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43 초간단정전기감지장치만들기 - 2016 현장과학교육학회 발표자료 2016 현장과학교육학회에 발표했던 자료입니다. ppt도 함께 올리려고 했더니 정제가 되지 않아 원고만 추가로 구입처까지 자세하게 적어서 올립니다. 간단하게 정전기 감지장치 만드는 법과 정전기 관련 실험들이 간단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소개된 내용들은 제 홈페이지 이곳 저곳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몇가지 보여줬던 동영상들 2016. 9. 6. 스마트폰으로 무료 전자도서관에서 책 빌려 읽는 법 + 책 읽어주게 하는 법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전자책을 빌려 읽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전자도서관에 들어가서 책을 빌려 읽으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책을 읽을 수 있어서 정말 좋다.특히 교보문고전자도서관 앱을 설치하면 빌린 책을 필요할때 읽어주게 할 수도 있어서운전하거나 작업할 때 읽어주는 책을 들을 수 있어서 좀 더 많은 책을 읽을 수 있다. 주변에 몇분 선생님들께 알려 드렸는데 어려워 하셔서 내친김에 스마트폰으로 전자책을 빌려서 읽는 방법을 메뉴얼로 만들었다.첨부된 메뉴얼을 따라하면 어렵지 않게 전자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다.첨단시대에 맞게 전자책을 빌려 읽어 보자. 아래는 첨부화일에 들어있는 것과 똑같은 메뉴얼이다.전자도서관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자책 대출 해서 읽기 1. 경기도사이버도서관을 이용하는 방법 – 경.. 2016. 7. 21. 덕소역에서 국수역까지 자전거 라이딩 2015년 9월 28일 덕소역에서 국수역까지 자전거 라이딩 2016. 7. 14. 여주보에서 강천섬 까지 자전거 타기 2015년 10월 4일 여주보에서 강천섬까지 자전거 길 라이딩 2016. 7. 14. 초성퀴즈모음1.2프로그램 - 초성퀴즈 여러문제 한꺼번에 출제 1.2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전체힌트를 눌렀을때 일부 문제가 생기던 오류를 수정했습니다. 사용해 보니 몇가지 불편한 점이 있어서... 1. 문제화면 위에 제목이 표시되도록 하였습니다. 제목도 길게 넣을 수 있도록 수정 2. 전체 힌트 버튼을 만들어 누르면 전체 문제에 받침까지 한꺼번에 나타나도록 하였습니다. 초성퀴즈모음 1.0 프로그램이다. 가끔 초성으로 교과서에 나와 있는 내용들을 초성으로 출제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교과서를 찾아 초성에 해당하는 답을 찾아 적도록 하면 좋다. 다양한 방법으로 초성퀴즈를 활용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청주 양은숙 선생님이 만든 초성퀴즈로 교과서 해부하기라는 수업내용이 마음에 들어서 관련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본인이 원하는 문제를 텍스트 화일 입력하여 본.. 2016. 7. 3. 수영복이나 구명튜브에 다는 위험 경보 장치 수영복이나 구명복에 경보장치를 달아 놓고 손으로 잡아 뽑으면 큰 경광음을 울려주는 장치가 있다면 좋을 듯 수압이나 물의 깊이에 따라서 열리게 할 수도 있을 듯... ^^ 2016. 6. 24. 자동 주차 시스템 -주차장 추락사 문제 해결 자동차를 주차장 밖에 주차하면 자동으로 주차장안으로 들어가도록 만들면 주차타워에서 추락하는 사태는 막을 수 있을 듯 하다. 주차타워 입구에 정위치에 주차시키면 기계가 알아서 차를 안으로 이동시켜 주게 하면 어떨지 출차 할때도 마찬가지로 자동으로 입구까지 나오게 하면 좋을 듯 2016. 6. 24. 자석의 N극과 S극은 따로 존재할 수 없다.<마술> 자석의 N극과 S극은 따로 존재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자석을 작게 쪼개도, 자석이라면 쪼개진 작은 조각도 반드시 N극과 S극이 함께 존재해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학생들은 자석의 홑극만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하네요 그래서 간단한 마술도구를 이용해서 홑극이 존재할 수 없음을 마술로 보여 주려고 합니다. https://youtu.be/7NebKujqVog 2016. 6. 16. Plickers (플리커스2023)를 이용한 학생과 상호작용 가능한 수업 만들기 2023년 3월에 업데이트 했습니다. 익스플러에서 한글이 잘 입력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크롬으로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사용하세요Plickers(플리커스) 를 처음 접하시는 분은 본문 맨아래 실제 수업시간 활용 동영상을 먼저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학생들의 답변을 취합하여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클릭커라고 한다. 