 기기에 wifi에서 모바일 핫스팟에 설.. 2017. 6. 7.
공기 무게를 증명할때 실수하기 쉬운 오개념 예전 초등학교 교과서에 보면 공기에 무게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공기를 넣은 풍선과 공기를 넣지 않은 풍선을 양팔저울에 달아 비교하는 그림이 나온다.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다) 과연 공기를 가득넣은 풍선은 더 무거울까? 1. 우선 풍선이 아닌 빈 봉지를 가지고 실험해 보자. 실험결과는 빈봉지나 공기를 넣은 봉지나 전혀 차이가 없다. 이유는 빈봉지에 공기가 들어간 만큼 공기에 의한 같은 크기의 부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 실험을 진공에서 한다면 공기가 들어있는 비닐봉지 쪽으로 기울어 질 것이다. 2. 풍선을 가지고 하면 바람을 불어넣은 풍선이 더 무거울까? 과학실에서 만든 양팔 저울로 가지고 실험한 결과 의미있는 결과를 보기가 어렵다. 이론적으로 풍선에 바람을 넣으면 비닐봉지와는 달리 풍선안에 있는.. 2017. 6. 4.
선풍기가 돌아갈때도 질량은 보존될까? 닫힌계 안에서는 여러가지 변화가 일어날 수 있지만 닫힌계 밖에서 계 전체를 봤을때는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실험을 설계해 보았다. 우선 열린계에서 선풍기를 저울에 올려 질량을 측정해 보자. 선풍기 바람 방향을 위로 향하면 저울의 측정값은 원래 선풍기 무게보다 증가한다. 선풍기 바람 방향을 아래로 향하면 작아질 것 같지만 실제 측정해 보면 마찬가지로 측정값은 더 증가한다. 이는 공중에 더 있는 드론의 질량에서 설명한 바 있다. http://sciencelove.com/2125 드론이 공중에 떠 있을때 저울의 질량은어떻게 될까? - 질량보존? 새장안에 있는 새가 날아올라 공중에 떠 있을 때 새장의 질량은 어떻게 될까? http://sciencelove.com/1467 새장안에 새가 날고 .. 2017. 5. 23.
초간단 공기 무게 측정하기 간단한 방법으로 공기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떠올라 실제 측정해 보았다. https://youtu.be/o5o3A4VwX48 아이디어는 이렇다. 1기압일때 용기의 질량을 측정하고, 0.5기압일때의 용기의 질량을 측정하면 그 차이가 용기 부피의 1/2 에 해당하는 공기의 무게가 될 것이다. 0.5기압이 되었다는 것은 온도가 일정할때(분자운동속도가 일정할때) 용기안에 들어있는 공기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압을 측정하기 위해 진공실험장치에 스마트폰을 넣어 압력을 측정하 수 있게 준비한다. 첫째 : 1기압에서 스마트폰을 넣은 진공실험장치의 질량을 측정한다. 둘째 : 진공실험장치의 공기를 빼서 0.5기압을 만들고 질량을 측정한다. 세째 : 그 차이가 진공실험장치 부피의.. 2017. 5. 19.
크기가 다른 두 풍선을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기압차이 설명)고기압저기압 같은 풍선을 크기가 서로 다르게 분다음 두 풍선을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같지 않은 결과가 나올때가 많다.보통 큰 풍선에서 작은 풍선쪽으로 공기가 이동할 것 같지만, 사실은 작은풍선에서 큰 풍선쪽으로 공기가 이동한다.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분다.이는 작은 풍선이 큰 풍선보다 압력이 크기 때문이다. 그래서 풍선을 불때 처음이 가장 힘들고 한번 불기 시작하면 그 다음부터는 풍선을 부는 것이 쉬워진다.직접 풍선내부기압을 측정하기 위해 스마트와치의 기압계를 30cm풍선안에 넣고 측정해서 풍선내부 기압값도 확인해 보았다. 풍선이 작을때는 1049 풍선이 클때는 1034hPa 임을 알 수 있다. 즉 풍선이 작을때 보다 더 클때 내부기압은 작아진다.https://youtu.be/.. 2017. 5. 18.
