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41 라이브 워크 시트(liveworksheets) 사용하여 상호작용 학습지 만들기 교과서나 교사가 직접 만든 학습지를 출력해 주지 않고,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서 바로 참여하게 하고 싶을 때가 있다. 또 가끔은 학생들이 답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채점해서 점수를 확인하고 틀린 문제를 피드백 해 주고 싶을 때도 있다. 라이브워크시트를 사용하면 이 모든 것이 가능하다. https://sciencelove.com/2548 띵커벨 워크시트 이용하여 온라인 학습지 5분만에 만들기 작년에 온라인 수업기간에 라이브워크시트 또는 티쳐메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학습지를 만들어 사용했다. 그런데 외산 프로그램이라 영어로 되어 있고, 한글과 호환도 안되고, 불편한 점이 많 sciencelove.com 일단 학생입장에서 아래 링크로 접속해서 참여해 보자. (문제를 다 풀고 제출을 한 다음 위로 올려보면 .. 2020. 9. 21.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6-1 - 구글미트 채팅 이용 자동 학습 확인(출석 포함) 1.3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버그 수정 채팅글이 100개가 넘어가면 학습내용 확인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던 문제 해결 1.1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버그 수정 채팅창에 빈줄 때문에 학생활동 입력이 미참여로 나타나는 오류 수정 구글미트에서도 별다른 준비 없이 가장 쉽게 학생들을 수업에 참여 시키는 방법으로 채팅을 사용하면 좋다. 채팅창에 정답을 입력하게 하거나, 학습내용을 정리하게 한 후, 특정내용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올리게 하면 된다. 그런데 반 전체가 채팅창에 글을 올리면 누가 올렸는지 안 올렸는지 확인하기가 어렵고 개인별로 피드백 해 주기도 쉽지 않다. 그래서 채팅창에 글을 올리면, 바로 제출여부와 작성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글스프레드 시트로 만들어서 zoom 에서 활용하고 있다. 활.. 2020. 9. 18.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7 - zoom 파워포인트 가상배경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zoom 화면공유에 파워포인트를 가상배경으로 화면공유하는 기능이 있다. (만약 고급기능이 나타나지 않으면 맨 아래 zoom 을 최신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참고) 이 기능을 잘 활용하면 수업시간에 재미있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일단 영상을 보자. 1. 쌍방향 수업중에 화면공유를 선택하고 화면 공유 창에서 고급탭을 누르면 파워포인트를 가상배경으로 설정 아이콘을 볼 수 있다. 2. 이걸 누르면 파일 열기창이 열리고 원하는 파워포인트를 불러 오면 된다. 3. 그러면 배경화면에 파워포인트가 나타나고 수업을 하는 교사는 작게 한쪽 구석에 나타나게 된다. 자신의 영상 모습은 위치와 크기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4. 자신의 영상 모습을 적당한 위치로 옮기고, 크기를 조절해서 수업장면에 녹아 들어가게 할.. 2020. 9. 14. ABO 혈액형 유전 가상실험 ABO 혈액형 유전을 실험해 보자. 아래 링크를 누르면 직접 실험해 볼 수 있다. sciencej1.cafe24.com/html5/memdelsegregation/memdelsegregationblood.html 학생들에게 안내해 주실때는 아래 링크를 안내 해 주세요 필요하면 온라인 수업에 얼마든지 사용해도 됩니다. https://sciencelovestudy.tistory.com/27 A 와 B 는 O에 대해서 우성이기 때문에 AA, AO는 A형이 되고 BB, BO 는 B 형이 된다. 당연히 OO 는 O 형이 된다. 