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3

교육용 실물화상기 앱 - 갤럭시s9, s8에 미러링에서 가로모드 지원 및 표시가능 갤럭시s9를 사용해 보니 스마트폰을 미러링 할때 다른 앱들은 가로모드가 지원이 되는데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카메라의 경우에는 세로모드밖에 지원이 안된다. 스마트폰에서는 가로모드로 보여도, 미러링 된 TV에서는 항상 세로모드로 보여진다. 실물화상기 처럼 사용하고 싶은데 카메라가 세로모드로 보여지니 화면이 좁아 아쉬운점이 많았다. 그래서 가로모드로 보이게 전용앱(교육용 실물화상기)을 만들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작동하는 거라 카메라에 비하면 화질이 많이 떨어진다. 하지만 수업시간에 무언가를 보여주는데는 지장이 없다. 만드는 김에 보여주다가 스마트폰 화면 아무대나 누르면 현재화면이 바로 정지화면으로 바뀌게 만들었다. 그 상태에서 위에다가 손가락으로 글을 쓰거나 표시를 할 수 있다. (활동지를 보여주다 정지시킨 다.. 2018. 3. 16.
지구계 구성요소 분류프로그램 이용하여 분류하기 지구계 구성요소를 가르치려고 어린왕자가 자신의 별을 소개하는 영상을 보여주었다. 어린왕자의 별에 무엇이 있었는지 관찰한 결과를 적고 최대한 많이 발표하게 한다음, 이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어린왕자에게 소개시켜 줘야 한다며 각자 지구 하면 생각나는 것들을 적게 했다. 그리고 모둠별로 가치있는 것들을 상의해서 고르도록 했다. 물론 사람이 만든 인위적인 것과 단순히 이름을 나열하는 것은 피하도록 했다. 여기까지는 대부분 선생님들이 하는 방법일 것이다. 그리고 포스트잇을 이용해서 칠판 앞에 나와 붙이거나, 아니면 모둠별로 유목화 하는 수업을 진행할 것이다. 좀 더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나온 결과물을 자신들 나름대로 분류해 보게 하고 왜 그렇게 분류했는지 이야기 나눈 다음, 과학교과서에서는 지구계에 포함된 .. 2018. 3. 15.
초간단 도체구 이용한 정전기 유도 실험장치 만들어 실험하기 도체구 2개를 붙여 놓고 한쪽에 대전체를 가까이 한다음 도체구를 분리하고 대전체를 멀리 하면 대전체에 가까운 도체구는 대전체와 다른극으로 멀리 있는 도체구는 같은극으로 대전된다. 작년에 이 실험을 간단하게 하고 싶어서 이것 저것 찾아보다. 쇠구슬 2개와 빨대를 이용해서 아주 작은 실험도구를 만들었다. 쇠구슬이 어떤 전기로 대전되었는지 알아내기 위해서 작은 스티로폼구를 (-)로 대전시켜 놓고 쇠구슬을 가까이 하면서 극을 확인해 보려고 했다. (-)로 대전된 대전체를 붙어있는 도체구 오른쪽으로 가져갔으니 당연히 오른쪽 쇠구슬은 (+) 왼쪽 쇠구슬은 (-)로 대전될 것이다. 쇠구슬을 떨어뜨려 놓고 다양한 실험을 해 볼 수 있다. 아래 동영상은 간단하게 실험하는 장면들이다. 그런데 처음에 실험할때는 오른쪽 쇠구.. 2018. 3. 15.
지구내부구조 종이이어 붙여 입체감 있게 만들기 아직 수업전이라 정리가 덜 됬지만 수업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 구상한 것을 먼저 올린다. 수업이 끝나고 다시 정리하도록 하겠다. 기존에 피자조각과 같은 종이를 가지고 지구내부구조를 만들고 이어붙여서 피자판 모양으로 만드는 수업을 했었다. 그러다가 올해는 좀 바꿔 보면 어떨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지구내부구조 종이모형 설계도를 만들어 보았다. 기존과 다른 특징은 1. 종이조각안에 32cm 자 눈금이 나오게 만들었다. 자가 없이도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2. 조금 어려울수도 이해가 되야 할텐데... (나중에 동영상으로 찍어 올리면 이해가 쉬울듯) - 종이조각을 반으로 접어 책처럼 접은 다음 서로 이어 붙이게 만들었다. 그럼 나중에 만들어진 지구내부구조 모형에 각각의 종이조각들을 책처럼 덮어.. 2018. 3. 12.
