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41 1장의 사진을 가지고 얼굴표정과 말하는 모습을 만들어 주는 사이트 증명사진 1장을 올리면 그 사진을 이용해서 다양한 모습을 만들어 주네요 말도 하고 3차원 영상으로도 만들어 줍니다. http://www.gizmoz.com/ 영어시간이나, 연구수업때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 사진을 이용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프레스트 검프가 생각나네요. http://www.gizmoz.com/widget/11828989_b_obama 또다른 하나 http://www.gizmoz.com/video/11829066_ex1 2013. 6. 2. 힘의 합력(자석과 끈 이용하여) 쉽게 설명하기 힘의 합력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 보았습니다. 노끈을 적당한 길이로 자른 다음 두 가닥으로 나눕니다. 그리고 자석에 벨크로테이프를 감싼다음 노끈을 벨크로테이프 사이에 두고 붙입니다. 반대편에는 같은 방법으로 붙이는데 화살표 모양을 인쇄해서 코팅한 다음 붙입니다. 이 화살표는 길이 조정이 됩니다. 시작점의 노끈을 잡아당겨서 안쪽으로 접는 것 만으로 화살표의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 할 수 있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몇개 더 만든다음 힘의 합성을 설명할때 칠판에 붙여가면서 설명하면 됩니다. 실제로 수업시간에 써보니 평행선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학생들이 평행사변형을 만드는 것을 어려워 하네요. 그래서 그냥 선 2개 추가해서 평행사변형을 만들고 붙이도록 했습니다. 칠판에 자석 붙이는 팁은 아래 링크 참고 ht.. 2013. 5. 30. 거대한 달 옆으로 판스타스 혜성 포착 2013년 달 옆 판스타스 혜성 포착 아래 링크는 SBS 보도 내용 달의 모습을 보니 태양이 바로 아래쪽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혜성의 꼬리가 태양의 반대쪽을 향해 있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네요. 2013. 5. 29. A4용지 한장으로 부메랑 만들기 A4용지 한장으로 부메랑을 만드는 재미있는 방법이네요 실제로 만들어 봤는데 생각보다 잘 됩니다. 2013. 5. 29. 에어드론2.0을 이용한 항공촬영 스마트폰으로 조절하는 에어드론 2.0을 한달전에 구입하였다.비행뿐만 아니라 항공촬영 녹화도 가능하다. 아래 사진처럼 스마트폰을 빔프로젝터와 연결하면 비행하면서 빔프로젝터로 에어드론이 촬영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볼 수도 있다. 스팀교육이나 스마트교육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 같다.그밖에 교육적으로 활용방안을 모색중이다. 운동회나, 학교행사때 간단한 항공촬영이 가능할 것 같다.생각처럼 아주 좋지는 않다. 아무래도 비행체이다 보니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조정을 잘못해 나무가지와 충돌하면 고장날수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주 매력적이다. 우선 조정법이 쉽다. 위험할때 스마트폰에서 손을 떼면 제자리에서 멈춘채로 떠 있다.높이도 50m 정도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한다.(그렇게 높이 못올려 봤다. 바람불어.. 2013. 5. 29. 햇님 얼굴에 점(금성)이 찍힌 사진 - 금성일식(2012.6.6) 태양앞을 금성이 지나가는 사진입니다. 앞으로 105년 후에나 다시 볼 수 있다고 하네요 학교에서 140배 까지 확대되는 디카를 깜빡하고 안 가져 오는 바람에 집에 있는 천체망원경을 A4용지에 투영시켜서 촬영했습니다. 그럭저럭 볼만하네요 2013. 5. 29. 사막에처럼 높은 온도에서 녹지 않는 초콜릿(입에서는 녹음) 인터넷에서 퍼온 자료 입니다. 녹지 않는 초콜릿 만들기 * 초콜릿의 녹는 온도는 체온보다 낮아서 입안에 들어가면 잘 녹는다. 