랜섬웨어에 걸렸을때를 대비한 대처 방법 랜섬웨어 대처 방법 네트워크를 타고 퍼지는 랜섬웨어가 전세계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작년에 랜섬웨어에 걸려 큰 낭패를 겪었던 경험이 있다. 정답은 백업을 떠 놓는 것, 한번 감염되면 절대 복구 불가... ^^ 인터넷에 복구 툴이나 복구 암호등이 떠 돌고 있지만 거의 가능성이 없다고 보면 된다.(예전에 잡힌 범인이 가지고 있던 암호를 공개해 놓은 것이라, 요즘 걸리는 것과는 거의 상관이 없다.) 랜섬웨어는 문서를 암호화 하는 건데 암호를 모르면 절대 풀 수 없다. 만약 복구 업체같은 곳에서 이 암호를 그렇게 쉽게 풀 수 있다면 우리가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암호는 아무 쓸모가 없어진다. 복구업체에 맡겨도 암호화된 문서를 풀어서 원상태로 돌린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 2017. 5. 15.
공중부양팽이가 공중에 떠 있을때 질량은 변할까?(질량보존법칙) 질량보존의 법칙을 설명하려고 만들어 보았다.열린계에서도 공중부양팽이가 공중에 떠 있을때 전체 질량 측정값은 어떻게 될까?  팽이가 공중에 떠 있을때도 측정값은 변하지 않는다. 팽이가 자기력(척력)으로 공중에 떠 있게 되지만, 같은 크기로 아래쪽을 누르는 힘이 생기기 때문이다.자석팽이를 손으로 잡고 아래 밑판 자석에 가까이 하면 같은극일때 척력이 작용해서 값이 더 커지고, 다른극일때는 인력이 작용해서 값이 더 작아지는 것도 알 수 있다.이처럼 공기 흐름이나 기체가 발생하지 않는 실험에서는 열린계에서도 질량이 잘 보존되는 것을 알 수 있다.팽이 공중에 뜨기전의 질량을 보여주고, 공중에 떠 있을때 화면만 보여주면서 처음 측정값과 나중 측정값이 어떻게 될지 토의해 보게 하면 좋다. ^^https://youtu... 2017. 5. 15.
피젯스피너를 이용한 빛의 합성 실험 최근에 학생들 사이에 피젯스피너를 가지고 노는 것이 유행이다. 돌아가는 속도가 상당히 빨라서 돌리고 있으면 재미있다. 힘껏 돌리고 좌우로 흔들어 주면 관성모멘트도 느낄 수 있다.(좌우로 손목을 돌려 보면 잘 따라 돌지 않고 엉뚱한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은 유심히 관찰하다가 이것으로 빛의 합성 실험을 하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생각난 김에 바로 구입해서 만들어 보았다. 내가 구입한 피젯스피너는 우연히도 빛의 삼원색과 같은 빨,초,파 고무줄이 있어서 빛의 삼원색 합성 실험을 위해 색종이를 오려 붙이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었다. 색팽이 실험은 후레시를 사용하는 실험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어둡게 나온다. 그래서 하얀색도 거의 회색으로 보이게 된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 2017. 5. 8.
전동기 원리 가상실험 프로그램 (전자기력 - 입체) 전동기 원리를 교육하기 위해 만든 가상실험 프로그램입니다. 관찰자의 위치를 바꿔가며 입체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해서 문제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전동기 모습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또 미리 동작시키기 전에 어느쪽으로 회전할지 미리 예상해 보게 하고 자기장과 전류의 방향을 나타나게 한다음, 오른손을 이용해서 힘의 방향을 찾아 보게 합니다. 재생버튼을 눌러 실제로 예상한 곳으로 회전하는지 확인해 보면 됩니다. 전류의 방향이나 자기장(자석)의 방향을 바꾼다음 다시 같은 방법으로 시도해 보면 좋습니다. 관찰자의 위치를 바꿔가며 다양한 상황에서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찾아 봅시다. 스마트폰용은 구글플레이에서 설치해서 실행해 볼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 2017. 5. 1.
원형도선주위의 자기장(입체) 가상실험 프로그램 원형 도선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의 모습을 입체로 만들어 보았다. 직선 도선만 이해하면 원형도선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까지 이해가 가능하다. 그런데 교과서에 나오는 원형도선의 그림을 보면서 이게 어떤 모양인지를 질문하는 학생들이 있었다. 원형도선을 위에서 내려다 볼때랑 비스듬한 각도에서 볼때를 잘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한다. 그래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관찰자가 바라보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다. 좌우로 돌려 솔레노이드 모양도 보여주려 했으나, 생각처럼 보여지지는 않는다.(이건 개선할 사항) 원형도선의 입체모양을 잘 이해하면 대부분의 도선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을 이해할 수 있다. 1. 원형도선을 위쪽 또는 옆이나 아래쪽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사람 눈 모양을 위아래로 드래그 하면 .. 2017. 5. 1.
