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87

블루투스 방수 스피커를 이용한 소리의 진동 실험 소리는 공기의 진동에 의해 발생한다. 눈으로 공기가 진동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없지만 음악이 나오는 스피커를 손으로 만져본다거나 초앞에 촛불을 놓아 두면 공기가 진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에 우연히 스마트폰으로 조작할 수 있는 방수 스피커를 알게 되었다. 원형으로 생겨서 투명 플라스틱 컵을 덮어 씌우면 딱 맞는 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예전부터 해보고 싶었던 실험을 해 보게 되었다. 투명 플라스틱컵 2개를 스카치테이프로 붙인다음 한쪽을 스피커에 꽉 맞게 뒤집어 씌우면 투명컵이 스피커 소리에 따라 진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물과, 쌀을 이용해서 진동시켜 보았는데 특정주파수에서는 물이 튀어 오르는 것도 볼 수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 참고 2016. 1. 18.
2016 구글설문지 사용법 - 설문조사 또는 학기초 주소록 만들때 사용 기존에 사용해 왔던 구글설문지가 2016년에 화면과 사용법이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2016년에 맞게 다시 사용법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처음에 바뀌었을때 급 당황했네요. 구글 드라이브의 구글설문지를 이용하면 설문조사나 실험보고서를 쉽게 취합할 수 이쏙 학기초에 반 주소록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들 가. 각종 설문조사시 활용 가능 (학교 교육과정 관련 설문조사, 급식 설문조사, 학교폭력 설문조사 등등) 나. 과학실험보고서나 각종 조별 보고서 작성시 활용가능 http://goo.gl/Ihxx1 (구글 문서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조가 작성한 내용을 볼 수 있지만 구글 양식을 사용하면 다른조가 작성한 내용을 볼 수 없음) 다. 학기말 선생님 수업에 대한 평가시.. 2016. 1. 14.
과학과 관련된 기타자료 모음 2016. 1. 3.
과학과 관련된 장난감 자료 2016. 1. 3.
과학과 관련된 동영상 모음 액체를 이용한 트릭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GiD_h1UE34 열의 대류 현상을 눈으로 보는 장치(손의 열기로 바람개비 돌리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음) + 또한 빛의 굴절에 대해서도 설명가능 https://www.youtube.com/watch?v=NmS6h_fkPgk 2016. 1. 3.
생활기록부 자유학기제 및 교과세부능력 특기사항 입력 양식 엑셀 보다 아래  구글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하길 추천드립니다. 생기부(생활기록부) 자유학기제 및 교세특(교과세부능력 특기사항) 입력 양식2021 구글스프레드시트용으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사본 복사해 가서 사용하세요. 구글을 이용하면 학교뿐 아니리 인터넷이 되는 아무곳에서나 작성이 가능합니다. 또 자동으로 백업이 되기 때문에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때 어느정도는 복원도 가능합니다. 랜섬웨어나 바이러스등의 공격에서도 안전합니다.아래링크에서 볼수있습니다.(입력은 안됩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8f2eIcELArVzYcsmmPcYLZUiJnrRtTd-eFlA50hdOFc/edit#gid=6090920372021.12.22일 항목을 선택할 때 오류가 있었네요. 제대로.. 2016. 1. 2.
카드 퍼즐 게임(문제적남자에 나왔던 퍼즐) 16장짜리 - 출력용 포함 이전에 만든 카드퍼즐게임 12장짜리를 가지고 하다 보니 익숙해진 아이들은 너무 쉽다고 해서 16장 짜리를 추가로 만듭니다. 16장 짜리에는 J카드가 4장 더 들어 있습니다. 사용법은 아래 링크에 있는 12장짜리와 똑같습니다. http://sciencelove.com/2097 2016. 1. 1.