하지만 더운 여름이나 손으로 잡고 있다보면 쉽게 녹아 버려서 불편한 점이 많다. 초콜릿을 더운 여름에도 안 녹게 할 수는 없을까? 영국의 아폰 타프 고등학교, 과학을 좋아하는 여학생들이 이라크에 주둔하는 영국군인들을 위해 더운 날씨에도 녹지 않는 초콜릿을 개발해 냈다. "우리는 인터넷을 뒤지면서 다음에 진행할 과학 프로젝트를 찾아보다가 우연히 이라크의 군대에 관한 기사를 읽었어요. 가족들이 보낸 초콜릿이 먹기도 전에 다 녹아 버렸다는 내용이었는데, 이 기사를 보는 순간 바로 이거다 싶었죠. 그래서 열에 강한 초콜릿을 만들어 보기로 결심했어요." 꿈많은 14세 소녀, 베단 잉글랜드의.. 2013. 5. 29. 의과대학 교수님들이 만든 의학 만화 의과대학 교수들이 만든 의학 만화(경희 의료원의 해당 교수님들이)감수하여 출판된 책자를 영상으로 옮긴 의학 만화입니다.※ 병명 을 클릭 병 명감 수간질환소화기내과 이정일교수갑상선질환내분비내과 오승준교수갱년기질환내분비내과 김성운교수골다공증핵의학과 김덕윤교수관절염류머티스내과 양형인교수귀질환이비인후과 변재용교수뇌졸중신경과 장대일교수뇌종양신경외과 임영진교수뇌하수체질환내분비내과 김성운교수눈질환안과 진경현교수다한증흉부외과 조규석교수담도질환소화기내과 동석호교수당뇨내분비내과 오승준교수대장암가정의학과 최현림교수동서건진센터소화기내과 김병호교수두통신경과 안태범교수만성골반통산부인과 허주엽교수말단비대증내분비내과 김성운교수미숙아소아과 배종우교수미용성형성형외과 박준교수부인암산부인과 허주엽교수불임치료산부인과 이보연교수비만가정의학과 .. 2013. 5. 29. 2011년 5월 태양과 혜성이 충돌하는 영상 NASA 공개 태양과 혜성이 충돌하는 영상이라네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고다드우주비행센터(GSFC)의 태양관측위성인 ‘SOHO’가 지난 10~11일에 찍은 영상 중 일부라고 합니다. 혜성은 태양에 부딪히자마자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그 여파로 태양에서는 불덩어리가 뿜어져 나오는 모습니다. NASA는 “혜성과 충돌하며 태양폭발이 일어난 것은 우연의 일치”라고 합니다. 태양활동으로 일어나는 코로나의 질량 분출이 마침 혜성이 충돌한 순간 일어났다는 말이지요. 실제로 작은 혜성이 충돌한다고 해서 태양이 동영상처럼 폭발하지는 않는다고 하네요. 혜성이 태양을 스치며 지나가거나 태양을 향하는 일은 종종 벌어지데 이러한 혜성을 ‘선그레이징 혜성’이라 부른다고하네요 NASA는 “지난해 12월 말에도 얼음으로 덮인 혜성이 태양과 .. 2013. 5. 29. 초능력자는 존재하는가? 과학적으로 보면 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받는 질문중에 하나다. 사실 어렸을때 유리겔라를 보고 열광했던 나도 초능력자는 증명할 수 없을 뿐 분명히 존재한다고 어른이 될때까지 믿었었다. 그러다가 2003년에 SBS에서 방영된 "도전! 백만달러 초능력자를 찾아라!" 라는 프로그램을 보고 그동안 얼마나 비 과학적으로 생각해 왔는지 다시한번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제임스랜디라는 마술사와 SBS가 많은 사람들이 맹목적으로 초능력과 같은 비과학적인 현상을 믿고 따르며 맹신하고 있는 것을 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초능력자를 증명해 보려는 프로였다. TV에서 방영되는 내용을 100% 믿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TV라는 것은 시청률에 의해 좌지우지 되기 때문에 시청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약간의 자극적인 내용을 소재로 삼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2013. 5. 29. 액체 질소에 손을 담그다. 임성숙 선생님이 연수때 액체질소를 가지고 오셔서 직접 손을 넣는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실제로 잠깐 담갔다 빼면 별 느낌 없습니다. 그냥 손 주변에 공기가 확 생기는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요? 