수도꼭지 물이 떨어지면서 가늘어 지다 분리되는 이유(중력)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중력을 설명하려다 보니 떨어지는 수돗물 줄기가 생각났다. 수도꼭지에서 나온 물은 떨어지면서 점점 가늘어 지다가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이어져 있던 물줄기가 분리되면서 물방울로 변하게 된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걸까? 중력으로 설명하면 간단하다. 중력때문에 떨어지는 물체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속력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두물체를 떨어뜨릴 때 약간의 시간차를 가지고 떨어뜨리면 어느순간에 측정한 첫번째 물체의 속력은 두번째 물체의 속력보다 항상 빠르다. (v=g*t) 그래서 시간이 지날수록 첫번째 물체와 두번째 물체사이의 거리는 점점 더 벌어지게 된다. (s=1/2g*t^2) 같은 1초 차이라 두 물체 사이의 거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멀어진다. 수돗물에서 위아래로 .. 2018. 3. 10.
학교안에 있는 암석 보물지도 처럼 찾기 암석수업을 몇시간을 해도 밖에 나가 주변에 있는 암석이 어떤 암석인지 관심조차 없는 학생들이 많다. 이런 학생들은 배움을 삶과 일치시키려 노력하지 않는다. 1학년 자유학년제를 시행하면서 단순한 지식보다는 실제 체험을 해 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보물찾기 지도처럼 만들기 위해 학교안에 있는 암석들을 돌아다니면서 촬영했다 일부러 주변 모습도 어느정도 보이게 촬영했다. 그래야 암석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을테니까... 난이도를 높이려면 암석 모습만 보이게 촬영하면 된다. 학교 구석 구석 9개의 암석을 촬영하고, 1장에 칼라로 인쇄해서 모둠별로 1장씩 코팅해서 나누어 주려고 한다. 수업이 끝나면 걷어서 다음반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제 암석이론 수업이 끝나고 나면 야외수업을 할 예정이.. 2018. 3. 6.
스캔받은 증명사진 나이스 크기로 한명씩 잘라 저장하기 증명사진을 스캔 받아서 나이스에 올리기 위해 사진을 1장씩 잘라야 할 때가 있다. 한 장씩 스캔 떠서 올리려면 너무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보통 A4 용지 한 장에 우리반 학생들 사진을 다 붙인 다음 1번에 스캔 떠서 1명씩 사진을 잘라 다시 저장한다.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직접 학생들 사진을 찍어 주기도 하는데 이때도 증명사진 크기로 자르기 위해서 또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같은 크기로 자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opencapture 1.3.4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오래된 프로그램이지만 설치할 필요도 없고 가벼워서 좋아요. 업그레이드 안하고 이 프로그램으로만 쭉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픈캡쳐 사용법 http://sciencelove.com/1763 1. 증명사진을 순서대로 붙여 스캔을 받거나 스.. 2018. 3. 6.
과학책에 붙이게 하는 도장판 매년 학기초에 도장판을 만들어 나누어 주고 책 맨 앞장에 붙이게 한다. 주기율표 도장판은 2학년용이다. A4용지 크기가 교과서 보다 커서 가장자리 테두리를 잘라내고 주면 좋다. 2,3학년의 경우에는 재과만에서 정현선 선생님 올리신 상점스티커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주기율표 형태로 만들어 나누어 주었다. 올해 1학년을 가르치는데 1학년은 아직 원소기호가 나오지 않아 고민하다가 그냥 빈칸으로 주는 것보다 배울 내용들을 넣어 주는게 좋을 것 같아서, 1학년 책을 보고 간단하게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다. 내용과 상관없이 처음부터 칭찬할 일 있을때 찍어줄 생각이다. 조금 더 여유가 있다면 아예 배울 내용들을 정리하고 그 내용을 완수 했을때 도장을 찍어줘도 좋을 것 같다. 2학기때는 새로 만들어야 할 것 같다. 2018. 3. 2.
엑셀로 만든 전화번호 목록 스마트폰 연락처에 추가하기 학기초마다 우리반 학생들 전화번호나 바뀐 학교 교직원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무작정 입력하다 보면 몇년 지나서 이름이 뒤죽 박죽되어 도대체 누가 누군지 헷갈릴때도 있다. 그래서 엑셀로 정리된 전화번호가 있다면 그룹을 만들어 한번에 입력하고 관리 할 수 있다. 그리고 누군가가 만들어서 ‘google연락처추가’ 파일을 만들어서 배포하면, 다른 선생님들은 쉽게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구글 주소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첨부된 엑셀양식을 엑셀이나 한셀에서 불러와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가. 첨부된 ‘google연락처추가’ 화일을 열어서 해당 항목에 대한 내용을 입력한다. 미리 만들어 놓은 주소록이 있다면 복사해서 해당 항목에 붙여넣어도 된다. 나. 이름은 알아보기 쉽게.. 2018. 3. 1.
