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87

나비가 애벌레로 변하는 마술(전반사) 본 자료는 2004 - 2008년까지 이천중학교에서 과학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개발한 자료입니다. 나비그림을 그리고 코팅을 한다음 코팅지 위에 나비 몸통을 유성펜으로 따라 그립니다. 그리고 뽑기통안에 물과 함께 넣고 돌려 보면 코팅하기전에 그린 나비 그림이 보는 각도에 따라서 사라지는 것처럼 보인다. 2013. 4. 20.
신체 절단 마술 비밀 신체절단 마술 비밀 이런 비밀이 숨어 있었네요 자세히 보면 탁자 아래쪽에는 거울을 이용한 것 같습니다. 그냥 보면 탁자 다리가 4개 있고 그 가운데가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손이 지나갈때는 보이지 않는 걸로 보아 거울을 이용한 눈속임이 숨어 있겠지요. 2013. 4. 20.
좌우 눈을 바꾸어 보는 장치 만들기 동영상 좌우 눈을 바꾸어 볼 수 있는 장치를 만드는 방법을 동영상으로 자세히 설명해 놓았네요 언제 시간날때 한번 만들어봐야 겠어요. 어떻게 보일지 궁금해 지네요. 2013. 4. 20.
50가지 착시현상 프로그램 - 눈에 보이는 것을 다 믿을수 있을까? 50가지 착시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프로그램에 있는 50개의 내용 중 1장면입니다. 파도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냥 그림이랍니다. 착시관련 프로그램중에는 최고인 것 같네요 첨부화일을 다운 받아 실행하세요 출처는 아래 사이트입니다. http://www.bubblebox.com/game/puzzle/1256.htm 2013. 4. 20.
2분동안 10가지 착시현상 동영상 동영상 다운받기 자세히 집중해서 보면 다 착시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3. 4. 20.
3d 적청안경을 이용하여 입체도형 관찰하기 2003년도에 만들었던 프로그램입니다. 3d 적청안경을 쓰고 보면 도형들을 입체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3d 적청안경을 쓰고 보시면 됩니다. 빛이 색이 있는 셀로판지를 통과할때 일부색만 통과하는 원리를 이용해 이렇게 왼쪽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가는 것을 다르게 하면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답니다. 수동회전을 누르고 키보드 자판으로 화면을 돌려 보시면 훨씬 부드럽게 돌아갑니다. 또 끝내실때는 위쪽 닫기 버튼 말고 화면에 있는 닫기 버튼을 눌러 주세요 2013. 4. 20.
본다는 것은 - 막힌 상자에 구슬 넣는 마술 본다는 것은 눈에 보이는 것을 다 믿을 수 있는가? 2013. 4. 20.
사막에 생기는 신기루 - 세상에서 제일 빠른차 처음에는 물위를 달리는 줄 알았다. 자세히 보니 사막에서 한 실험이고 지표면이 뜨거워져 공기가 굴절해서 생기는 신기루 현상때문에 자동차가 얼음판에 반사된 것 처럼 보인다. 하지만 사실은 신기루 때문에 그렇다. 가까이 왔을때 신기루 현상이 사라지면서 잠깐동안 정상적으로 보인다. 2013. 4. 20.
모니터 화면 관찰 가상 프로그램 모니터 화면 관찰 프로그램입니다. 모니터 색을 바꾸어 가며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 확대 축소 버튼을 이용해서 점점 작게 하면 합성된 색도 어느정도 관찰이 가능합니다. (예 : 노란색 - 확대 : 빨간,초록 - 축소 : 노란색) 배경색을 검은색 또는 흰색으로 바꿀수 있구요 색을 확인할때는 배경색을 검은색으로 하는게 더 좋네요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면 흰색이라도 점점 어두워져서 검은색으로 바뀜을 알 수 있습니다. 밝기가 어두워진다고 색깔 자체가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회색은 결국 하얀색이랑 같은데 빛의 밝기가 어두워서 그렇게 보이는 것 뿐이지요 이런 현상들을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2013. 4. 20.
