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41 스마트폰 카메라의 드라마샷을 이용한 운동분석(등속,등가속) 갤럭시S4 부터 기본카메라 모드 중에 드라마샷이라는 모드가 생겼다.드라마샷으로 놓고 찍으면 조금씩 변해가는 운동모습을 여러장 촬영하여배경은 그대로 두고 변화된 화면만 자동으로 합성을 해 준다. 스트로브스코프를 이용해서 암실에서 노출을 길게 주고 촬영하면 기존에도 가능했지만실제로 촬영해 보면 암실에서 비싼 카메라를 이용해서 노출이나 조건을 맞추는 것이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다. 학생들이 쉽게 찍을 수 있는 사진은 아니다. 반면에 모듬별로 스마트폰을 준다면간단하게 드라마샷을 이용해서 주변의 운동을 분석하게 할 수 있다. 배경을 고정시켜 놓고 바뀌는 모습만 자동으로 합성해 주므로가능하면 스마트폰을 삼각대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놓고 촬영하면 좋다.또 밝은 곳에서 촬영해야만 비교적 많은 사진을 찍어주기 때문에.. 2014. 5. 25. <수업설명팁> 포화수증기량 상대습도 설명방법 얼마전 모임에서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자료도 좋지만 수업시간에 쉽게 설명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되는데로 자료가 아니더라도 수업시간에 제가 예를 들어 쉽게 설명하는 방법을 이라는 항목으로 관련단원에 적어 볼까 합니다. 첫번째로 포화수증기량과 상대습도에 대한 설명을 할때 사용하는 방법을 적어 봅니다. ---------- 제가 수업시간에 설명하는 방법입니다. 포화수증기량 수업 할때 학생들에게 포화수증기량(교실의 의자갯수=최대한 들어올 수 있는 학생수)와 실제수증기량(실제 학생수)로 비교해 주곤 합니다. 포화수증기량곡선2.0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아래 설명한 교실의 온도만큼 학생들이 들어갈 수 있는 가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기능 추가한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 2014. 5. 22. 대기의 구조 온도변화 입체로 만들기 대기의 구조를 가르치다보니 학생들이 온도 변화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조금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대기의 구조를 종이로 팝업형태로 만들어 보기로 했다. 기권의 구조를 온도변화에 맞춰 접어주면 온도변화를 입체로 볼 수 있다. 만들다 보니 뭔가 5% 부족하다 일단 만든데 까지 공개 대기의 안정 불안정도 입체로 만들어 놓으니 각 기권의 맨아래에서 공을 굴렸을때 굴러내려갈까 안굴러갈까를 가지고 설명하면 각 기권이 안정한지 불안정한지 알 수 있다. 풀을 사용안하게 만들려고 했는데 결국 풀을 사용했다. 맨처음과 끝부분 붙이고 성층권계면만 붙여 주면 된다. 기권을 4개의 층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높이에 따른 온도변화이다. 입체적으로 온도변화를 만들어 놓고 보니 높이에 따른.. 2014. 5. 21. 포화수증기량 곡선 해석하기 프로그램 2.0 2.0으로 업그레이드 웹상에서 바로 실행되는 가상실험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ciencej1.cafe24.com/html5/savapor/savapor2.html 실제와 가상 버튼을 추가해서 가상버튼을 누르면 아래 수업설명팁 처럼 온도가 10도일때 10명, 20도 일때 20명까지 비례해서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는 가상의 곡선을 시연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 했다. 1.5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모형을 책상과 학생 모형으로 바꿀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프로그램 사용전에 아래 링크에 있는 수업설명팁을 반드시 읽어 보고 사용할 것 http://sciencelove.com/1989 포화수증기량 상대습도 설명방법 얼마전 모임에서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자료도 좋지만 수업시간에 쉽게 설명하는 방법을 배우.. 2014. 