복면가왕이나 나가수와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 관객들이 가수의 노래를 듣고 자신의 마음에 드는 가수에게 클릭커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투표를 하면 투표결과가 바로 집계 되어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리모컨처럼 생긴 클릭커 라는 도구를 하나씩 미리 나누어 주어야 한다. 최근에는 클릭커 대신 학생들의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답변을 받을 수 있는 kahoot.. 2016. 6. 12. <수업설명팁>달의 위상변화 학생들 얼굴모습 이용하여 쉽게 가르치기 달의 위상변화를 가르치기 위해 색깔을 절반만 칠한 공을 들고 교실을 돌아다니며 관찰을 시키거나 또는 뻥튀기를 이용하여 모둠 활동을 시키곤 했다. 뻥튀기 이용한 활동은 아래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1971 뻥튀기를 이용한 달의 위상변화 관찰 학습지와 방법뻥튀기를 이용한 달의 위상변화 학습지와 관찰방법입니다. 달의 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좋아하는 뻥튀기를 이용해 보았습니다. 우선 뻥튀기를 서로다른 2가지 색으로 준비합니다. 가sciencelove.com 달의 위상변화 관찰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1109 달의 위상 변화 관찰 프로그램달의 위상변화를 관찰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반드시 다운을 받아서 저장을 하신후 실행하세요.. 2016. 6. 10. 태양계 행성의 크기 비교 프로그램 웹상에서 작동하는 행성크기 비교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에 가시면 할 수 있어요. http://sciencej.cafe24.com/html5/planetsize/planetsize.html 수업을 하다 보니 학생들이 지구와 태양의 크기가 얼마나 차이나는지 궁금해 하네요 그래서 인터넷 자료를 보여주곤 했는데 직접적으로 비교해 주면 좋을 것 같아서 간단하게 몇개의 행성과 태양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우측에서 행성을 선택하면 색깔이 칠해진 원이 나타나고 나타난 행성원들은 마우스로 드래그가 가능합니다. 또 확대 축소 버튼을 눌러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만들어 태양의 크기를 한눈에 보이게 만들어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만들어 놓고 보니 지구나 달은 정말 작네요. ^^ 한번 보여주면 확 느낌.. 2016. 6. 1. <수업설명팁>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크기 측정 - 피자는 알고 있다 에라토스네테스의 지구크기 측정을 가르칠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수식만 나오면 우선 학생들은 어렵다고 느끼고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래서 시작을 실생활에서 시작한다. 피자 1조각을 칠판에 그리고 '선생님이 어제 피자가게에서 피자 1조각을 샀는데 주인이 피자 한판을 8조각내서 1조각을 파는 거라고 하더라. 그런데 선생님이 보기엔 피자 한판을 12등분 해서 1조각을 파는 것 처럼 보였어. 나머지 피자를 보자고 했더니 다 팔리고 1조각만 남았다면서 8등분해서 파는게 맞다고 하네 어떻게 하면 8조각을 낸건지 12조각을 낸건지 알 수 있을까?' 먹는 문제이기 때문에 남학생들의 반응이 심상치 않다. 여러가지 의견이 나오다가 내가 원한 의견들이 나오기 시작한다. 한 학생이 '피자를 종이위에 놓고 테두리를 따라 .. 2016. 5. 31. 달의 크기 측정 프로그램 - 시지름 이용 시지름을 이용하여 달의 크기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눈앞에 있는 가림막의 위치와 달의 위치를 드래그 해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또 눈앞에 있는 가림막의 구멍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달의 크기도 변경해 볼 수 있습니다. 설명변경 버튼을 누르면 다른방법으로 달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 나옵니다. 2016. 5. 30. 북극성 고도와 위도 관계 - 에라토스테네스 지구 중심각 측정 웹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추가 아래 링크로 접속하면 바로 실행해 볼 수 있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latitude/latitude.html latitude sciencej1.cafe24.com ----- 북극성의 고도가 그 지역에 위도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만들었다. 관측자를 드래그 해서 위도를 바꾸어 가며 북극성의 고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면 된다. 처음에 만들때 잘 만들걸... 중간에 자꾸 아이디어를 추가하다 보니 프로그램이 복잡해져 버렸다. 실험할 수 있는 것은 1. 북극성의 고도와 위도의 관계 - 지구 둥근증거 2.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실험에서 그림자의 각도와 지구중심각과의 관계 - 지구크기 측정 3. 태양의 고도와 위도 관계 - 춘,.. 