그런데 A와 B는 우열관계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AB 는 AB형이 된다. 직접 부모의 혈액형을 바꿔가며 실험해 보면 된다. 멘델의 분리의 법칙과 독립의 법칙은 아래 링크 참고 멘델의 분리.. 2020. 9. 13.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6 - zoom 채팅 이용 자동 학습 확인1.4(20210427-채팅저장용-출석 포함) 채팅창을 파일로 저장하지 않고 바로 복사해서 사용하는 1.41 버전은 아래 링크 참고. 개인적으로 수업시간에 활용할 거면 아래 링크로 이동해서 채팅내용을 복사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1.41버전을 사용하기 바란다. 여기에 있는 채팅저장용은 수업이 끝난 후 자동으로 저장된 채팅파일을 다시 살펴볼 일이 있을때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https://sciencelove.com/2523 zoom 최신버전(2021년 04월 19일업데이트) 에서 채팅형식이 바뀌어서 기존 구글스프레드 시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그래서 급하게 최신버전에 맞춰서 새로 만들었다. zoom을 업데이트 하지않은 사람은 기존 것을 사용하면 되고,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한 사람은 바로 아래 링크에 있는 구글스프레드 시트를 다시 .. 2020. 9. 10.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5-1 - 구글 미트 채팅 이용 자동 출석체크 프로그램 zoom 채팅이용 자동 출석체크를 만들었는데 구글 미트(행아웃)에서도 가능한지 문의가 많아서 행아웃 채팅을 이용해서 자동체크 할 수 있게 만들었다. 구글 미트에서는 크롬에 출석체크 확장자 프로그램도 있다고 한다. 그걸 사용해도 된다. 그냥 채팅내용 이용해서 활용할 사람은 아래 링크 사본 바로 복사해 가기를 눌러 사본만들기 해서 사용하면 된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vZ-TQ6pEtu2LeVjZZTjm62d4spEpn_wI6Rejh-bbuT8/copy 사본 바로 복사해 가기 자세한 사용법은 아래 링크에 있는 zoom 채팅 이용 자도출석 체크 프로그램 과 똑같다. 그냥 채팅내용 복사해서 채팅시트에 붙여넣기만 하면 된다. zoom 채팅이용 자동 출석체크는 아래.. 2020. 9. 6.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5 - zoom 채팅 이용 자동 출석체크 프로그램 아래 링크에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출석과 학습내용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https://sciencelove.com/2497 쌍방향 수업할 때 zoom 에서 자동으로 출결체크 하는 것이 시간이 많이 걸린다.. 그래서 zoom 채팅창에 학생들이 들어올 때와 나갈 때 남긴 채팅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면 자동으로 출석체크하는 구글스프레드 시트를 만들어 보았다. 출석여부, 처음댓글남긴시간, 마지막으로 댓글 남긴 시간, 그리고 그 시간 사이 간격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링크에 있는 시트에 접속해서 살펴보시고 파일메뉴에 -사본 만들기 해서 가져다 사용하면 된다. 아니면 사본 바로 복사해가기를 누르면 바로 사본이 본인 구글드라이브에 만들어 진다. 더이상 출석부만 있는 버전은 업데이트 하지 않습니다. 아래.. 2020. 9. 5.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4 - 교과학습방 이용 -수업안내 및 출석,활동 체크 쌍방향 수업에서 구글스프레드 시트를 이용하여 학생들과 소통하는 방법이다. 미리 반마다 공유용 구글스프레드시트(과학 학습방) 를 만들어 놓는다. 그리고 주소를 보기 전용으로 공유 한 다음, 학생들에게 공개하고 이 주소를 즐겨찾기 해 놓도록 안내한다. 1학기 내내 같은 주소를 사용할 예정이다. 