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D프린터 사용하다가 생각한 자석베드 쉽게 탈착하는 방법 3D프린터 사용하다가 생각한 자석베드 쉽게 탈착하는 방법 한가지 문제에 집중하면 다른 문제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3D프린터 자석베드의 경우에도 잘 떼어내는 방법에 몰두해 있었다. 드라이버를 사용할까? 송곳을 사용할까? 처음에는 자석베드를 탈착할때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모서리 부분을 들어 올렸는데 잘 떨어지지도 않고 모서리 부분이 조금씩 파손되는 것 같았다. 뒤로 한발 물러서서 문제를 바라보면 다른 해결책이 떠 오른다. 자석베드를 어떤 도구로 탈착시키면 편리할까 보다 근본적인 원인부터 다시 살펴보게 된다. 잘 안떨어지는 이유는 손으로 잡을 곳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드라이버를 한쪽 구석에 억지로 집어 넣어 자석베드를 떼어내고 있는 것이다. 그럼 해결 되었다. 손잡이를 만들면 된다. 그래서 주변에 있.. 2019. 2. 8.
smart 3D mini 3D 프린터 사용기 1월 교육박람회에 갔다가 smart 3D mini 3D 프린터를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게 되었다. 2014년에 조립식 3D프린터를 구매해서 사용한 적이 있었는데 크기도 크고 무겁고 불편해서 언제부터인가 사용을 하지 않게 되었다. 그런데 이번에 교육박람회에서 보게된 3D프린터는 완제품인데다가 크기도 작았다. 거기에다 소음도 적어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구매를 망설이고 있는데 박람회 현장에서 구매하면 30만원도 안되는 가격에 판매한다고 해서 충동구매를 하게 되었다. 제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링크 참고 https://smartstore.naver.com/smart3d/products/3832546077 (가끔 3d 프린터를 추천해 달라는 분들이 있는데 기술의 변화가 너무 빨라서 따라갈 수 없다. 인터넷을 잘 .. 2019. 1. 31.
달의 위상변화 가상실험 - 스마트폰에서도 실행 달의 위상변화를 가르치다 보면 태양의 위치가 달라졌을때 학생들이 어려워 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아래 링크를 눌러 들어가면 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도 가능하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moonphase/moonphase.html 기존에 만들었던 달 위상변화 관찰프로그램과 차이점은 달과 태양을 마음대로 이동시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지구도 자전시켜 볼 수 있고, 태양과 달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도 있다. 지구에서 본 달의 모습에 오해가 있을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상현달은 아래 그림처럼 항상 오른쪽 절반이 보인다고 착각한다. 절반이 보이는 건 맞.. 2019. 1. 31.
구글 family link 이용하여 스마트교실 만들기 - 학생 태블릿 제어 개인마다 1인 1태블릿이 제공된다면 좋겠지만, 학교현장에서는 관리문제와 설정문제 등으로 어려움이 많다. 최근에 구글 클래스룸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학교계정을 통한 인증과 설정 등을 거치다 보면 평범한 선생님들은 엄두조차 나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태블릿마다 구글계정을 설정해야 하는데 이것도 생각보다 쉽지 않다. 그래서 모둠별로 태블릿을 1개씩 제공하고 간단하게 수업을 하는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고 구글 family link라는 앱을 이용하여 간단한 설정을 통해 학교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본다. 일단 동영상을 보자 1. 구글 family link 앱 소개 family link 앱은 부모가 13세 미만 자녀의 계정을 만들 수 있고, 만들어진 자녀 계정으로 로그인 한 스마트폰이나.. 2019. 1. 28.
교무실 앞을 학생들 참여가 가능한 학습 공간으로 만들기(미니과학관) 교무실 앞(과학실 앞도 좋지만 학생들 접근이 좋은 교무실 앞이나 로비 사용 권장)을 학생들 참여가 가능한 학습공간이나 미니과학관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교사의 노력을 최소로 하고 효과는 최대로 하면서 수업시간에 충분히 관찰시키거나 조작해 보지 못하게 했던 미안함도 없앨 수 있다. 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미니과학관으로 시작했지만, 다른 교과 선생님들도 관심을 보이고 따라해 보고 싶어 했다. 심지어는 내가 선점한 책상에 살짝 자신들의 교구도 올려 놓고 싶어 했다는... 작년에 했던 활동중에 주변 선생님들께 알려도 좋을 것 같아서 공개한다. 아래 내용은 경기도 교육청에서 발간하는 '2018 science 5050(겨울호)에 실었던 내용이다. 올해 조금 더 발전시켜 나갈예정이고, .. 2019. 1. 25.
기체의 확산과 증발 가상실험 앱 - 스마트폰용 기체의 확산과 증발과 관련된 가상실험 앱을 2가지 만들었다. 본문 맨 아래 안내한 링크로 이동해 가면 설치 없이 웹상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추가해 놓았습니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설치해서 옵션을 바꾸어 가며 가지고 놀다보면 자연스럽게 기체의 분자운에 의한 확산과 증발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학생들에게 어떻게 제시하는 지는 맨 아래 링크 참고 앱은 플레이 스토어에서 확산 가상실험으로 검색하면 찾을 수 있다. 교과서에 나오는 암모니아수 확산과 증발 가상실험은 아래 링크에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diffusionammonia 교실에서 향수가 퍼져 나가는 확산은 아래 링크에서 https://play.go.. 2019. 1. 25.
렌즈 작도와 거울 작도 가상실험 앱 - 스마트폰용 물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나 거울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작도하면서 확인하는 앱이다. 렌즈작도 프로그램 https://sciencelove.com/1152 거울작도 프로그램 https://sciencelove.com/1165 초,중,고에서 다 사용할 수 있게 렌즈나 거울을 통해 보이는 모습을 한쪽 옆에 나타나게 했다. 렌즈작도에서는 카메라나 망막에 상이 맺히는 원리도 알아 볼 수 있다. 최대로 축소하고 물체를 최대한 멀리 놓으면 상이 초점부근에서 맺힌다는 것도 보여 줄 수 있다. (돋보기로 태양빛을 이용하여 물체를 태우는 원리) 물체를 움직일 수 있고, 물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초점거리도 조절할 수 있다. 앱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거나 플레이 스토어에서 '렌즈작도 가상실험' '거울작도 가상실험'으로 .. 2019. 1. 24.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 가상실험 앱 - 스마트폰용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을 스마트폰에서 할 수 있도록 앱으로 만들었다. 앱은 학생들이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처음에는 입자모형이 나타나지 않는다. 나타나는 결과만 보고 실제 실험처럼 데이타를 적어가며 직접 그래프를 그려보게 할 수도 있다. 입자보이기를 누르면 입자 모형을 확인할 수 있고, 사람 모형을 누르면 입자가 사람으로 바뀌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처음에 입자는 위 아래로만 움직인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온도가 일정하다면 충돌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내부 압력이 커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앱은 플레이스토어에서 설치할 수 있다. 보일의 법칙 가상실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boyleslaw.. 2019. 1. 23.
부력 가상실험 앱 - 스마트폰용 물에 떠 있는 물체의 부력에 대해 탐구해 볼 수 있는 교육용 가상실험 어플 플레이스토어에서 부력 실험 으로 검색하거나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Buoyancy 자세한 설명 및 컴퓨터용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274 2019.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