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지 않는 우유병 2004년도 아이디어 입니다.둘째 아기 우유를 먹이다 생각한 아이디어다. 우유 온도를 맞추기 위해서 고민하다가 생각한 아이디어인데 상태변화를 이용해 우유병을 감싸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우유병을 만들면 좋겠다. 2013. 6. 5.
콜라 오래 보관하는 방법 - 뒤집어 놓거나 찌그러 뜨리면 김이 안빠진다? 2004년에 생각해낸 아이디어 입니다. 우리가 먹다 남은 1.5L 짜리 페트병안에 들어있는 콜라나 사이다의김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뒤집어 놓으면 효과가 있다는이야기를 들은적이 있다.그렇다면 페트병을 만들때 아예 뒤집어 놓도록 만들면 어떨까아래쪽에 주둥이가 있게 만드는 것도 좋을듯.. 매스컴의 힘이 많은 사람들을 어리석게 만든다는 생각을 또 해봅니다.실제로 페트병을 뒤집어 놓는다고 해도 거의 소용이 없습니다.페트병을 뒤집어 놓는 이유가 이산화탄소가 뚜껑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인데똑바로 세워놔도 뚜껑만 꽉 닿으면 이산화탄소는 절대 빠져 나가지 않습니다. 상식적으로 그럴싸 해 보이지만, 뒤집어 놓는 거나 똑바로 놓는 거나 탄산이 새어나가지 않음. 최근에 이런 원리를 이용해 아예 탄산음료를 뒤.. 2013. 6. 5.
휴대폰 + 만보기 2004년도에 생각한 아이디어 입니다.요즘은 스마트폰에 만보기 어플이 나와 있네요.오늘 만보기를 구경하다가 생각난 아이디어다. 모든사람들은 휴대폰을 가지고 다닌다. 하지만 만보기 까지 차고 다니는 것은 귀찮다. 만약 핸프폰에 만보기 기능이 있다면... 만들기도 어렵지 않고 사람들이 많이 걸어다니게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2013. 6. 5.
버스 승객수 측정기 2003년에 민서 할아버지가 생각해낸 아이디어 입니다.관공버스 등 승객수를 터미널외에 휴게소 등에서 정차하였다가 출발하려면 다 승차하였는지 일일이 사람 수를 세고도 때로는 실수를 하는수가 가끔 있는데, 포토티알을 이용하여 버스에서 내릴때는 - 탈때는 +신호로 받도록하여 승강기 옆에 붙여 놓으면 좋을 것 같은데 2013. 6. 5.
가구 이동장치 2003년에 생각한 아이디어입니다.작은 바퀴를 2개 만들어서 가구를 옮길때 한쪽 방향으로 쉽게 장착시켜 가구를 한쪽 방향으로 기울이면 쉽게 끌고 다닐 수 있게 만든다. 몇가지 문제가 있지만 잘 만든다면 가구를 밀거나 끌지않고 쉽게 옮길 수 있을 것이다. 2013. 6. 5.
리모콘 찾는 TV 2003년에 생각한 아이디어 입니다.오늘도 TV를 보려는데 리모콘이 눈에 띄지 않았다. 딸아이가 아까 가지고 놀더니 오늘은 어디에 둔 것일까? TV에 리모콘 찾는 단추를 만들어 리모콘을 못찾을 경우 누르면 리모콘에서 소리를 내거나, 빛을 발하게 하면 쉽게 리모콘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TV뿐만 아니라, 오디오, 비디오등등 각종 가전제품의 리모콘을 같은 방법으로 찾을 수 있게 만들면 어떨가? 2013. 6. 5.
소화기 + 산소마스크 + 전등 2003년에 생각해낸 아이디어 입니다.이번 대구 지하철 참사에서 많은 사람들이 질식사로 사망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리고 연기 때문에 아무것도 볼 수가 없어서 더 피해가 컸던것으로 알 고 있다. 그래서 생각한건데 소화기에 산소마스크가 함께 달려 있다면 위급한 상황에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일단 호흡을 해서 마음을 안정시킨다면 그런후에 소화기로 불을 끄면서 탈출할 수 있지 않을까? 기왕이면 후레쉬와 같은 전등이 함께 달려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산소는 불을 잘 타게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2013. 6. 5.
화재시 자동으로 분사되거나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는 소화기 2003년에 생각한 아이디어입니다.1.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분사되는 소화기 2.분말이 굳지 않게 자동으로 뒤집어지는 소화기 3. 형상기억합금 + 소화기 2013. 6. 5.
촛농이 생기지 않는 초 2002년 아이디어 입니다.얼마전 케잌을 먹다가 생각한 아이디어다. 케잌에 초를 꼿고 불을 붙이면 촛농이 흘러 내리기 때문에 생일축하 노래도 부르지 못하고 빨리 초를 끄기위해서 행사가 엉망이 되는 것을 보았다. 촛농이 생기지 않는 초를 만든다면 좀더 화목한 생일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 적어도 초를 켜놓고 가족끼리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방법은 완전연소되는 초를 만들어 촛농이 생기지 않게 하면 될 것 이다. 또는 먹을 수 있는 초를 만든다면 촛농이 흘러도 걱정하지 않고 먹으면 될 것이다. 한가지 문제점은 심지 인데 심지도 먹을수 있는 것으로 만들거나 완전 연소되게 하면 될 것 같다. 2013.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