학생들은 아무때나 즐겨찾기 한 링크 주소에 접속해서 자신의 과제제출 현황이나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 선생님도 언제든지 들어가서 전달사항이나, 과제제출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 존재하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컴퓨터 고장으로 자료가 손실 될 걱정이 없어서 좋다. 아래 샘플 주소 참고 (사본 복사해서 수정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docs.google.com/spreadsheets/d/1uQvhxsffjtW2wEm.. 2020. 9. 3. 날계란도 어지러울까? (반고리관 설명) 날계란도 어지러울까? 귀 안에 반고리관은 평형감각 중 회전을 감지하는 기관이다. 그런데 그 안에는 림프액이 가득차 있어서 제자리에서 돌다가 멈춰도 어지러워서 빙빙 돌다가 쓰러지게 된다. 이유는 사람은 멈췄지만 림프액은 반고리관에서 아직 회전하고 있기때문에 자신이 아직도 회전하는 걸로 착각하기 때문이다. 멈춰도 반고리관 안 림프액(액체)이 회전한다는 걸 설명하기 위해 날 계란을 이용해 보았다. 삶은 계란은 돌리다가 멈추면 바로 정지하지만 날계란은 안이 액체이기 때문에 계란을 멈춰도 안에 액체는 계속 돌고 있다. 그래서 손을 떼면 멈췄던 계란이 따라 도는 것이다. 우리 귀의 반고리관과 비교해 보면 쉽게 설명이 가능하다. 날계란도 어지러울까? https://youtu.be/OW6TZSKBB5E 2020. 9. 1.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3 - 모둠 구성 및 수업 참여도 높이기 1. 쌍방향 수업을 하다 보면 학생 참여율이 점점 떨어진다. 해보면 알겠지만, 이유는 간단하다. 인터넷을 통한 쌍방향 수업의 경우 약간의 시간차가 생긴다. 선생님이 말하고 학생이 듣기 까지 0.2-0.5초 정도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학생이 소리를 듣고 반응한 것이 선생님 화면에 나타나기 까지 또 0.2-0.5초 정도 시간이 걸린다. 이 약간의 시간차이 때문에 처음 수업할 때 당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두 손을 들어 보세요' 라고 말하면 아무도 들지 않는다. 선생님이 당황해 하면서 수습하려고 할 때, 여기 저기서 손을 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별 거 아닌 것 같지만, 실제 수업을 해보면 수업의 흐름이 끊기고, 이에 따른 피로도가 대면 수업에 비해 상당히 크다. 선생님 입장에서 궁금한 것 질문하라고 .. 2020. 8. 30.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2 - 쌍방향 수업을 왜 하지? 쌍방향 수업을 할 때 먼저 생각해 봐야 할 사항들을 정리해 봅니다. 정답은 아닙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 그냥 한번 읽고 참고만 하세요. 1. 교실 수업을 그대로 옮겨 놓은 쌍방향 수업은 최악(?)의 수업이다. 선생님들은 쌍방향 수업에서 기존의 강의식 교실수업을 그대로 옮겨 놓고 쌍방향 수업을 하고 있다는 착각(?)에 빠진다. 개인적으로 교실수업을 그대로 옮겨 놓은 쌍방향 수업은 최악의 수업이라고 생각한다. 학생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컴퓨터(컴퓨터가 없는 학생은 스마트폰)로 하루에 7교시를 선생님과 교실수업처럼 쌍방향으로 수업한다고 가정해 보자. 여러분 같으면 얼마나 집중이 되겠는가? 원격연수 들어보신 분은 알 것이다. 이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특히 상호작용 없는 선생님의 일방적.. 2020. 8. 29.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1 - 학습 영상 틀린 부분이 있을 때 해결하기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에 대한 활용 팁 및 수업 방법을 당분간 시리즈로 올릴 예정입니다.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팁 들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팁 : 온라인 학습 영상 다 만들어 놓고 틀린 부분이 발견 되었을 때 쌍방향 수업을 할때 미리 만든 학습 영상을 10 여분간 먼저 보여 줍니다. 그리고 나서 학생들과 소통을 시작합니다. 