전에 수업시간에 액체질소에 잠깐 손을 담가도 괜찮다고 했더니 아이들이 믿지 않아서 증거를 남기기 위해서 직접 담가 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조금 겁이나긴 했지만 실제로 해보니 잠깐 동안 넣었다 빼는 것은 그렇게 위험하지 않네요. 하지만 혹시라도 액체질소를 구하게 되면 전문가와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액체질소는 상당히 위험한 물질임에 틀림 없기 때문입니다. 손을 보호하겠다고 목장갑을 끼고 담갔다가는 큰일 난다고 하네요 잠깐동안 담갔을때 왜 괜찮은지 찾아보니 아래처럼 설명이 되어 있네요 액체질소에 상대적으로 고온의 우리 손.. 2013. 5. 29. 일본 원전사고 방사능 비? 과학은 거짓말 하지 않는다. 요즘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가장 많이 질문하는 내용입니다. 언론이 떠벌려서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지요 수업시간에 제가 하는 말은 방사능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 정도면 일본사람들은 이미 다 죽은 거다. 또 선생님이 팔당댐에 소변을 봤다고 해서 팔당댐 물이 다 오줌물이라 먹으면 안된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 라고 설명을 합니다. 제가 찾아본 과학적 자료에 의하면 1. 방사능 비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 2. 요오드 먹을 필요 없다 입니다. 어느 신문이나 언론에서도 과학적으로 방사능 수치가 얼만큼 증가해서 위험한지, 증가한 양이 얼마인지 이야기 하는 곳은 없고, 온통 방사능 수치가 높아져서 위험하다는 이야기 뿐입니다. 대기중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자연방사능 양이 우리나라의 경우 년간 약 3밀리 시버트라고 하네요.. 2013. 5. 29. 복숭아 벌레 동영상 복숭아를 먹다가 안에서 나온 복숭아 벌레를 동영상으로 촬영해 보았습니다. 아래쪽을 보니 흡판 같은 것이 있네요 그래서 유리에 꺼꾸로 달라 붙을 수 있나 봅니다. 2013. 5. 29. 한반에 생일이 같은 사람이 있을 확률은 몇% 나 될까? 확률적으로 한반에 생일이 같은 학생이 있을 확률은 몇% 나 될까? 한반이 20명일때 40.6% 한반이 25명일때 56.0% 한반이 30명일때 69.6% 한반이 35명일때 80.4% 한반이 40명일때 88.4% 가 된다고 합니다.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해보니까 거의 맞네요 위 시뮬레이션은 한반에 같은 생일이 몇명 있느냐가 아니라 같은생일이 있는 반이 몇반인가 있느냐의 확률입니다. 즉 인원이 40명인 반 1000반을 조사해 보면 그 중에 884반 정도는 같은생일이 있는 학생이 존재한다는 겁니다. 생각보다 확률이 꽤 높게 나오네요 한반이 23명이라면 생일이 같은 학생이 있을 확률이 약 50%가 되네요. 자신이 속해 있는 동호외나 , 계발활동 학생들 생일을 조사해 보세요. 인원이 23명이라면 두 그룹중 한 그룹에.. 2013. 5. 29. 편광에 대한 재미있는 동영상 편광 성질을 이용해서 하는 재미있는 실험입니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을 수직으로 세우면 안보이지만 그 사이에 45도 각도로 편광판을 집어 넣으면 다시 보이게 됩니다. 여기에서는 빛이 아니라 전파를 가지고 비슷한 실험도 보여 주네요 참고로 LCD 모니터는 기본적으로 편광입니다. 2013. 5. 29. 자동차 외형 찌그러진것 펴는 방법 - 열에 의한 팽창과 수축의 원리? 자동차의 외형이 찌그러졌을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네요 해보진 않았지만 제 차도 찌그러진 곳이 있어서 한번 해 봐야 겠습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니 차의 찌그러진 부분을 먼저 따뜻하게 해야 하는데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기도 하고, 라이타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라이타를 직접차표면에 사용하면 안되니까 라이타를 사용할때는 차 표면에 은박지를 붙여놓고 가열하네요. 