박수와 함성을 통해 수업 시작할 때 수업 분위기 잡기 매시간 수업들어갈 때마다. 선생님이 문을 열고 한손을 들고 들어서면 박수와 함께 함성을 지를 것을 요구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수업들어가서 첫 말을 잔소리나 지적질(?)로 시작하지 않기 위해서다. 매년 반복해왔던 실수 중에 하나가 수업시작할때 마다 잔소리를 하는 것이다. '너희 둘은 시작종 쳤는데 왜 서 있지?', '조용히 해!', '책 안꺼내고 뭐하니?' , '똑바로 앉아' 등등... 시작종 치고 들어가서 학생들의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잘 따르지 않는 학생들을 만나게 되면 잔소리 강도가 점점 더 심해진다. 이렇게 수업을 시작하면 잔소리를 들은 학생도 기분이 나빠지고 잔소리를 한 선생님도 기분이 나빠 진다. 들어가면서 밝은 목소리로 먼저 인사를 해보기도 했는데 쳐다 보는 학생이.. 2018. 2. 25.
팝업카드를 직접 제작하는 사이트 팝업카드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사이트 http://caa1211.github.io/webOAcard/?m=castle 구글 실험실에서 다양한 실험을 많이 하고 있다. 그 중에 오늘은 팝업카드를 만드는 사이트를 알게 되었다. 인터넷상에서 가상으로 미리 접어 볼 수 있고 마음에 들면 종이에 출력해서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팝업 카드를 직접 제작해 볼 수도 있다. 아래는 팝업 카드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 동영상이다. 시간이 될때 학생들과 함께 자신만의 팝업카드를 제작해 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하다. 직접제작한 카드는 저장이 가능해서 공유할 수 있다. 교육과 관련된 팝업카드를 만들어 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출력은 우측 상단에 있는 설계도를 누르면 그림화일로 저장 됩니다. 크롬에서 실행.. 2018. 2. 12.
국어사전을 통해 정답확인이 가능한 단어 맞추기 게임 규칙에 따라 한글 단어를 맞추는 게임 - 초성의 달인 4차산업혁명에 맞게 집단지성에 의해 만들어진 우리말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국어사전 api를 사용합니다. 예전에 만들었던 것은 국어사전 api 지원이 중단되는 바람에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다음 국어사전으로 옮겼다가, 다시 네이버 백과사전으로 옮겼다가 하면서 지원을 했었는데, 이제는 우리말샘 사전을 이용합니다. 집단지성에 의해 만들어가는 사전이라 그냥 쳐 본 단어도, 왠만한 단어는 다 정답처리를 해 버립니다. 한자음까지 다 정답처리를 해 버리는 단점이 있네요. 수업시간에 원하는 단어갯수나 또는 초성을 제시하고 학생들과 함께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ㄱ' 자로 시작하는 2글자 또는 4글자 단어 또는 학교와 관련된 단어 등등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2018. 2. 2.
칠교놀이 로봇 모양 모음 자신이 만든 칠교놀이를 저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든지 10년이 넘었다. 자신이 만든 칠교모양을 저장할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이 만든 칠교모양을 불러오기 해서 맞춰볼 수도 있다. 그동안 신경을 쓰지 못하다 오늘 들어가 보니 7만3000건의 칠교놀이가 올라와 있다. 아마 세계에서 가장 많은 칠교 모양이 올라와 있는 사이트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4차산업혁명에서는 개인이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집단지성과 빅데이터가 중요하다. 우연치 않게 집단지성을 발휘해 빅데이터를 갖게 되었다. 이곳에 있는 양질의 자료를 모아 칠교놀이 책을 출판해도 될 것 같다. 몇일동안 시간을 내서 로봇과 관련된 자료만 아래한글로 정리해 보았다. 정리하다 힘들어서 150개 정도만 정리했다.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학생들이 로봇을 그릴때.. 2018. 1. 31.
간단하게 브레인스토밍을 유목화 시킬 수 있는 분류프로그램 가난한 교사들을 위한 프로그램 포스트잇을 사기 어려운 교사들도 간단하게 브레인스토밍을 유목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스마트폰용 앱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classification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1. 분류항목 란에 분류할 소제목을 입력합니다. 최대 5개까지 분류할 수 있습니다. 2. 단어입력란에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면서 학생들이 생각한 단어를 받아 적습니다. 엔터를 치면 아래쪽에 카드가 만들어 집니다. 3. 미리 만들어 놓은 단어들이 있다면 일괄입력 버튼을 눌러 나타나는 글상자에 붙여넣기를 합니다. (단 미리 목록을 만들어 두려면 콤마를 찍어가며 단어들을 배열해야.. 2018. 1. 25.