그런데 학습영상을 만들고 올리기 직전에 가장 당황스러운 문제는 영상에 틀린 부분이 발견될 때 입니다. Q : 영상을 찍고나서 올리기 직전에 다시 살펴보다 보니 틀린 부분이 발견 됩니다.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답은 다시 틀린 부분만 촬영해서 그 부분 지우고 새로찍은 영상을 삽입해서 영상을 다시 만들어야 겠지요. 그런데 이게 말이 쉽지 간단한 작업이 아닙니다.. 2020. 8. 29. 2학기 온라인(쌍방향 수업 포함) 운영계획 우리학교 2학기 온라인 수업에 대한 운영 계획 및 논의 사항입니다. 정답은 아닙니다. 단순 참고 자료로 활용하세요 논점을 쌍방향 수업에 맞춰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물론 반드시 쌍방향을 100%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과제제시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1학기에 준해서 하면 됩니다. 단 2학기에는 쌍방향 수업이 많이 시도될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이제 시간표대로 움직여야 하고, 1학기 처럼 과제 제시형을 하더라도 가능하면 쌍방향으로 접속해서 출결 확인하고 안내하고 질문받고, 과제 제시형을 하게 하는 형태로 가야할 듯 합니다. EBS 온라인 클래스가 바뀌어서 아래 1,2,3 내용은 2021년 부터는 맞지 않습니다. 4번 내용부터 확인하세요 1. EBS온라인 클래스 2학기 강좌는 어떻게 운영 하나요? 9월 1일 .. 2020. 8. 28. 반응속도 테스트 - 시각,청각 자극과 반응에서 사용하려고 만든 반응속도 테스트 프로그램이다.웹이나 스마트폰에서 할 수 있게 만들었다. 아래 링크를 눌러 실행하면 된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reflextest/reflextest.html 사람의 반응속도는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반응을 뇌에서 판단을 하고 운동기관에 명령을 내려 운동해야 하기 때문에 반응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사람마다 반응시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축구 골키퍼 처럼 훈련을 통해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고 한다. 자신의 반응시간을 측정해 보자. 감각기관 중에 청각과 시각 중 어떤 자극에 대한 반응이 더 빠른지도 측정해 보자.첫번째 도전은 시각의 반응속도 실험이다. 화면에 원 색깔이 바뀔때 원을 누르면 된다.두번째 도.. 2020. 8. 24. 단체 OX 서바이벌 퀴즈 -쌍방향 수업에서 활용 패들렛으로 제작 ox 배경화면 사진도 첨부합니다. 운동장에서 하던 단체 OX퀴즈를 패들렛을 이용해서 쌍방향 수업에서 할 수 있게 만들어 보았다. 구글프리젠테이션이나 잼보드를 이용하는 방법도 생각해 봤는데, 스마트폰에서는 이동이 쉽지 않다. 도형을 넣어 놓으면 이동이 되지 않고 자꾸 크기 조절이 된다. 그리고 다른 친구 이름표도 이동시킬 수 있어서 논란의 소지가 있다. 그래서 패들렛을 이용해서 단체 OX 서바이벌 퀴즈를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패들렛에서 자신의 이름표(학번+이름)를 직접 만들게 하면 자신이 만든 이름표만 이동시킬 수 있고, 다른 친구들 것은 이동시킬 수 없다. 그래서 공정성이 유지된다. 또 스마트폰에서도 쉽게 자신의 이름표를 이동시킬 수 있다. 1. 패들렛 서식은 캔버스로 만든다. 대부분 기본 서식.. 2020. 8. 21. 숫자 순서 맞추기 게임 - 태블릿PC 로 함께 할 수 있는 게임 보드게임 중에 스트림스(streams)라는 오름차순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을 모방해서 숫자 순서 맞추기 게임을 만들어 보았다. 사용법은 스트림스 게임과 비슷하다. 학습지에 20칸을 출력해 주고, 교사가 앞에서 번호를 부르면서 진행하거나 판매되는 수학보드게임을 구입해서 직접 수업시간에 모둠별로 참여하면 좋다. 그런데 코로나 때문에 온라인 학습이 장기화 되면서 대면해서 보드게임을 진행하기가 어려워 졌다. 고민하다 인터넷 상에서 쌍방향 수업할 때 함께 참여할 수 있게 웹용으로 만들어 보았다. 