체크펜 - 본다는 것은(빛의 삼원색 응용 ) 체크펜 - 빛의 삼원색을 이용한 상품이네요 아래 사이트 탐고 http://sciencelove.com/science/swf/selopan.swf 붉은색 시트지를 올려 놓으면 붉은색만 통과 하니까 다른색은 통과하지 못해 검은색으로 보이게 되지요 따라서 붉은색 시트지를 놓으면 하얀 종이는 붉은색으로 검은 글씨는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런데 중요한 글자 부근에 초록색 형광펜을 칠하면 초록색도 붉은색 시트지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글자와 함께 똑같은 검은색으로 보이게 되지요 그래서 글자를 알아 볼수 없도록 한것 같네요 재미있는 발상으로 빛의 삼원색을 응용한 제품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초록색펜을 사용할때는 붉은색 시트지를 그럼 붉은색 펜을 사용할때는 ??? 아래는 판매하는 곳에서 퍼온 동영상과 상품내용입.. 2013. 4. 20.
투명인간 만들기3.0 (웹캠이용) 웹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추가로 개발해 올려 놓았습니다.https://sciencelove.com/483049 투명 인간 만들기 프로그램(내 몸의 일부만 사라지게 하기)투명인간 만들기 프로그램 예전에 웹캠을 이용한 투명인간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한 적이 있다.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새로 만들어 보았다. 아래 링크에서 실행sciencelove.com 투명인간 만들기 프로그램입니다.웹캠이 필요합니다.웹캠을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 시킨다. 위 그림처럼 프로그램이 실행되면1번 위치에 캠카메라에 찍힌 영상이 나타난다.2번 위치에 있는 배경찍기 버튼을 이용해서 배경을 찍고(이때는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찍어야 한다.)4번위치에 있는 색띠를 누르면 그 색보다 더 밝은 색 또는 어두운.. 2013. 4. 20.
환일현상(sundogs) - 빛의 굴절로 태양이 여러개로 보이는 현상 환일 현상은 태양이 여러개로 보이는 현상입니다. 아주 특별한 기상조건에서만 만들어지기 때문에 관찰하기가 아주 어렵다고 하네요 주로 추운지방에서 관찰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현상은 비교적 높은곳에 자리잡고 있는 구름(권층운)의 얼음 알갱이들이 크기가 30마이크로 미터 이상이 되고 얼음입자의 넓은 판면이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이룰때 얼음을 통과하는 햇빛이 좌우로 굴절되서 나타난다고 합니다. 굴절각은 약 22도 정도 된다고 하네요 하늘에서도 빛을 굴절시켜 재미있는 현상을 만들어 내는군요. 아래 동영상은 환일현상 입니다. 만약 얼음입자들의 판면이 수평으로 서지않고 제멋대로 서게 되면 모든 방향으로 굴절이 일어나 원형의 밝은 띠를 만들게 되는데 이런경우에는 햇무리 라고 합니다. (아래 사진 참고) 아래사진은 햇무.. 2013. 4. 20.
태양 흑점 관찰 - 디지털 카메라 이용 캐논 카메라를 이용하여 태양흑점을 관찰해 보았습니다. 광학 35배, 디지털 140배 까지 확대가 되므로 천체망원경이 필요가 없네요 빔프로젝터 또는 TV와 연결해 사용한다면 교실에서 실시간으로 태양흑점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2013. 4. 20.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달 관찰 동영상 캐논 PowerShot SX40 HS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한 달과 목성의 동영상입니다. 캐논 카메라를 사서 공부하고 있는데 기능이 많네요 특히 광학 35배 디지털 140배 줌의 위력은 상상을 초월하네요 천제망원경 없이도 달을 찍을 수 있습니다. 메뉴얼을 보면서 다양한 활용방법을 연구중입니다. 잘 활용한다면 천제망원경 없이도 천체관측 행사가 가능할 것 같네요 디지털 카메라를 빔프로젝터에 연결하고 삼각대에 세워서 달을 맞추면 빔프로젝터를 통해 달의 모습을 실시간 관찰이 가능합니다. 또 천체망원경으로는 할 수 없는 줌인 줌아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낮에 촬영한 달 모습은 몇시에 촬영한 영상일까요? 그리고 무슨 달일까요? 달모습을 보면 상현달을 지난후의 모습입니다. 오른쪽 .. 2013. 4. 20.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우주송)-행성에 관한 내용 우주송(행성에 관한 내용) -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 http://www.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er.jsp?flash=/sl_song/SONG2005/SONG200504/SONG2005040003/SONG2005040003.swf&title=우주송&regno=SONG2005040003 가사보기 우주만물 너무 신비해 알면 알수록 더 알고 싶어 태양계는 8개 행성 각각 행성 특징도 달라 음음 수성 밤낮 기온차 크고 금성 가장 밝게 보여요 행성 순서 나열해보면 수~금지화목토천해 음음 화성 계절변화 지~구같~이 나타나고요 목성크~기 가장 크고 행성중에 뚱뚱보행성 음음 토성 많은 고리와 위성 천왕성 축이 누워있어요 행성 순서 나열해보면 수~금지화목토천해 .. 2013. 4. 20.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태양송)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 - 태양송입니다. 태양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할 수 있네요 http://www.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er.jsp?flash=/sl_song/SONG2007/SONG200711/SONG2007110002/SONG2007110002.swf&title=태양송&regno=SONG2007110002 가사보기 태양 표면엔 무엇이 있을까 굴절망원경 반사망원경을 통해 관찰해 표면은 광구 온도 육천켈빈 쌀알과 흑점 자전하는 속도도 알 수 있어 중심에서 수소가 핵융합하는 태양 복사층과 대류층 광구 그 광구 표면에 쌀알 무늬와 흑점 온도차로 검게 보이지 십일년을 주기로 태양흑점 늘었다 줄었다 동에서 서로 움직여서 태양의 자전 알려~ 태양.. 2013. 4. 20.
