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41 중화반응 온라인 가상실험 - 웹에서 바로 실행 온라인에서 실행 가능한 산과 염기 중화 반응 가상실험이다. 아래 링크로 접속해서 프로그램 설치없이 바로 실험해 볼 수 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neutralization/neutralization_reaction.html 학생 설명용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study.tistory.com/44 예전에 만든 컴퓨터 다운로드용 중화반응 가상실험 프로그램과 거의 똑같다.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게, 설치 없이 웹 주소로 접속해서 가상실험을 할 수 있게 만들었다. 수업시간에 가상실험을 가지고 놀면서 관찰한 것을 10가지 이상 적게 하면,. 그 결과만 가지고도 중화반응 수업을 쉽게 진행할 수 있다. 어떻게 중화반응이 일어나는지 중화가 되었.. 2021. 1. 26. 사각형 웹용 직소 퍼즐 – 문제수추가 및 쌍방향 수업에 바로 실행 이곳에 있는 것보다 아래 링크에 있는 삼각형 사각형 웹용 직소퍼즐 만들기2.0(통합버전) 을 사용하세요. 훨씬 간단하게 문제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https://sciencelove.com/2612 ------ 이전에 만든 삼각형 웹용 직소퍼즐과 사용법은 똑같다. 다만 삼각형 대신 사각형으로 퍼즐을 풀게 만들었다. 사각형으로 만들면 좋은 점은 문제수를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젠 상황에 맞게 문제수에 따라서 다양한 웹용 직소 퍼즐이 가능하다. 사용방법은 아래 링크에 올려 놓은 이전 삼각형 웹용 직소퍼즐을 똑같다. 처음 오는 사람은 반드시 아래 링크에 있는 삼각형 웹용 직소퍼즐 만들기 설명을 먼저 보고 오기 바란다. https://sciencelove.com/2520 사각형 웹용 직소.. 2021. 1. 24. 삼각형 웹용 직소 퍼즐 – 쌍방향 수업에 바로 실행 이곳에 있는 것보다 아래 링크에 있는 삼각형 사각형 웹용 직소퍼즐 만들기2.0(통합버전) 을 사용하세요. 훨씬 간단하게 문제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https://sciencelove.com/2612 ------ 삼각형 웹용 직소퍼즐이다.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이 각자 직접 풀게 하기 위해 만들었다. 일단 어떤 건지 알고 싶으면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바로 시작하기 누르고 퍼즐에 참여해 보면 된다. 아래 그림처럼 문제번호와 답번호가 일치하게 맞추기만 하면 된다. 정답 확인을 누르면 자동으로 정답처리 된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samjikso/samstudent.html 실제 수업에서는 선생님이 미리 만들어 둔 11문제를 암호화 시켜서 삼각형 웹퍼즐 .. 2021. 1. 19. 온라인 회전 추첨판 - 언제든지 웹상에서 바로 활용 웹 미리보기로 만든 화면에는 입력창이 나타나지 않도록 수정했다. 아래 2.1 버전을 사용하면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넣어 놓고 웹미리보기로 만들어서 링크주소를 따로 만들어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반별 명단을 미리 넣어서 웹미리보기로 링크주소를 미리 만들어 보관할 수 있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wheel/wheel2.html 메뉴 화면을 일부 수정했습니다. 긴장감 효과를 선택하면 마지막에 설듯 말듯 하면서 어느정도 더 돌아가도록 수정했습니다. 저사양 컴퓨터에서 멈추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고 해서 조금 더 빨리 멈출 수 있도록 수정했습니다. 언제든지 웹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항목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회전 추첨판 프로그램 설치할 필요 없이 아래 링크에.. 2021. 1. 14. 테셀레이션(tessellation) 만들기 프로그램 테셀레이션(tessellation) 만들기는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바로 만들어 볼 수 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tessellation/tessellation.html 바닥에 일정한 모양의 도형으로 타일을 깔려면 어떤 모양의 도형을 사용해야 할까? 사각형 타일을 이용하면 바닥에 쉽게 타일을 깔 수 있다. 그런데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도형으로도 바닥에 빈 공간이 없이 타일을 깔 수 있을까? 테셀레이션이란 바닥에 타일 까는 문제로도 많이 제시되는 문제이다. 다각형의 각 변을 규칙에 따라 변형 시켜서 잘 이어 붙이면 빈 공간이 없이 바닥에 타일을 깔 수 있다. 