아래 링크 주소를 공유해 주고 접속해서 실행하게 하면 된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stream/streamsgamenum.html 상황에 따라서 숫자선택을 눌러가며 혼자도 할 수 있고.. 2020. 8. 21. 세상에 공짜는 없다. - 플래시 책모음(그동안 사 모은 책) 세상에 노력없이 얻어지는 공짜는 없다. 누군가 나에게 프로그램을 어떻게 잘 하냐고 어떻게 배웠냐고 묻는다. 난 그냥 대답한다. 독학 했다고 그런데 몇일 전 책장을 정리하다 보니 플래시 관련해서 수십년간 사 놓은 책이 생각보다 많다. 이걸 다 봤다는 건 아니다. 그만큼 관심이 있었다는 거다. 가르치지 않아도 배우지 않아도 관심만 있으면 왠만한 건 다 하게 된다. 어린왕자를 쓴 생텍쥐페리가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좋은 배를 만들고 싶으면 목재나 일감을 나눠 주지 말고, 저 넓고 끝없는 바다에 대한 동경심을 갖게 하라' 이제는 책보다는 인터넷을 통해 지식을 얻는 시대가 되었다. 책장 정리를 하다 보니 감회가 새롭다. 수십년간 나와 함께 했던 책들이다. 내 젊음과 함께 한 책이다. 한편으로는 너무 기술적인 .. 2020. 8. 7. 자유낙하 운동 섬광사진(?) 모형 만들기 자유 낙하 운동 수업에서 자유낙하 하는 물체의 섬광사진을 주고 분석하는 탐구활동을 주로 한다. 주어진 사진을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조금 욕심을 내서 탁구공을 직접 자유낙하 시켜보고, 그것을 촬영해서 섬광사진을 만들어 보는 실험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직접 촬영하고 싶을 때는 스마트폰에서 슬로우 모션으로 촬영하고, 모션샷과 같은 앱을 이용하면 어느정도 근사한 자유낙하 운동 섬광시진 촬영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사양이나 여러가지 이유로 실제 사진을 원하는 형태로 깔끔하게 촬영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자유낙하 운동을 분석하기 쉽도록 자유낙하 운동 섬광사진 모형을 만들어 보았다. 탁구공과 실을 이용해서 실제 시간당 이동거리 만큼 계산해서 탁구공과 탁구공 사이를 실로 연결해서 섬.. 2020. 7. 30. 빙고 학습 게임 - 웹이나 스마트폰에서 작동 쌍방향 수업에서도 활용 빙고게임 통합버전2.0이 개발되었습니다. 이곳에 있는 것 보다. 아래 링크에 있는 더 간단해진 통합버전을 사용하세요 통합버전2.0은 문제를 포함해서 학생들에게 링크를 보내서 바로 참여하게 할 수 있습니다. https://sciencelove.com/2611 빙고 게임 만들기 (통합버전) 2.0 - 온라인 과제 만들기 학생들과 온라인에서 빙고게임을 간단하게 만들어 참여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아래 링크에서 원하는 빙고를 만들 수 있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bingogame/BingoGamemaker.html 기존에 비해.. sciencelove.com 맨 아래 줄에 긴글용 빙고게임 추가해 놓았습니다. 영어문장이나 긴 문장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만 사용하세요 글.. 2020. 7. 18. 공중부양 종이컵(Tensegrity) 만들기 장력을 이용해서 안정된 구조믈을 만들어 내는 Tensegrity 라는 구조물이 있다. 장력과 인장력을 이용해 만들어진 미적으로 아름다운 구조물들을 보다가, 학생들과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주변에 있는 물건들을 이용해서 도전해 보았다. 이것 저것 활용해 봤지만 생각처럼 쉽지 않다. 어느정도 변형되는 걸 버텨야 하고 실의 장력도 버텨야 한다. 그러다가 가장 구하기 쉬운 종이컵을 활용해 보기로 했다. 몇번의 도전 끝에 종이컴과 실 만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학생들에게 과제를 내기 위해서 학생용으로도 만들어 놓았다. 아래 링크에 가면 학생과제용 텐세그리티 만드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https://sciencelovestudy.tistory.com/20 나만의 공중부양 종이컵 (Tenseg.. 2020. 7. 11.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