아폴로 11호는 달에 가지 않았다? - 달의 특징을 설명할때 사용 아폴로 11호는 달에 가지 않았다? 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주장하는 내용들을 학생들과 함께 살펴보면서 달의 특징에 대해서 조금더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아래는 TV에서 방영했던 내용입니다. 학생들과 함께 보아도 좋을 듯 아래는 네이버 지식인의 내용을 토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출처는 아래 네이버 지식인 입니다. http://k.daum.net/qna/view.html?category_id=QNO005&qid=3m3Co&q=%BE%C6%C6%FA%B7%CE%B4%C2+%B4%DE%BF%A1+%B0%A1%C1%F6&srchid=NKS3m3Co 1.사진에 별이 없다 하늘이 검게 보이는데 왜 별은 하나도 찍히지 않았는가?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낮에도 하늘이 검게 보이는 것이 맞습니다.. 2013. 4. 20.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 팝업 학습지 에라토스테네스가 측정했던 지구 측정방법을 학습지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학습지를 개인별로 (제가 보기엔 2명이 함께 하면 서로 종이를 잡아 줄 수 있어서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출력해서 굵은선을 칼로 잘라서 점선을 따라 수직이 되게 접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햇빛이나 후레쉬를 이용해서 지구 크기를 측정하게 하면 됩니다. 두툼한 종이위에 올려 놓고 하면 더 좋습니다. 팝업형태로 만들어 볼까 했는데 불편한 점이 있네요 그래서 가장 단순한 형태로 제작했습니다. O지점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조절한 다음 A와 B의 그림자를 표시하면서 진행하면 쉽습니다. 또 A와 B위치에 있는 막대를 이용해서도 지구 둘레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도 알려 주고 싶었습니다. ^^ 개인별로 해 볼 수 있고, 집에서도 해 볼 수 있다는 .. 2013. 4. 20.
망원경 현미경의 원리 자동작도 가상실험 프로그램2.0 2.0으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첫번째 렌즈의 종류도 바꿀 수 있게 했습니다. 렌즈 2개를 이용하여 갈릴레이 망원경 : 볼록렌즈와 오목렌즈 이용 케플러 망원경 : 볼록렌즈 2개 이용 그리고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볼록렌즈 2개를 이용해서 크게 볼 수 있는 현미경의 원리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볼록렌즈 2개로 물체를 확대해 보면 상하좌우가 바뀌어 보입니다. 아래 그림은 현미경의 원리를 작도한 그림입니다. 작도에 약간의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거의 99% 맞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미경을 만들든 망원경을 만들든 중요한 것은 접안렌즈로 볼 때 실물보다 큰 허상을 만들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래야 접안렌즈에 눈을 대고 볼 수 있습니다. 천체망원경의 작도를 보면 빛이 접안렌즈를 지나는 빛을 평행하게 그리는데 고민해 본.. 2013. 4. 20.
달에서 본 지구모습 달에서 본 지구 모습입니다. 지구를 관측하고 있는 곳은 달의 어느 부분일까요? 달에서 지구가 위 사진처럼 보일때 지구 북반구에서 보는 달은 무슨달일까요? 한번 고민해 보세요 2013.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