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 드라마에서 일식에 대한 오류 오늘도 재미있게 선덕여왕을 보았습니다. 선덕여왕을 열심히 보다 또 수업시간에 사용할 재료를 얻게 되었습니다. 선덕여왕 내용중 덕만이 미실을 속이기 위해 보낸 서찰에 돌아오는 보름날 일식이 일어난다 라고 했는데 일식은 그믐날만 일어나지요 보름날은 주로 월식이 일어난답니다. 몇가지 오류사항을 더 적어보면 또 한가지 일식이 일어나는 시간도 너무 짧게 처리됬고 부분일식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맨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지요. ^^ 드라마는 재미있게 보고 수업자료도 얻었네요. ^^ 2009. 8. 26. 도로면에 생기는 신기루 신기루는 사막에서나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다. 사막에서 길을 잃은 사람들이 먼곳에 물이 고여있는 오아시스를 발견하고 달려가 보면 고여있던 물이 사라져 버린다 라고 말하는 것을 들어본적이 있을 것이다. 이런 신기루는 지표면이 가열되어 빛이 굴절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사막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가열된 도로 위에서 이런 신기루를 볼 수 있다. 가능한 도로면 가까이에서 관찰하면(앉아서 관찰) 어느정도 신기루를 볼 수 있다. 왼쪽 사진은 앉아서 도로면에서 찍은 사진이다. 신기루가 생겨 물이 고인것처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른쪽 사진은 일어나서 찍은 사진이다. 신기루가 사라져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았으나 마음에 드는 동영상을 찾지 못해 직접 도로에 나가 신기루를 동영상으로 찍어.. 2009. 8. 17. 드라마 선덕여왕 월식 장면의 과학적 오류 요즘 선덕여왕을 즐겨 보고 있다. '월식이 일어나면 달의 어느쪽 부터 가려질까요?' 라는 질문에 대부분 학생들과 선생님들이 바로 오른쪽이라고 답한다. 이유는 그저께 방송된 선덕여왕의 월식 장면에서 오른쪽 부터 가려지는 걸 봤다고 한다. 그런데 선덕여왕의 월식 장면에는 과학적 오류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보는 월식은 달의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 부터 가려지는 것이 맞다. 많은 시청자가 보는 프로그래미인데 조금 더 과학적으로 세심하게 배려를 해 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선덕여왕에서 본 월식의 과학적 오류를 보면 1. 달이 왼쪽부터 가려지게 고쳐야 한다. 2. 실제 월식이 일어나면 달도 상당히 많은 거리를 이동해 가야 한다. 달이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그렇게 빨리 월식이 일어날 수는 없다. 위에서 아래쪽.. 2009. 7. 16. 2009 경기도 과학교육원 - 과학수업아이디어 나누기 강의 - 빛관련 2009 과학수업아이디어 나누기 행사 가. 일시 : 2009. 4. 19(일) 09:00~18:00 나. 장소 : 경기도과학교육원 연수동 실험실 다. 참여대상 : 초, 중, 고 과학교사 (학생 및 일반인 참여 없음) 1) 참신한 과학수업 아이디어를 소개할 전국의 우수한 과학교사들로 구성된 강사진으로 수업 주제별 워크샵 운영(수업 시연) - 과학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간단한 수업아이디어나 수업 소도구 소개 (예 : 카드놀이로 해보는 소화과정 이해 활동) - 교과서 실험에 대안을 제시하는 간단하면서도 효과 만점의 실험방법 및 실험기구 소개 (예 : MP3 플레이어를 이용한 전자기 수업) 2) 강의실 별 2~3명의 강사가 워크샵을 진행하며 자신만의 과학수업 노하우 및 교과실험 아이디어를 소개하여 참여하는.. 2009. 6. 24. 인간의 힘을 10배로 강하게 하는 것이 현실화 되다. 바이오 슈닉 공상과학에 나오는 일이 가능해 지겠네요 2009. 4. 14. 낙시퍼즐2.0 프로그램 <창의력 개발> - 난이도 조절 낚시 퍼즐2.0 입니다. 낚시 퍼즐 만들기 프로그램이구요. 난이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1단계로 만들어서 하면 좋을 것 같네요 푸는 방법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안에 있습니다. 얼마전 창의력 교육에서 사용한다며 낚시 퍼즐을 받았는데 해보니 어렵기도 하고 재미있기도 하네요 그날밤 갑자기 발동이 걸려서 새벽2시까지 만들었습니다. 출력해서 사용하시면 되구요 문제지 답안지 다 출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맨 아래 '출제자 : 민서아빠' 라는 문구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구로 바꾸어 사용하셔도 됩니다. 문제는 마음에 들때까지 계속해서 다시 만들수도 있답니다. 시간이 되면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게 저학년 학생들도 사용할 수 있게 칸도 조절할 수 있게 수정해 보겠습니다. 2009. 3. 29. 투명인간 만들기1.0(웹캠이용) 투명인간 만들기 프로그램입니다. 웹캠이 필요합니다. 웹캠을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 시킨다. 위 그림처럼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1번 위치에 캠카메라에 찍힌 영상이 나타난다. 2번 위치에 있는 배경찍기 버튼을 이용해서 배경을 찍고(이때는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찍어야 한다.) 4번위치에 있는 색띠를 누르면 그 색보다 더 밝은 색 또는 어두운 색이 투명해 진다. 3번 위치에 있는 색바꾸기를 누르면 밝은색 어두운색을 바꿀 수 있다. 하얀색을 투명하게 하는 경우 아래 동영상처럼 하얀색 종이를 들고 움직이거나 하얀옷을 입고 있으면 하얀색 부분만 투명해 진다. 어두운색 옷을 입고 투명해 지는 색을 적당히 조절하면 머리와 옷만 남고 얼굴만 사라지게 할 수도 있고 반대로 하얀색 옷을 입으면 머리만 남고 몸통을 사라지게 할.. 2009. 2. 8. 스타골든벨(현명한 선택)게임 스타골든벨 게임 중 마지막에 나오는 현명한 선택 게임을 흉내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20개의 단어가 주어지고 그 중에 문제에 맞는 단어를 골라내는 게임입니다. 최고 20문제까지 출제할 수 있고, 정답과 오답을 구분해서 문제마다 적어 주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압축을 풀고 data.txt 내용을 열어 보시면 감이 잡히실 겁니다. 수업에 활용해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2009. 1. 14. 퀴즈부저 3.0 - 늦게 누른 학생 시간 표시 첫번째 누른 학생은 불이 깜빡 거리고 두번째부터 늦게 누른 학생은 첫번째 학생보다 몇초 늦게 눌렀는지 나타남 - 순위를 정할 수 있음 - 빨리 누른 순서대로 -첫번째 학생보다 얼마나 늦게 눌렀는지 알 수 있음. 먼저 누른 학생만 불이 들어옵니다. 학생들에게 퀴즈를 내거나 무언가를 시킬때 누가 먼저 버튼을 눌렀는자 알아내기 위해서 제작 1. 두 학생이 양편에 나와서 한명은 키보드의 1번키에 또한명은 키보드의 0번키에 손가락을 올려 놓게 한다. (최고 동시에 8명까지 가능) 2. 시작 버튼을 누르고 교사가 문제를 내면 먼저 답을 아는 학생이 버튼을 누르면 된다. 먼저 누른 학생의 버튼에만 불이 들어오므로 누가 먼저 눌렀는지를 알 수 있다. (반드시 시작버튼이나 테스트 버튼을 눌러야만 작동됩니다.) 1. 우측.. 2009. 1. 10. 이전 1 ··· 257 258 259 260 261 262 263 ··· 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