5. 19. <수업설명팁> 뻥튀기로 탄소순환 가르치기 2009 개정교육과정에 탄소순환 내용이 추가되었다. 오늘 어떻게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을까 고민을 하다가 종이컵을 이용하기로 했다. 정상적으로 탄소순환에 대한 수업을 진행한 후 마무리 시간에 4명씩 모둠을 만들고 각자 자신의 역할을 지정해 주었다. 앉은 순서에 따라 수권,기권,지권,생물권 4명이 1모둠이라 정하기도 쉽다. 그리고 뻥튀기가 담긴 종이컵을 탄소라고 가정한 후 1컵씩 각 모둠에 나누어 주었다. 우선 기권에서 가지고 있게 하고 탄소순환에 대한 문제를 출제하여 해당되는 지구계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학생에게 종이컵을 이동시키게 한다. 바꿀 수 있는 기회를 한번 더 주고 종료를 시킨다음 맞춘모둠은 뻥튀기를 각자 1개씩 종이컵에서 먹도록 한다. 그다음 문제를 같은 방법으로 출제하면서 종이컵(탄소)를 이동.. 2014. 5. 19. 선생님 스승의 날 찾아뵐 수 있도록 다시 돌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차가운 곳에 무심하게 혼자 있던 대학교 동기가 드디어 돌아왔습니다. 사립학교에 계속 있다가 올해 공립으로 옮겨서 좋다고 했는데 그 학교가 안산 단원고였습니다. 조만간 만나서 저녁을 먹자고 했더니, 고기가 먹고 싶다고 했는데 사고난 직후 제 친구를 찾는 이전학교 제자들의 트위터 글을 보고 그 친구가 2학년 담임을 맡은 것을 알게 되었네요. 제자들을 자식처럼 사랑한 친구 였는데 제자들을 두고 혼자 나올수 없었나 봅니다. 제자들 다 나가는 것 보고 나오려고 이렇게 오랫동안 있었겠지요. 오랫동안 나오지 않아 가족들 속을 썩이더니 스승의 날을 하루 앞두고 오늘 나왔다네요 그 친구 페이스북에 제자들이 남긴 말들이 더 가슴을 아프게 합니다. '선생님 스승의 날 찾아뵐 수 있도록 다시 돌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스승.. 2014. 4. 24. 소리렌즈 - 파동의 굴절 소리도 파동이기 때문에 밀한 매질을 만나면 속력차이에 의해서 굴절이 일어난다. 그래서 풍선안에 이산화탄소를 채워 넣으면 볼록렌즈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예전에 탐구자료로 만들었던 건데 파동을 설명하기 위해 이곳에 다시 올려 놓는다. 활동준비 1. 준 비 물 : 드라이아이스, 고무풍선, 은박풍선, 스피커, 컵 2. 구입방법 : 과학교구사 3. 소요경비 : 드라이아이스 20Kg (30000원), 탐구과정 1. 풍선안에 드라이아이스 조각을 넣고 끝을 잘 묶는다. 2.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 풍선안에 이산화탄소 기체가 채워지며 부풀어 오른다 3. 풍선의 중심으로부터 60-70cm 정도 되는 곳에 스피커를 설치한다. 4. 스피커가 설치된 풍선의 반대쪽으로가서 풍선중심으로부터 15-30c.. 2014. 4. 19. 금성 출판사 희망드림 장학생 추천 선발 금성출판사에서는 소년소녀 가장, 한부모 가정, 장애인 가정 자녀 등 소외계층 자녀들에게 학비를 지원하는 ‘희망드림 장학생’을 정기적으로 선발하고 있답니다. 홍보 부족으로 선발 대상도 제한적이었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필요한 학생에게 장학금이 주어질 수 있도록 ‘희망드림 장학생’의 추천을 학교 및 교사에게 직접 받기로 하였답니다. 