2016. 5. 30. 중국어가 가능한 골든벨 프로그램 그런데 생각처럼 모든 글을 다 지원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기본 텍스트에서 지원하는 중국어만 지원 되는 듯... 지원되지 않는 글자는 그림화일로 넣는 방법 밖에는 없는 것 같네요. 2016. 5. 30. 초성퀴즈 프로그램 2.3 업그레이드 - 26글자 가능, 단계별 힌트 가능 기존 20글자까지 되던 것에서 최대 26글자까지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한글자씩 힌트를 줄 수 있습니다. - 글자가 나오는 문제칸을 누를때 마다 그 글자 하나만 1단계 - 2단계 힌트가 진행됩니다. 그밖에 사소한 버그들 수정했습니다. 기존에 10글자까지만 출제할 수 있었던 것에서 이젠 한번에 20글자 까지 출제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다 보니 1시간 분량을 만들어 사용하기는 쉬운데 매시간마다 조금씩 동기유발에 쓰려고 하니 새로 만들기가 귀찮네요. 그래서 주제목록(차시)을 추가로 넣울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서 차시별로 문제들을 출제하고 필요한 차시문제를 불러서 보여줄 수 있도록 수정했습니다. 만드는 방법은 메모장에 아래 처럼 만들면 됩니다. (자세한 방법은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메모장을 열.. 2016. 5. 17. 사진을 찍으면 꽃이름을 알려 주는 다음(DAUM)어플 드디어 꽃을 찍으면 이름을 찾아주는 어플이 나왔다. 스마트강의를 다니면서 꽃 이름을 알려주는 어플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곤 한다. 그럴때 마다 '모야모' 어플을 소개해 주곤 했다. (모야모 어플은 사진을 찍어 올리면 집단지성을 발휘해서 꽃이름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답을 해주는 어플이다.) 그런데 최근에 다음앱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사물검색이 사라지고 꽃검색 기능이 새로 생겼다. 다음어플을 설치하고 다음앱을 실행시킨다음 검색창옆에 있는 마이크 모양을 누르면 아래쪽에 서브메뉴가 열리는데 그 중에 꽃검색을 선택하고 알고싶은 꽃을 촬영하면 된다. 그럼 꽃을 분석해서 꽃이름을 알려 준다. 미리 찍어 놓은 꽃을 갤러리에서 불러들여 꽃 이름을 알아 볼 수도 있다. 반신 반의 하면서 테스트 해 보았는데 100%.. 2016. 5. 15. 드론이 공중에 떠 있을때 저울의 질량은어떻게 될까? - 질량보존? 새장안에 있는 새가 날아올라 공중에 떠 있을 때 새장의 질량은 어떻게 될까? http://sciencelove.com/1467 새장안에 새가 날고 있을때 질량은? - 질량보존의 법칙 저울위에 새가 앉아 있는 새장을 올려 놓고 질량을 측정하였다. 잠시후 새장안에 앉아 있던 새가 날아 올라 새장 중간에 떠 있다면 저울의 눈금은 어떻게 될까? 단 새장은 완전 밀폐된 유리로 만 sciencelove.com 새장이 밀폐되어 닫힌계 안에 있다면 변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실험해 볼 수 없어서 안타까웠는데 드론을 이용해서 실험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저울위에 밀폐된 용기안에 드론을 넣고 질량을 측정한 다음 공중에 띄우면 저울위 측정값은 어떻게 변할까? 실제 실험해 보니 밀폐된 용기 안에서는 질량이 거의 변하지 않음.. 2016. 5. 10. 발포정을 이용한 질량 보존의 법칙 실험 교과서에 보면 질량보존의 법칙을 실험하기 위해 보통 묽은염산과 계란껍질을 사용한 실험을 보여준다. 그래서 몇일전부터 계란을 사서 삶아 먹고 계란 껍질을 모으고 있었다. 그러다가 문득 다른 방법으로 실험할 수는 없을까 고민을 하게 되었다. 그때 눈에 띤 것이 물에 타먹는 비타민, 비타민 발포정이 눈에 들어왔다. 그래서 묽은염산과 계란껍질 대신 발포정을 이용하여 실험을 설계해 보았다. 학교에 예전에 사놓은 염소 소독정도 있어서 둘을 다 가지고 실험을 했다. 1. 페트병에 물을 약간 넣고 뚜껑에 발포정을 올려 놓고 전자저울에 총질량을 측정한다. 2. 페트병을 기울여 뚜껑을 닫고(물을 적게 넣으면 페트병을 많이 기울일 수 있어서 뚜껑을 닫는 동안 물과 반응하지 않게 할 수 있다.) 3. 똑바로 세워 물과 반응시.. 2016. 5. 9. 360도 영상으로 찍어본 이천중학교 과학의 날 행사(LG360cam) 최근 VR 이 뜨고 있다. 그래서 2016 이천중학교 과학의날 행사 영상을 시대에 맞춰 최초로 360도 영상으로 촬영해 보았다. LG360cam 을 이용하여 촬영 (마우스로 화면을 돌려가면서 동영상을 볼 수 있음, 영상이 펼쳐저 보이면 크롬으로 접속해서 보기 바란다.) 크롬으로 접속해서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360도로 돌려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9Ty7FNuxoU#t=13 스마트폰에서는 360도 영상을 보려면 유투브앱을 설치하고 유투브앱에 가서 '이천중 과학의 날' 로 검색해서 시청하면 스마트폰을 돌려가면서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교실에서 진행된 행사는 빼고 따로 열린 대회들만 촬영해 보았다. 1. 점심시간을 이용한 천체관측행사(태양흑점 관찰) .. 2016. 4. 22.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