카드 퍼즐 게임(문제적남자에 나왔던 퍼즐) 12장짜리 - 출력용 포함 문제적남자를 보다가 재미있을 것 같아서 만들게 되었습니다. 카드퍼즐 게임 하는 방법은 스도쿠와 비슷한데, 카드를 가지고 하니까 더 재미있네요. 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주어진 카드 12장을 좌측과 아래쪽에 있는 무늬와 일치하게 종이위에 올려 놓으면 됩니다. 단 카드끼리 겹치면 안됩니다. 카드를 뒤집거나 돌려서 올려 놓을 수 있습니다. 컴퓨터로 할 수 있도록 만들었는데 (컴퓨터로 하는 방법은 카드를 선택해서 화면에 가져다 놓으면 되고, 마우스 스크롤을 돌리면 카드가 회전이 되고 카드를 선택해 놓고 우측상단에 있는 카드뒤집기 버튼을 누르면 카드가 뒤집어 집니다. 다 맞춘다음에는 정답확인을 눌러 맞았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만들다 보니 컴퓨터가 없어도 출력해서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 2015. 12. 27.
교사 수업 평가지 - 학기말에 학생들에게 받아보는 교사 수업 평가지 가르치다 보면 습관이 되어 내가 무엇을 잘 못하고 있는지 모를때가 있다. 학년말이나 학기말에 학생들에게 내 수업에 대한 평가를 받아 보는 것은 어떨까? 요즘도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떠들면 박수를 치게 한다. 박수1번, 그래도 떠들면 2번, 그래도 떠들면 3번 보통 박수3번 까지 가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조용히 하고 집중을 하게 된다. 내가 언제 부터 박수를 쳤을까? 생각해 보니 10년전쯤 받은 수업 평가지에서 시작된 것 같다. 그당시에는 체벌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항상 회초리를 들고 수업을 들어갔다. 학생들이 떠들면 회초리로 교탁을 힘껏 내리쳐서 큰 소리를 냈다. 그럼 학생들이 깜짝 놀라면서 나를 바라 보았다. 시간이 지날수록 강도는 세지고, 어떻게 하면 교탁을 내리쳤을때 큰 소리가 나는지 연구까지 했었다. .. 2015. 12. 19.
보일-샤를의 법칙 종이 학습지 - 종이를 접어가며 공부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종이를 접어서 이해 시켜 보기로 하였다.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은 결국 분자운동으로 설명하면 쉽다. 기체의 부피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외부압력과 내부압력이 같아질때까지 부피가 변하다가 같아지면 부피 변화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이 이야기를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부피가 어떻게 변할지를 예측할 수 있다. 아래 프로그램을 함께 사용하면 좋다. http://www.sciencelove.com/965 따라서 보일의 법칙이나 샤를의 법칙도 외부압력과 내부압력이 언제 같아지게 되는지를 따져 보면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워 하기에 학습지의 검은선을 잘라 접어 보면서 실험해 보도록 하였다... 2015. 12. 2.
물질의 상태변화를 접어보며 확인할 수 있는 종이 학습지 물질의 상태변화를 가르치는데 학생들이 직접 조작해 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접어 볼 수 있는 학습지를 만들었다. 학생들에게 양면인쇄(짥은쪽으로 넘김을 해야 한다.) 해서 나눠 주고 배울때 마다 배운내용과 관련있는 칸에 있는 설명에 답을 하게 하고 접는선을 따라서 안쪽으로 접어서 내용을 확인해 보게 하면 된다. 그냥 해도 되지만 학생들이 직접 접었다 폈다 하면 스스로 공부하거나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 하다. * PS. 할일이 없어야 생각을 하게 된다. 수능때 방송감독하면서 하루종일 방송실에서 할일 없이 앉아 있다 보니, 이런 저런 쓸데 없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물질의 상태변화에 관한 학습지를 구상해 보게 되었다. 2015. 11. 19.