기간이 4월 25일까지니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학생이 있다면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링크를 누르면 사이트로 직접 이동합니다. http://thub.kumsung.co.kr/happy/rest/eventDetail.do?eventId=141&winId=&pg=1&findMethod=&findStr= 2014. 4. 15. <수업설명팁>레이져 포인터 하나로 설명하는 정반사와 난반사 투과 정반사와 난반사에 대한 설명을 열심히 하였다. 그리고 레이져 포인터를 들고 천장에 비추어본다. 수직으로 천장에 비추다가 약간 비스듬하게 천장에 비춘다. 학생들에게 질문해 보자. '비스듬하게 비춘 레이져 빛은 천장에 충돌하고 어느쪽으로 진행할까요?' 거의 대부분 학생들이 입사각과 반사각의 예를 들며 반대쪽으로 진행한다고 대답한다.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은?' 배운것과 실제 생활에서 일어나는 일이 전혀 일치하지 않음을 느낀다. 천장에 비춰진 빛은 난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모든방향으로 폭탄터지듯이 진행한다. 학생들은 잘 수긍하려 들지 않는다. 증거는? 모든학생의 눈에 천장에 비춰진 레이져 빛이 보인다는 것이다. 본다는 것은 빛이 눈으로 들어와야 보인다. 따라서 천장에 비춰진 빛은 지금 모든학생의 눈으로 들어가.. 2014. 4. 9. 2009 경기도 과학교육원 - 과학수업아이디어 나누기 - 빛관련 연수 이 행사에 참여해서 빛과 관련된 수업아이디어를 발표하였습니다. 제가 개발하거나 활용하는 빛과 관련된 내용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금보니 약간 틀린부분도... 아래는 발표 동영상 입니다. 한번 보시면 빛에 대한 전반적인 수업 아이디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lW70zNqRbeI 2009 과학수업아이디어 나누기 행사 관련 내용 가. 일시 : 2009. 4. 19(일) 09:00~18:00 나. 장소 : 경기도과학교육원 연수동 실험실 다. 참여대상 : 초, 중, 고 과학교사 (학생 및 일반인 참여 없음) 1) 참신한 과학수업 아이디어를 소개할 전국의 우수한 과학교사들로 구성된 강사진으로 수업 주제별 워크샵 운영(수업 시연) - 과학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간단한 수업아이디어.. 2014. 4. 9. 본다는 것은? - 편지봉투 안뜯고 안에 있는 내용읽기 초능력 마술 편지봉투 안의 내용을 볼 수 있을까? 볼 수 없다면 왜 볼 수 없을까? 학생들에게 본다는 것의 개념을 명확하게 잡기 위해서 모둠 활동을 해 보았다. 결국은 본다는 것이 무엇인지에서 부터 접근해야 한다. 본다는 것은 빛이 눈으로 들어오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편지봉투를 뜯지 않고 안에 있는 내용을 볼 수 있을까? 우선 편지봉투를 살펴보자. 분명히 편지봉투를 투과해서 오는 빛은 약하지만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투과해 온 빛을 보면 편지봉투안의 내용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편지봉투를 투과해 온 빛보다 편지봉투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편지봉투 안의 내용을 볼 수 없는 것이다. 낮에 밝은 태양빛 때문에 별을 볼 수 없는 것과 같은 원리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해답이 나온다. 낮.. 2014. 4. 3. Aurasma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거꾸로 교실 구현 * 2017년 12월 18일 부터 Aurasma가 HP Reveal 로 이름을 바꾸면서 더 많은 투자를 한다고 합니다. 아래 링크에 가면 새로 만든 HP Reveal 앱 설명서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ciencelove.com/2283 최근에 거꾸로 교실이 이슈가 되고 있다. 