직선도선주위의 자기장(입체) 가상실험 프로그램 직선도선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을 입체로 만들어 보았다. 수업을 하다 보니 간단한 사실인데 학생들은 교과서에 나오는 그림을 위에서 볼때랑 옆에서 볼때를 잘 일치시키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라보는 각도를 조절해 가면서 볼 수 있게 제작하였다. 1. 흘러가는 직선도선을 위쪽 또는 옆이나 아래쪽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사람 눈 모양을 위아래로 드래그 하면 된다.) 2. 전기가 흐를때와 흐르지 않을때의 모습을 실험해 볼 수 있다. (스위치를 누르면 된다.) 3. 전류의 방향을 바꿔가며 관찰할 수도 있다. (건전지를 누르면 자동으로 방향이 바뀐다.) 4. 자기장의 모양을 철가루, 화살표, 나침반 모양으로 바꿔가며 관찰할 수 있다. 자기장의 방향은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방.. 2017. 5. 1.
주제 맞춤형 공모연수 안내 '생활속의 과학교과서' 경기도 신과수 연구회에서 주관하는 테마연수 안내 1학점이 인정이 된다고 합니다. 신청기간은 5월8일 까지네요(30명 모집에 벌써 15분이나 신청하셨네요. ^^)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과학교과서'로 검색하셔서 '생확속의 과학교과서'신청하시면 됩니다. https://gelearning.kr:464/ 자세한 설명은 링크나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1. 연수 기획 의도 및 필요성 2017년 신과수연구회의 주제는 에너지로 정하여 발전의 원리 탐구에서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는 과학을 배우는 것이 일상생활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원자력연계 에너지교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실험 및 교육내용을 연수할 예정이다. 방사선 조사 식품, 방사선 조사 감자, 양파들.. 2017. 4. 28.
작용 반작용 - 돛단배에 선풍기를 틀어주면 움직일까? 작용 반작용을 설명할 때 항상 나오는 고전적인 문제다.돛단배 위에 선풍기를 틀어주면 어느쪽으로 움직일까? 물리교과서에 정답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돛단배 위에 선풍기가 10이라는 힘으로 바람을 내보내면 반작용에 의해서 배는 10이라는 힘으로 반대쪽으로 움직이려 한다. 그런데 선풍기에서 불어나간 10이라는 힘이 바로 앞에 있는 돛에 충돌하면서 돛에 10이라는 힘을 가하게 되고, 그럼 배는 10이라는 힘으로 돛을 단 쪽으로 가려고 하기 때문에 결국 배는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 과학의날행사를 하다가 갑자기 돛을 단쪽으로 배가 움직일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그래서 실험을 해 보았다. 과학상자를 이용해서 자동차위에 선풍기를 만들고 앞쪽에 돛을 만들어 선풍기를 작동시켰을때 어느쪽으로 .. 2017. 4. 21.
포도주잔과 같은 유리잔은 오목렌즈일까 볼록렌즈일까? 유리잔에 물을 넣으면 볼록렌즈가 된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 유리잔에 물을 넣지 않았을때는 어떻게 될까? 얼마전 마트에 갔다가 우연하게 유리잔이 진열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그런데 한줄로 세워진 유리잔을 통해 보이는 모습에서 오목렌즈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유리잔 1개일때는 잘 구분이 안되지만 여러개가 한줄로 늘어서 있으니 훨씬 더 잘 구분이 되는 걸 알 수 있다. 물이 들어있지 않은 유리잔이 오목렌즈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유리잔 바깥쪽 곡면 보다, 안쪽 곡면이 더 작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약간 오목렌즈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학생들이 쓰는 안경과 비교하면 이해하기 쉽다.. 안경은 비구면렌즈다. 안경렌즈 바깥쪽과 안쪽이 모두 곡면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안경 바깥쪽.. 2017. 4. 18.