기억력게임(연관)3.5 - 통합버전 (글과 그림을 함께 넣을 수 있음) 기존에 개발했던 기억력 게임(연관용)의 기능을 통합했습니다. 웹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https://sciencelove.com/2613 기억력 카드 게임(memory game) 2.0 (온라인 과제 만들기4)학생들이 좋아하는 기억력 게임(memory game)이다. 모든 카드를 잘 섞어서 뒷면이 보이게 놓고, 2장씩 뒤집어서 일치하는 카드를 맞추는 게임이다. 수업시간에 쉽게 할 수 있게 글자만으로 이루어진sciencelove.com 예전에는기억력게임(사진연관용)3.0 과 기억력게임(글자연관용)3.0 을 따로 받아서 본인에게 맞게 바꿔서 사용해야 했지만 기억력게임(연관용) 이 통합되면서 한개의 프로그램에 원하면 글자를 또는 그림을 넣을 수 있습니다. 1. 연관된 단어.. 2015. 11. 6.
최고의 민서 애교 3종 세트 랜섬웨어 라는 바이러스에 걸려서 몇일째 백업 떠 둔 화일로 복구중에 있습니다. 복구하다가 2002년에 촬영한 민서 동영상을 보게 되었네요. 그당시 너무 귀여운 모습에 반해 동영상을 편집해 보았습니다. 잠깐 보면서 힐링 하세요 https://youtu.be/QY569oFxmlE 2015. 10. 30.
적외선 온도계(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열의 이동방법(전도) 관찰 얼마전 구입한 적외선 온도계(열화상 카메라)를 가지고 놀다가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했다. 손바닥을 나무책상위에 올려놓았다가 땠을때 적외선 카메라를 비춰보면 나무위에 손바닥 자국이 남아 있는 것이었다. 이번에는 금속위에 손바닥으로 올려 놓았다가 땠을때 적외선 카메라로 비춰보면 손바닥 자국이 보이지 않는다. 왜 그럴까 생각해 보니 전도가 잘 되는 금속종류는 손바닥에서 얻어간 열을 바로 옆으로 퍼뜨려 적외선카메라로 관찰해도 손바닥 모양을 관찰할 수 없지만 전도가 잘 안 되는 물질은 손바닥에서 뺐어간 열을 옆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외선 카메라로 보면 손바닥 자국이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알루미늄 호일처럼 비열이 작은 물질은 열을 가해도 금방 식어서 손으로 만져도 아무 문제가.. 2015. 10. 12.
액체질소로 구현해 본 라이덴프로스트 효과(Leidenfrost effect)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라이덴프로스트 현상을 재현해 보았다. 실험이 끝나고 남은 액체질소를 그대로 두면 증발해서 다 사라질테니까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가 여름방학 시작하기 전에 복도 바닥에 부어 버렸다. 복도 바닥에 부었더니 라이덴프로스트 현상때문에 액체질소 방울들이 살짝 공중에 떠서 이동해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마찰력의 영향을 거의 안 받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퍼져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자세히 관찰해 보면 작은 액체질소 방울들이 복도바닥위에서 요동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식으로 액체질소를 다 부어 버렸더니, 복도 구석에 먼지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래는 위키백과에 나와 있는 라이덴프로스트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라이덴프로스트 효과(Leidenfrost effect)는 .. 2015. 10. 12.
행운추첨판 프로그램 -잉어 사탕 뽑기 응용 몇일전 공개수업을 참관했는데 담당선생님이 수업시간에 열심히 한 학생들에게 보상으로 수업이 끝나고 행운권 추첨을 하게 하였다. 칭찬한 횟수 만큼 행운권을 뽑을 수 있게 하였다. 뽑기통은 1회용 플라스틱 이쑤시게(악보모양으로 생긴것) 밑에 숫자를 1-80까지 적어서 학생들이 이쑤시개를 뽑으면 밑에 나와 있는 숫자를 확인하게 되어 있었다. 그리고 행운판은 야시장에 가면 볼 수 있는 잉어 사탕 뽑기판을 응용해서 만든 것을 볼 수 있었다. 1-80까지 숫자가 적혀 있는 판위에 행운판을 자기 마음대로 배치한다음 숫자를 뽑아 행운판과 일치하면 보상을 받게 되어 있었다. 열심히 한 모든 학생에게 보상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업시간에 많이 칭찬해 줄 수 있고, 또 나와서 뽑는 다고 해서 다 뽑히는 것도 아니니 상품 절.. 2015. 10. 2.
