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서엄마의 모습 시댁에서 2013. 1. 7. 1999년 민서엄마 식장에서 1999년 민서엄마 2013. 1. 7. 갤럭시노트 10.1 학교 수업에 사용하기 갤럭시노트 10.1 학교 수업에 사용하기 스마트러닝을 위한 교사용 기기로 그동안 아이패드가 각광을 받아 왔다. 어느연수를 가든지 강사들은 아이패드를 가지고 시연하면서 스마트러닝에는 아이패드만큼 좋은 것이 없다고 설명해왔다. 하지만 갤럭시노트10.1의 등장으로 스마트러닝 기기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TV와 무선으로 더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화일이 호환이 되는 갤럭시노트10.1이 아이패드보다 교수용 스마트기기로 더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들 대부분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라면 오히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갤럭시노트10.1이 학생들과 소통하기에도 더 좋을 것이다. 1. TV 또는 빔프로젝터와 연결(여기에서는 TV로 설명)하여 화면 내보내기.. 2012. 9. 17. 학기말 수업 짜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음 홈페이지를 이전하다 보니 기존에 링크가 다 깨졌네요. 새로 바뀐 홈페이지로 링크 옮겨 놓았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 새로 개발된 자료도 추가해 놓았습니다. 아래 링크에 있는 최신 프로그램 모음 사용하세요 https://sciencelove.com/1936 수업시간이나 학기말 수업 자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음 지금까지 만든 프로그램 중 학기말 수업 자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모아보았습니다. 학기말 시간을 그냥 보내지 말고 활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 sciencelove.com 지금까지 만든 프로그램 중 학기말 수업 짜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모아보았습니다. 학기말 시간을 그냥 보내지 말고 활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 각 프로그램.. 2011. 1. 10. 굴절률을 이용하여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는 구슬 동영상 다운받기 굴절률이 물과 거의 같은 고흡수성수지( 초등학교 문방구에세 학생들에게 개구리알 이라는 명칭으로 팔리고 있음)를 이용하여 구슬이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구슬과 물의 굴절률이 거의 같기 때문에 물속에 담그면 꼭 사라지는 것처럼 느껴진답니다. 중간에 스카치 테이프를 붙여 물은 빠져 나오지만 개구리알은 빠져나오지 못하게 했습니다. 동영상에서 제올라이트라고 설명했는데 제올라이트가 아니라 고흡수성 수지가 맞다네요. ^^ 2009. 8. 26. 유희왕 카드를 이용한 전반사 실험 동영상 다운받기 학생들이 가지고 노는 유희왕카드를 살펴 보다가 전반사 실험을 하면 좋을 거 같아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유희왕 카드가 바로 실험도구로 변하니 신기해 하네요 유희왕카드에 실드(카드를 보호하기 위해 씌우는 비닐껍질)가 있어야 합니다. 실드에 유희왕 카드를 넣고 물속에 넣으면 전반사로 인해 실드 안쪽에 있는 카드가 사라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는 밖에 있던 빛이 실드 안쪽에 공기층까지 들어가지 못하고 실드 표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 우리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2009. 8. 26. 물을 부어야 바닥이 보이는 컵 동영상 다운받기 평상시에는 컵 바닥이 보이지 않지만 물을 부으면 컵 바닥아래 있는 글씨나 그림이 보이는 컵 만들기 방법은 간단하지요 평상시에는 컵 바닥에 있는 그림에서 반사된 빛이 눈으로 들어오지 않게 하고 물을 부어야만 들어오게 하면 되겠지요. 외국에 갔다온 선생님 친구가 말하길 '어느 술집에 갔었는데 물잔 바닥면에 그림이 분명이 없었는데 물을 잔에 따랐더니 바닥면에 예쁜 그림이 나타나는 잔을 보았다' 고 하더라. 이 말을 믿을 수 있을까?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는데 물을 따르면 바닥에 있는 그림이 보인다? 가능할까? 그럼 학생들 사이에 찬반 토론이 활발히 일어난다. 혹시 과학적으로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손을 들고 발표하게 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접근한다. 1. 물이 든 잔 바닥.. 2009. 8. 26. 선덕여왕 드라마에서 일식에 대한 오류 오늘도 재미있게 선덕여왕을 보았습니다. 선덕여왕을 열심히 보다 또 수업시간에 사용할 재료를 얻게 되었습니다. 선덕여왕 내용중 덕만이 미실을 속이기 위해 보낸 서찰에 돌아오는 보름날 일식이 일어난다 라고 했는데 일식은 그믐날만 일어나지요 보름날은 주로 월식이 일어난답니다. 몇가지 오류사항을 더 적어보면 또 한가지 일식이 일어나는 시간도 너무 짧게 처리됬고 부분일식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맨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지요. ^^ 드라마는 재미있게 보고 수업자료도 얻었네요. ^^ 2009. 8. 26. 도로면에 생기는 신기루 신기루는 사막에서나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다. 사막에서 길을 잃은 사람들이 먼곳에 물이 고여있는 오아시스를 발견하고 달려가 보면 고여있던 물이 사라져 버린다 라고 말하는 것을 들어본적이 있을 것이다. 이런 신기루는 지표면이 가열되어 빛이 굴절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사막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가열된 도로 위에서 이런 신기루를 볼 수 있다. 가능한 도로면 가까이에서 관찰하면(앉아서 관찰) 어느정도 신기루를 볼 수 있다. 왼쪽 사진은 앉아서 도로면에서 찍은 사진이다. 신기루가 생겨 물이 고인것처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른쪽 사진은 일어나서 찍은 사진이다. 신기루가 사라져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았으나 마음에 드는 동영상을 찾지 못해 직접 도로에 나가 신기루를 동영상으로 찍어.. 2009. 8. 17. 이전 1 ··· 252 253 254 255 256 257 258 ··· 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