중요한건 같은 모양의 도형만 사용해서 바닥에 타일을 깔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여러모양의 타일을 만들 필요 없.. 2021. 1. 9. 주사위 놀이 학습 게임(보드 게임) - 쌍방향 수업 활용 태블릿에서 작동하는 주사위놀이 게임은 아래 링크에 가서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https://sciencelove.com/2732 주사위 놀이 학습 게임(브루마블 게임) 만들기(온라인, 태블릿용)주사위 놀이 학습게임 일단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학생 입장에서 참여해 보자. 넌센스 퀴즈로 만든 주사위 놀이 학습게임이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보내주고 사용해도 된다) https://sciencej1.casciencelove.com 주사위 놀이 2.0 업그레이드(임시)업그레이드 한 내용data.txt 에는 문제를 내고 data1.txt에는 황금열쇠나 특별한 옵션을 적어 넣으면 된다.시작하면 문제버튼과 물음표 버튼이 나온다. 문제 버튼에는 문제가 물음표 버튼에는 옵션 내용이 나온다.주사위는 2개까지 나오게 할 수.. 2020. 12. 23. 방탈출게임에 사용하는 폭탄해체 프로그램 - 웹에서 사용 방탈출 게임을 조금 더 재미있게 하기 위해서 폭탄해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아래 링크 주소에 가서 확인하면 된다. 아래 링크 주소를 안내해 주고 접속해서 해결하게 하면 된다. http://sciencej1.cafe24.com/html5/bomb/bomb.html 예전에 금고비밀번호 알아내는 프로그램과 유사하다. 방탈출 게임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마지막 방에서 3-5문제 정도를 풀게 하고, 그 정답을 순서대로 조합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했었는데 비밀번호가 틀리면 이것 저것 계속 조합해서 입력하다가 결국 탈출을 하게 된다. 그래서 조합하지 못하도록 알아낸 비밀번호를 폭탄해체 프로그램으로 이동해서 입력해야만 암호를 알아내서 탈출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실제 어떻게 적용하는지는 일단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 2020. 12. 14. 아파트 현관문 외시경(관찰구멍) 원리 탐구 - 렌즈작도 오래된 아파트 현관문에는 밖을 살펴 볼 수 있는 외시경이 달려 있다. 안에서 밖을 보면 넓은 범위(작게 보인다)를 볼 수 있지만 밖에서 안을 보면 잘 보이지 않는다. 갑자기 원리가 궁금해 졌다.아마 갈릴레이 망원경과 같은 원리가 아닐까 추측해 보았다. 상이 똑바로 보이는 걸로 봐서 케플러식 망원경 원리는 아닌 것 같고, 갈릴레이식 망원경 원리와 비슷할 것이다.즉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 져 있을 것이다. 갈릴레이 망원경을 거꾸로 들고 보면 세상이 작게 보이고 뚜렷하게 보인다. 하지만 망원경을 제대로 들고 보면, 초점을 잘 맞추지 않으면 뚜렷한 상을 볼 수 없다. 즉 현관문 외시경은 밖에서 안을 볼때는 초점이 안 맞춰진 망원경일 듯 싶다.학생들에게 탐구과제로 제시해도 재미있을 듯 하다.렌즈를 .. 2020. 12. 9. 주기율표 사칙연산 프로그램 사칙연산 프로그램을 주기율표 원소기호 번호를 이용하여 풀 수 있게 만들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게임을 하면 된다. http://sciencej1.cafe24.com/html5/arithmetic/arithmeticju.html 하는 방법은 사칙연산 게임과 똑같다. 사칙연산 게임하는 방법 및 설명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512 사칙연산 게임과 다른 점은 1-20번까지 숫자가 나오는 대신 문제에 원소기호가 나온다. 원소기호가 나오면 원소기호 번호로 바꿔서 사칙연산을 게임을 하면 된다. 1-20번까지 나와 있는 주기율표를 옆에 두고 게임을 하면 더 좋을 듯 하다. 2020. 12. 7. 쌍방향 수업에서 함께 푸는 사칙연산 게임 사칙연산 게임을 쌍방향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수학시간에 활용해도 좋다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사칙연산 게임에 참여하면 된다. 학생들도 아래 링크로 접속하도록 안내하면 된다. http://sciencej1.cafe24.com/html5/arithmetic/arithmetic.html 첫 시작화면에서 게임레벨과 문제수를 선택하고, 게임을 시작하면 사칙연산 게임이 실행된다. 당연히 실행할 때 마다 다른 문제가 무작위로 나온다. 혼자 게임을 하게 할 때 사용 하면 된다. 학생들에게 사용방법을 안내하고 싶을 때는 아래 링크로 보내면 된다. https://sciencelovestudy.tistory.com/36 그런데 쌍방향 수업을 하다 보면 같은 문제를 풀게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래서 함께 풀기.. 2020. 