토끼 모둠 점수판(9모둠) 프로그램(저장가능) https://sciencelove.com/483035 토끼 모둠 점수판 - 반별로 저장 가능20여년 전에 만들었던 모둠별 점수판인데 아직도 필요로 하는 분이 있어서 웹에서 작동하게 다시 만들었다.아무 기능 없다. 그냥 실행시키고 잘 한일 있으면 체크해 주고 저장하면 된다.그 다음sciencelove.com 토끼 크기가 너무 작아서 토끼 크기를 크게 만든 버젼2 을 추가로 올립니다.아래 토기점수판(9조용)2 는 토끼 크기가 훨씬 커져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10점밖에 줄 수가 없어서토끼를 누르면 2단계로 변하게 해서 필요에 따라서 20점까지 줄 수 있습니다.아니면 10점 만점을 주되, 애매한 경우에 부분점수로 절반정도를 표시해 줄 수 있습니다.     자유학기제를 운영 하다보니 모둠별로 점수를 비교해야 .. 2015. 10. 2.
자음퀴즈를 활용한 수업정리 방법 자음퀴즈를 활용한 수업정리 자유학기제에는 학생들과 다양한 활동을 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쉽게 학생들과 활동할 수 있는 수업방법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자료는 자음퀴즈(마땅한 이름이 없어서 그냥 제가 이름을 붙였습니다) 를 활용한 수업정리 방법이다. 레크레이션에서 예전에 사용하던 방법인데 수업에도 모둠별 활동으로 재미있게 적용 할 수 있다. 재미만 추구하다 보면 수업내용과 상관없이 흘러갈 수 있기 때문에, 수업내용이 함께 포함될 수 있도록 구안해 보았다.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은 많다. 1시간 동안 진행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한 점도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정말 재미있게 열심히 참여한다. 교과서에서 내용을 찾을 때 한명도 빠짐없이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른 선생님들도 쉽게 .. 2015. 9. 24.
비주얼씽킹(?)-써클맵을 이용한 식물의 구조 학습정리 써클맵을 이용하여 학습정리를 시도해 보았다. 우리학교는 남학교 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뭔가를 꼼꼼하게 적거나 활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모둠활동을 할 때 정확하게 지시하지 않으면 놀자판이 될 확률이 높다. 그래서 조금 꼼꼼하게 전략을 세워 실시해 보았다. 박영희 선생님의 아이디어를 많이 참고했음을 밝혀 둔다. 식물의 구조 단원을 미리 학습을 하고 마지막 시간에 정리하는 활동이다. 1. 써클맵형태의 학습지를 만들고 제목과 소제목을 미리 적어 주었다. - 빈칸으로 두고 학생들이 적게 할 수도 있다. 2. 학습주제를 적는다. '초등학생도 알 수 있는 식물의 구조' - 목표는 초등학생들이 와서 봐도 알 수 있도록 자세하게, 그림을 그리게 되면 최대한 친절하게 그리도록 안내하였다. 그리고 활동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 2015. 9. 17.
(임시)네트워크를 이용한 금연교육 및 생활지도 교육 구글 신은 모든것을 알고 있다(KAIST의 명강의를 모아놓은 책) 라는 책에서 소개된 네트워크에 관한 이야기를 읽다가 학교에서도 적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대부분의 관계에는 네트워크가 존재하고 그 네트워크 간에는 허브가 존재한다고 한다. 허브에 필요한 정보를 주면 전파가 쉽거나, 반대로 위험한 일이 생길때 허브를 중심으로 막으면 대처가 빠르다. 그런데 사람관계에서는 허브가 누군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삽질(?)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예를 들면 전세계 공항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보면 비행기들 항로가 모이는 몇 몇 허브 공항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전염병 예방을 하려면 모든 공항을 통제할 수도 있지만 효율성을 위해 허브공항을 중심으로 방역을 한다면 투자대비효과면에서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사.. 2015.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