QuizBuzzer(퀴즈부저) 서버1.3 사용방법 너무 오래된 프로그램이고 더이상 업데이트 하지 않습니다. 요즘은 좋은 프로그램들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퀴즈부저가 필요하시다면 아래 소개한 클래스툴 사용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클래스툴 맨 아래 퀴즈부저가 있습니다. https://sciencelove.com/2617 클래스툴(classtool) 사용법 - 실시간 상호작용 스마트 수업 클래스툴은 실시간으로 학생들과 스마트기기로 소통할 수 있는 가장 쉬운 프로그램 중 하나다. 카훗과 같은 기존에 프로그램들은 교사가 미리 문제를 만든다거나, 미리 선행작업을 필요로 하는 sciencelove.com ----------------- 가난한 교사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인별 또는 모둠별로 퀴즈부저를 나눠 주고 활동을 할 수 있지만 가난한 교사들은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 2017. 12. 27.
종이 악보 인식해서 연주해 주는 앱(PlayScore Lite) 종이악보를 촬영하면 인식해서 연주해 주는 앱이다. 사람은 뭘해야지? 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게 된다. 물론 나처럼 피아노를 잘 못치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고마운 앱이기도 하다. 악보만 있으면 언제든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니까. 오늘도 예전 인기가요 대백과 책을 꺼내 스마트폰으로 연주시키면서 시간을 보냈다. 우선 아래 동영상을 한번 보자. 얼마나 연주를 잘 하는지... 예전에 사용하던 iseeNotes 앱 보다 훨씬 뛰어나 졌다. 가사가 있어도 인식이 잘 된다. 템포도 조절이 가능하다. 유료인 Pro 버전도 있지만 무료인 Lite 버전을 사용해도 종이악보를 인식하고 연주하는 데는 거의 제약이 없다. 단 Lite 버전은 동시에 2줄 연주까지만 지원하고 3줄이 되면 pro 버전 구입을 권한다. 플레이스토어에 가서.. 2017. 12. 24.
용액 결정생성 타임랩스 영상 - 요술소나무 용액이 증발하면서 결정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스마트폰에 프레임랩스 앱을 이용해서 타임랩스 기법으로 촬영해 보았습니다. (프레임랩스 사용법은 http://www.sciencelove.com/1917 참고) 4시간 영상을 줄여서 30초 정도로 재생시킵니다. 결정이 생성되는 모습을 학생들에게 보여주면서 모세관현상,증발,포화용액,결정등을 설명해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youtu.be/UXhXyZRDFbw 판매되는 제품이라 용액의 성분이 제대로 나와 있지 않네요. 판매사에서는 그냥 소금성분이 결정화 되는 거라고 하는데 자세히는 알 수 없네요. 보통 요소를 가지고도 비슷한 실험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찾아 봤습니다. 직접 해 보려면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https://www.stevespanglers.. 2017. 12. 18.
바탕화면에 눈내리게 하는 프로그램- snowmaker-크리스마스 트리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네요. 바탕화면이나 파워포인트 화면에서 눈이 내리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첨부화일을 다운받아 새폴더에 압축을 풀고 snowmaker2 를 실행시키면 바탕화면에 눈이 내립니다.(설치할 필요 없이 실행만 시키면 됩니다. 혹시 보안 경고창이 뜨면 본문 맨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그런데 눈은 왜 꼭 하늘에서 내려야 할까요그래서 우측아래에 있는 크리스마스트리를 선택하고 마우스휠을 위로 돌리면 눈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고 마우스휠을 아래로 돌리면 눈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옵니다.개인적으로 하늘로 올라가는 눈도 멋지네요   우측아래 트리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메뉴화면이 열리는데 원하는 모양 선택이 가능합니다. 두번째 화면인 하트도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화면입니다.  하트가 바닥에서 하늘로 올라가.. 2017. 12. 17.
흔들린 탄산음료캔 거품 안나게 따기 - 보일의 법칙 흔들린 탄산음료캔을 거품 안나게 뚜껑을 따는 많은 방법이 나와 있다. 대부분 따라해 봤는데 별로 만족스럽지 않았다. 그러다가 최근에 인터넷에서 알게된 탄산음료캔을 바닥에 눕혀서 굴리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제 생각이 잘 못 되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맨 아래 추가 정리 중 참고) 마구 흔든 사이다캔을 옆으로 뉘어서 3번 정도 왕복해서 굴려 준다.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서 최대한 세게 흔들어 달라고 한 후 실험해 보자.) 이때 주의할 점은 사이다캔이 완전히 1바퀴 이상 굴러야 한다. 그리고 너무 빨리 굴리면 안된다. 그리고 나서 사이다 캔 뚜껑을 따면 신기하게도 거품이 넘쳐나지 않는다. 동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자. 동영상 끝부분에서 벽면에 붙은 기포가 떨어지는 걸 보여주려고 했는데 .. 2017. 12. 11.
신과람에서 직무 연수를 하네요 신과람 직무연수 일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http://cafe.naver.com/tes1993/3800 2017.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