학생들이 집에서 동영상으로 공부를 하고 학교에 와서는 활동을 한다는것이 주된 내용이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동영상은 교사가 미리 10분 이내로 만들어 두고, 학생들에게 제시하면 학생들이 집에서 미리 이론적인 내용은 공부를 해 오는 것이다. 좀 더 진보된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Aurasma를 이용한 방법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 Aurasma 는 증강현실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잘 꾸며 놓는다면 단순한 EBS식의 강의가.. 2014. 4. 1. 뻥튀기를 활용한 멘델의 유전법칙 학습지 뻥튀기를 가지고 멘델의 유전법칙 학습지를 만들어 보았다. 첨부된 학습지는 우열의 법칙 관련이지만 유전자형만 바꾸면 중간유전, 사람의 유전(미맹,색맹 등등) 등으로도 바꿔 사용할 수 있다. 독립의 법칙을 만들어 보고 싶었는데, 독립의 법칙을 만드려면 뻥튀기가 꽤 많이 필요할 것 같다. 일단 아쉬운대로 우열의 법칙부터... 2014. 4. 1. 무지개 스프링 자유낙하를 통한 관성실험 스프링을 자유낙하 시키면 어떻게 운동하게 될까? 전에 다른 선생님이 하는 것을 본 적이 있었는데 언젠가 실험해 보고 싶었습니다. 무지개 스프링을 구입하여 캐논 PowerShot SX40HS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 하였습니다. 이 카메라에는 저속촬영 기능이 있어 초당 120프레임에서 240 프레임 까지 촬영이 가능하네요 이번 영상은 120프레임으로 촬영한 후 정상속도로 재생시켰습니다. 그래서 실제보다 저속으로 보이기 때문에 관찰하기가 좋습니다. 동영상 중간 중간에 멈추고 학생들에게 어떻게 될지 토의해 보게 하고 영상을 보여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학습지에 문제를 내놓고 토론을 시키면 재이밌는 다양한 토의가 이루어 지네요. 2014. 3. 31. 약병을 이용한 앙금생성 반응 실험 스포이드 대신 약국에서 판매하는 약병을 이용하여 앙금생성반응 실험을 하였다. 모둠별로 앙금생성 실험지를 주고 약병에다 약품을 담아서 반응을 하게 하였다. 준비하다 보니 없는 약품이 있어서 없는 약품이 있는 곳은 노란색 스티커를 붙여서 사용하지 않도록 했고 설명을 해도 엉뚱하게 행동하는 학생들을 막기 위해 나중에 반응이 일어나는지 알아보는 A에 있는 3개의 수용액에는 초록색 스티커를 붙여서 맨 마지막에 사용하는 것임을 알게 하였다. 또 미지의 수용액에는 빨간색 스티커를 붙여 놓았다. 1. 코팅된 앙금생성 실험지를 준비하고 2. 아무것도 붙어 있지 않은 수용액을 떨어드려 준비하게 하고 3. 초록색 스티커가 붙어있는 수용액을 떨어뜨리면서 반응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게 하였다. 4. 마지막으로 빨간색 스티커가 붙어.. 2014. 3. 31. 뻥튀기를 이용한 달의 위상변화 관찰 학습지와 방법 뻥튀기를 이용한 달의 위상변화 학습지와 관찰방법입니다. 달의 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좋아하는 뻥튀기를 이용해 보았습니다. 우선 뻥튀기를 서로다른 2가지 색으로 준비합니다. 가능한 태양빛을 받아 반사하는 쪽은 노란색이 좋을 것 같네요. 1. 뻥튀기를 반씩 갉아 먹은 다음 침을 이용해서 서로다른 2가지색을 붙여서 8개를 만듭니다. 2. 학습지 달의 궤도에 태양빛이 비추는 쪽으로 달의 노란색이 가게끔 방향을 잡아서 올려 놓습니다. 3. 눈앞에 지구 중심이 지나도록 학습지 주변을 돌면서 달의 모양을 관찰한다. 노란색이 얼마나 보이는지. . . 4. 노란색이 보인 만큼 뻥튀기를 절반으로 잘라 안보이는 부분을 갉아 먹은후 네모칸 안에 보이는 모습을 놓는다. 주의할점은 네모칸 안에는 눈에 보이는 모습을 올려.. 2014. 3. 28. 2014 대박난 생활지도 - 이번에는 상점제도 이다. 대박난 생활지도 올해는 선택설계학을 적용한 상점제도를 만들었습니다. 작년에 대박난 다함성 생활지도 벌점제도는 아래 링크 참고 하세요. 