12. 6.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 비교 가상실험 프로그램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을 비교하는 가상실험 프로그램이다. 아래 링크에 가면 바로 실험해 볼 수 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magnitude/magnitude.html 가상실험을 실행시키고 아래쪽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키면서 겉보기 등급과 절대등급을 변환시켜 보자. 1.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을 비교해 보면서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밝기가 같다면 별은 지구로부터 10 pc 거리에 있는 것이다. 만약 겉보기 등급이 절대등급보다 커서(등급이 커질수록 어두워진다) 더 어둡게 보인다면, 실제 별의 위치는 10 pc 보다 더 멀리 있는 것이다. 겉보기 등급이 절대등급보다 작아서 더 밝게 보인다면 10 pc 보다 별이 더 가까이 있다.. 2020. 11. 17. 연주시차 가상실험 프로그램 위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실행시켜도 되고아래 링크로 접속하면 연주시차를 웹상에서도 가상으로 실험해 볼 수 있다.http://sciencej.cafe24.com/html5/parallax/parallax.html평상시에 생각하던 것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해 보았다. 자동차를 타고 지나가면서 보면 주변에 가로수는 지나가는데 달은 자꾸 따라온다. 이유는 간단하다. 달은 너무나 멀리 있기 때문이다.한강다리를 건너며 촬영한 사진이다 멀리 있는 남산타워는 거의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마찬가지로 천구상에 별들은 지구가 공전해도 움직이지 않는다. 지구를 버스로 비유하면 별들은 너무나 멀리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혹시 지구에서 가까이 있는 별들은 가로수 처럼 조금이라도 움직이지 않을까?이런 생각을 해서 지구에서 가까운 별.. 2020. 11. 15. 효양도서관 강연 '과학적 사고를 통해 세상 바라보기' 2020.10.20 효양도서관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 굿초이스 4번째 강연을 하게 되었다. 과학이 발달한 지금도 합리적 사고를 하지 못하고, 주변 의견에 휘둘리는 경향이 있다. 칭찬해 준 양파가 잘 자랄까? 초능력자는 존재 하는가? 등의 흥미로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면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에 접근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제시해 본다. 최소한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은 초자연적 현상이나, 미신, 사이비종교, 다단계 같은 비 합리적인 것에 빠져들지 않았으면 좋겠다. 내가 한 말이 다 맞는 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틀린 점이 있다면 합리적인 방법으로 오류를 찾으면 된다. 그리고 새로운 논리를 주장하면 된다. 무조건적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을 가지고 내가 본 것 조차 의심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 2020. 10. 27. 현장과학교육학회에서 기조연설했던 미래교육에 관한 내용 2020.10.10 현장과학교육학회 가까이 다가온 미래 과학교육 기조연설 원고는 임시로 적은 원고입니다. 급하게 적어서 정리가 잘 안되어 있습니다. 미래교육에 대해 고민하다 보니, 우리는 이미 온라인 교육을 통해서 미래교육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아래는 강연 장면입니다. 2020. 10. 27. 멘델의 유전법칙 통계 가상 실험(완두콩) 멘델이 유전법칙을 증명하기 위해서 했던 실험을 가상으로 만들어 보았다.학생들에게 소개하는 학생용 설명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study.tistory.com/31 멘델의 유전법칙 통계 가상 실험멘델이 유전법칙을 증명하기 위해서 했던 실험을 우리도 가상으로 실험 해보자. 멘델의 분리의 법칙이나 독립의 법칙은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우는 것처럼 자손에서 정확하게 비율이 맞지 않기sciencelovestudy.tistory.com 멘델의 분리의 법칙이나 독립의 법칙이 항상 일정하게 나타나는게 아니다. 사실은 여러번 실험을 통해 확률적으로 알아낸 것이다.그래서 확률적으로 분리의 법칙과 독립의 법칙을 확인할 수 있게 가상실험을 만들었다.아래 링크에서 멘델처럼 다양한 유전자형을 이용해서 우.. 2020. 10. 21. 