아니면 햇빛이 강하게 비추는 곳에 세워두기도 하네요 2013. 5. 29. 두 자리 수 이상 곱셈 빨리 하는 방법 (속셈법) 1. 10의 자리 수는 같고, 1의 자리 수는 합쳐서 10이 되는 두 수의 곱이를테면 이런 거죠 63 x 67, 48 x 42 등.. 즉 10의 자리 수는 같고, 1의 자리 수는 합쳐서 10이 되는 두 수의 곱입니다 이런 곱셈은 1초면 나오는 답들입니다우선, 63 x 67를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두 자리 수의 곱은 네 자리라는 사실을 아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저 두 수의 곱은 OOOO의 꼴이 됩니다그럼 계산을 해보죠.. 일단 공통되는 앞의 수 6에 그 수에 1을 더한 7을 곱합니다 그럼 42가 되죠? OO에 채워넣습니다그 다음 두 수의 1의 자리를 곱합니다 3 x 7 = 21 입니다 OO에 채워넣습니다즉 63 x 67 = 4221이 됩니다 같은 식으로 48 x 42 = 2016 이 바로 나오겠죠? 두 자리 .. 2013. 5. 29. 선풍기 2대를 이용한 종이비행기 공중부양 선풍기 2대를 이용해서 종이비행기를 공중부양 시킬 수 있다고 하네요 속임수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제가 보기엔 충분히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단 초기 조건을 맞추는게 쉽지는 않을것 같네요 앞쪽 선풍기의 속도가 뒤쪽 선풍기의 속도보다 빨라야 할 것 같습니다. 만약 앞뒤 선풍기의 속도가 똑같다면 날개에 양력이 생기지 않겠지요. 종이 비행기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초기 조건만 잘 맞추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나중에 한번 도전해 봐야 겠습니다. 이 영상 얼마전에 스펀지에 나왔는데 저 영상 자체는 선풍기 사이에 낚시줄을 이어 놓고 그 위에 비행기를 올린거더라고요.전문가들은 가능한일이다 라고 얘기는 했지만 스펀지 실험팀은 성공하지 못했었습니다ㅎ 2013. 5. 29. 포크레인으로 물폭탄 세차 - 위치에너지, 물의 밀도 이해 물의 무게와 위치에너지를 알 수 있는 영상 보통 물을 가로 세로 높이가 1m 인 공간에 넣어 두면 질량이 1000kg(1톤)이 된다. 많은 양의 물을 높은 곳에서 떨어뜨릴때 충격은 어마어마 할 것이다. 파도가 높게 치면 항공모함도 흔들리는 이유는 물의 무게가 상당히 무겁기 때문이다. https://img2.quasarzone.com/editor/2020/08/17/c09c124b297749ce23f3238b2cab6dfc.mp4 2013. 5. 29. 일식 관찰하는 간단한 방법 - 공CD 한장이면 OK 전문 태양필터가 아니면 자외선을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눈에 좋지 않습니다. 아래 제시한 방법으로는 잠깐 동안만 관찰하실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2시간 지속적으로 보고 있으면 눈에 손상이 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 장시간 관찰하시려면 자외선을 차단해 주는 전용 태양필터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2009년 7월22일 우리나라는 9시34분 부터 12시 6분까지 일식이 일어난답니다. 서울은 약 80% 제주도는 약 90% 가량 가려진다네요 일식 쉽게 관찰하는 방법 검은필름이나 유리판에 양초로 그을음을 붙여서 눈에 대고 관찰해도 좋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필름구하기가 쉽지 않죠 그래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공CD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부분 공CD는 불투명한걸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약하지만 빛이 투과한.. 2013. 5. 29.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