교사가 알아야 하는 네이버클라우드 활용 팁 가끔 컴퓨터가 고장이 나거나, 하드가 망가져서 중요한 자료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미리 백업을 해 놓았다면 큰 걱정은 없겠지만, 백업을 한 이후에 수정했던 문서나 작업했더 파일은 살릴수가 없다. 1년에 몇 번씩 주변에서 컴퓨터가 고장나거나 랜섬웨어와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중요한 자료가 사라져서 곤란을 겪는 경우를 자주 보아왔다. 필자는 5-6년전부터 클라우드와 컴퓨터를 연동하여 이런 문제를 해결해 왔다. 한번 설정 해 놓기만 하면 작업하고 있는 자료들을 자동으로 백업을 해 주는 효과가 있다. 학교컴퓨터와 집컴퓨터에 클라우드를 설치하고 연동해 놓으면, 학교에서 문서를 작업하다가 끄고, 집에 가서 컴퓨터를 켜면 작업하던 문서가 동기화 되어 이어서 작업할 수 있다. 심지어는 몇 번에 걸쳐 수정하면서 덮어.. 2017. 4. 17.
페트병을 이용한 기압 실험(과학마술?) 페트병 옆을 잘라 놓아도 물이 세지 않는다? 마술은 아니다. 대기압과 표면장력의 합작품이다. 대기압 이야기를 할때 보통 거꾸로 뒤집어 놓은 컵을 책받침으로 막으면 물이 쏟아지지 않는 다거나, 페트병에 송곳으로 구멍을 뚫어 놓아도 뚜껑을 닫아 놓으면 물이 쏟아지지 않는 다는 것은 대부분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페트병 옆을 절반정도 잘라서 아래 그림처럼 찌그러지게 해 놓아도 쏟아지지 않는 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원리는 대기압이 물표면을 눌러 주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물의 표면장력이 함께 작용하면서 물이 흘러 넘치지 않는 것이다.  페트병 옆을 자를때 밑바닥과 평행하게 잘 자르지 않으면 실패할 수 있다. 또 페트병을 윗부분을 구부릴때 가능한 수직이 되게 구부려야 한다. 그.. 2017. 4. 16.
전류가 흐르는 도선주위에 생기는 자기장 알아보기(추리퀴즈) 전류가 흐르는 도선주변에 생기는 자기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장치를 꾸미고 촬영해 보았습니다. 직선도선 주변에 생기는 자기장만 알면 원형도선이든 코일이든 다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실험 세팅할 때 직선도선의 방향이 북쪽으로 향하게 하고 도선 위나 아래에 나침반을 놓는 것이 좋습니다. 즉 도선과 나침반 N극 방향이 평행하도록 배치) 모든 것을 다 직선도선으로 바꾸어 생각하게 하면 쉽습니다. 중요한 것은 나침반의 N극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라는 것이지요. 도선주위에 생기는 자기장 수업을 다 하고 나서, 퀴즈를 내서 풀어보게 하려고 동영상과 학습지를 만들었습니다. 설명하기 쉽게 프로그램도 함께 만들었습니다.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을 이용해서 암호문을 풀어보는게 미션입니다. https://youtu.be/.. 2017. 4. 9.
질량보존 법칙을 따르지 않는 모래시계? 모래시계에 구리선을 감아 물에 간신히 뜨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잘 보이도록 모래시계 위쪽과 아래쪽에 고무줄을 감아 표시를 했다. 찌통안에 넣어 놓고 보면 모래시계가 물 위쪽에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모래시계 안에 모래는 아래쪽에 내려와 있다.) 찌통을 통채로 뒤집어 놓으면 모래시계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럼 모래시계가 떠 올라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모래시계는 물위로 떠오르지 않는다. (이때 모래시계 안에 모래는 위쪽에 존재하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 모래시계 안에 있던 모래가 아래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고, 어느정도 모래시계 안에 모래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모래시계가 떠 오른다? 모래시계는 유리관으로 밀폐되어 있는데 모래가 위쪽에 있을때와 아래쪽에 있을때 질량이 변하는 것일까.. 2017. 4. 2.
초스피드 호모폴라 전동기 1. 호모폴라 전동기 실험 구리선을 이용해서 만드는 가장 간단한 전동기로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 회전시켜 볼 수 있다. 건전지 위에 올려놓은 구리선이 회전하면서 자꾸 떨어지거나 움직여서 회전속도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중심축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선하게 되었다. 이전 호모폴라 전동기 만들기 영상이다. 이 영상에서 개선된 점은 구멍뚫린 자석을 위쪽에 붙여서 구리선이 잘 떨어지지 않게 만든 점이다. https://youtu.be/qmDY5GGIhLQ 개선된 호모폴라 전동기 만들기 가. 준비물 구리선(지름1mm, 길이 30cm), 페라이트 원형 자석(20X5mm), 네오디뮴자석 원형(10mm×10T), 네오디뮴 자석(원형사라(나사용):사라 13㎜ x 3T(6.5*4.2m.. 2017.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