학교에 많은 변화가 있었고, 올해는 학기초부터 너무 너무 잘 정착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달라졌어요 http://sciencelove.com/872 이에 자신감을 얻어 올해는 상점제도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작년에 선택설계학을 적용해 자발적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도록 한 생활지도로 큰 효과를 본 것처럼, 상점제도를 잘 정비해서 올해에는 긍정적인 쪽으로 큰 효과를 볼 생각입니다. 학교선생님들도 상점을 주는 것이라 더 좋아하시네요.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선생님을 힘들게 하면 안된다는 것과, 선생님들의 공감대가.. 2014. 3. 25. 뻥튀기를 이용한 앙금생성 반응 설명 2학년 교과서에 앙금 생성반응을 설명하기가 너무 어렵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온과 화학식 부분을 너무 축약해 놔서 거의 암기식으로 가르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화학식을 학생들에게 설명하기는 하지만 학생들에게는 외계어로 들리지 않을까? 오늘 앙금생성 반응을 설명하는데 학생들이 어려워 하기도 하고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는 것 같았다. 그래서 학생들이 좋아하는 뻥튀기를 가지고 들어갔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설명하였다. 앙금생성반응이란 양이온과 음이온이 만나서 서로 딱 달라 붙어서 물에녹지않는 화합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이온의 세계에도 로미오와 줄리엣, 성춘향과 이도령이 존재한다. 이들은 다른 이성과 만나 살고 있지만 물에 들어가게 되면 각자 자유로운 선남선녀가 되고 물속에서 돌아다니게 된.. 2014. 3. 25. 앙금생성 반응 가상실험 예전에 만들었던 프로그램인데 2학년 1단원에서도 나오네요. 그래서 이곳에 복사해서 옮겨 놓습니다. 앙금생성 반응 가상실험입니다. 그냥 동영상으로 보여주기가 싫어서 학생들이 선택해서 볼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선택하기 전에 앙금이 생길지 안생길지 생각해 보고 직접 눌러서 보여주시면 좋을 듯 몇번이고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보는 차원이 아니라 직접 해 볼 수 있습니다. 아쉬운 점은 약품을 조금 많이 준비해서 다양한 앙금실험을 했으면 좋았을 것을 약품이 몇개 없어서 할 수 있는 실험이 몇개 없습니다. ^^ 아이오딘화납 반응을 추가로 실험해서 프로그램에 넣어 놓았습니다. 이온음료(포카리스웨트) + 질산은 하고 반응하네요. 탄산나트륨하고는 반응안하네요. 그럼 염소만 들어있다는 얘기? 사이다(탄산.. 2014. 3. 24. 전기분해를 통한 이온의 확인(SSC) 시연 동영상 다운받기 SSC를 이용하여 이온을 확인하는 실험을 시연해 보았다. 학생활동 중심이 아니라 교사가 교탁에서 시연해 보이는 위주로 설계해 보았다. 물론 같은 방법으로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활동해도 좋다. 준비물로 학생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노트북과 usb 현미경을 준비하였고 시약으로는 증류수,수산화나트륨,황산나트륨,염화나트륨,질산구리와 황산나트륨과 함께 보여줄 BTB 용액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9V건전지와 악어집게가 달린 도선, 그리고 도선에 연결한 실핀과 시약을 닦아낼 화장지를 준비하였다. 짧은 시간에 시연을 하기 위해 코팅지에다가 시약이름을 쓰고 미리 (+)극 실핀을 차례대로 스카치테이프를 이용하여 붙여 놓았다.(한쪽이 고정되어 있으면 촬영하기가 좋다.) 시약을 1개씩 떨어 뜨리고 usb 현미경으로 .. 2014. 3. 19.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