멘델의 유전법칙 – 옥수수를 이용한 멘델의 유전법칙 확인 옥수수 알갱이의 색깔은 대립형질이 뚜렷해서 멘델의 유전법칙을 확인하는데 좋다. 우선 실험 영상을 보자. 검은색과 노란색이 섞여 있는 찰옥수수를 가져다가 알갱이 갯수를 세어 보자. 검은색 대립형질을 (R) 노란색 대립형질을 (r) 이라 할때 검은색은 노란색에 대해서 우성이다. 부모의 유전자형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검은색과 노란색이 섞여 있으면 확률적으로 부모의 유전자형은 Rr – Rr 또는 Rr – rr 2경우 중에 한 경우에 해당 된다. 그렇지 않으면 두가지 색이 섞여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준비한 옥수수를 대충 봤을 때 옥수수 알갱이의 검은색이 더 많다면 아래 그림처럼 Rr-Rr 이 교배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럼 알갱이 갯수는 검은색과 노란색이 3:1이 될 것이다. 그래서 롯데마트에서 파는 냉동 .. 2020. 10. 19. 지진대와 화산대와 판의 경계 비교 가상실험 지진대와 화산대를 지도에 표시하고 서로 겹쳐 보면서 비교해 볼 수 있는 가상실험이다. 아래 링크에 접속하면 가상으로 실험해 볼 수 있다. (가능하면 노트북으로 시도, 스마트폰에서는 자꾸 딜레이가 생김. 원인은 파악중에 있음.) sciencej1.cafe24.com/html5/pan/pan.html 학생들에게 안내 할때는 아래 링크를 사용해 주세요 https://sciencelovestudy.tistory.com/32 시간이 된다면 직접 지진이 발생한 지역을 세계지도에 표시해 보고, 또 화산이 분포하는 지역을 세계지도에 표시해서 서로 비교해 보는 활동을 직접 해 보는 것이 의미가 있다. 그런데 그럴 시간이 없을 때 사용하기 위해 만들었다. 1. 지진대를 지도에 표시하고, 어느지역인지 관찰해 보자 2. 화산.. 2020. 10. 19. 온라인(쌍방향) 수업 활용 팁 9 - nearpod를 이용한 상호작용 동영상 강의 만들고 수업하기 nearpod를 이용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한 동영상 만들고 쌍방향 수업에 활용하기 nearpod를 활용하면 미리만든 학습영상이나 유튜브 영상을 보여 주다가 중간에 질문이나, 문제를 낼 수 있다. 학생은 회원가입 없이도 참여할 수 있고, 영상 중간에 출제된 문제를 풀거나 질문에 답을 하면서 다음으로 진행할 수 있다. 과제처럼 낼 수도 있지만, 쌍방향 수업에서 교사가 직접 학습내용을 통제하면서 수업을 진행 할 때 더욱 좋다. 일단 아래 링크를 눌러 학생입장에서 문제를 풀어 보자. 그냥 참여 하면 된다. 미리보기로 제시 했더니 스마트폰에서는 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https://share.nearpod.com/dfzN2Yv5fab 스마트폰으로 테스트 할 사람은 과제로 제시한 아래 링크를 누르고 테스.. 2020. 10. 3. 감수분열(생식세포 분열) 온라인 학습지 - 라이브워크시트 라이브 워크 시트로 만든 생식세포 분열과정 (감수분열) 상호작용 온라인 학습지입니다.감수분열 사진을 드래그해서 원하는 위치에 놓도록 만들어 보았습니다.직접 해보니 1분열 말기와 2분열 전기가 조금 헷갈리네요. 자세히 보니 2분열 전기에는 이미 세포질이 나눠져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그냥 아래 링크를 복사해서 학생들에게 제시하면 문제를 다 풀고 finish를 누르면 정답이 맞았는지 혼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들도 학생입장에서 링크를 누르고 도전해 보세요혼자 확인하는 경우에는 틀린 문제 확인하고 아래 링크에 다시 들어가서 만점을 맞을때 까지 도전해 보게 하면 좋을 듯 합니다.https://www.liveworksheets.com/c?a=c&m=n&sr=y&is=y&ia=y&l=jx&i=tofuoo&.. 2020. 9. 27.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8 - 라이브워크시트 단어찾기 퍼즐 만들기 라이브워크시트로 단어찾기 퍼즐 만드는 방법 라이브워크시트에 문제 출제 방법중에는 단어찾기퍼즐(wordsearch) 이 있다. 이걸 기존에 만들었던 웹단어찾기 퍼즐 만들기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하면 웹상에서도 단어찾기 퍼즐을 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라이브워크시트와 웹단어 찾기 퍼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단어찾기 퍼즐을 만들어 보았다. 일단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학생입장에서 단어찾기 퍼즐을 해보면서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보자. 일단 해보면 어떤 느낌인지 안다. https://han.gl/bPUkf 라이브워크 시트로 단어찾기 퍼즐을 만들면 종이로 출력하지 않아도 되고, 온라인 과제나 쌍방향 수업에도 활용할 수 있다. 때로는 활동지 일부에 단어찾기 퍼즐을 함께 넣어 제시할 수도 있다.. 2020. 9. 23.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