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1

'수업으로 행복한 교사' 무료 교사 연수 행사 안내 2. 「경기중등수석교사 교육기부단」은 경기교육기부 확산의 일환으로 제1회‘수업으로 행복한 교사’행사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모든 교사에게 공문을 공람하여 수강 신청 및 참석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 일시 : 2015년 4월 4일(토) 10:00~15:00 나. 장소 : 늘푸른중학교 3층 각 교실 다. 개설 프로그램 (사전 수강 신청한 과정의 수업에 참여) 1교시 10:00~12:00 생각하고 탐구하는 프로젝트수업 위기의 아이들과 소통하는 모험상담 하브루타 토론수업 비주얼씽킹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수업 만들기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수업개선 강사 이경숙수석교사 김수분수석교사 김남희수석교사 한은선수석교사 우치갑수석교사 김정식수석교사 수강가능인원 25명 25명 25명 25명 25명 중식.. 2015. 3. 24.
<수업설명팁> 화성암 결정 크기 쉽게 설명하기 + 프로그램 화성암의 결정크기는 냉각속도와 관련이 있다. 빨리 식는 것은 결정이 작고, 천천히 식는 것은 결정이 크다. 간단한 사실인데도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하고 어려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쉽게 설명해 줄 수 있을까 고민을 하다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명을 한다. 설명을 해보니 학생들이 잘 이해하는 것 같아 맨위에 프로그램으로도 만들어 놓았다.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서 실행하면 아래 설명해 놓은 현상을 직접 눈으로 보여줄 수 있다. 학생들을 광물결정이라고 가정하고 마그마처럼 액체상태로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학생들은 교실에서 각자 돌아다니면서 마음대로 놀고 있다. 자 그럼 게임을 해보자 마음대로 놀다가 갑자기 선생님이 시키는 대로 해야 한다. 선생님이 남자는 남자끼리 여자는 여자끼리 모여라, .. 2015. 3. 16.
정전기 실험 - 일회용 비닐봉지 띄우기 일회용 비닐 봉지를 잘라서 풍선이나 플라스틱막대를 이용해서 쉽게 띄울 수 있다. (유투브를 보다 보니 정말 간단하게 정전기 실험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예전에는 비닐끈을 잘라서 띄우는 실험을 하곤 했는데 일회용 비닐을 사용하면 훨씬 더 쉽게 척력을 이용해서 떠 있게 할 수 있다. https://youtu.be/hujuFtNAPL0 준비물도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만들 수 있어 실험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부여할 수 있다. 또 개인이나 모둠별로 창의적인 모양을 만들어 띄우게 한다면 다양한 실험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 일회용 비닐 봉지 끝을 가위로 잘라 원형 모양이 되게 한다. 2. 털가죽이나 천으로 문질러 (-)로 대전시킨다. 3. 플라스틱 막대나, 막대풍선, 또는 원형 풍선을 털가죽으로 문질러.. 2015. 3. 12.
건전지 이용한 초간단 전기분해 실험2 예전에 건전지를 물에 담가서 하는 전기분해 실험을 소개한 적이 있다. 아래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1048 건전지를 이용한 물의 전기분해 실험 가장 간단한 물의 전기 분해 실험입니다. 물질의 구성에서 라부아지에가 한 물분해 실험을 간단하게 보여 주면서 물이 원소가 아니라는 것을 설명할때 사용합니다. 실제 교실에 가지고 가셔서 sciencelove.com 몇일전 재과만에 소개된 유투브에 올라온 건전지 이용한 전기분해 실험에서는 건전지를 물에 넣지 않고도 실험을 할 수 있게 설계해 놓았다. 투명 플라스틱컵과 압정을 이용해서 간단한 전기분해 실험장치를 만든것을 볼 수 있었다. 아래 링크 참고 https://youtu.be/HQ9Fhd7P_HA 그런데 안정성에 몇가지 문제점이 보여서.. 2015. 3. 6.
담임팁 - 엑셀 또는 구글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하여 학급과 관련된 자료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담임을 할때 사용했던 방법이다. 이제는 엑셀보다 구글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면 더 편리하다. 매년 담임을 새로 시작하게 되면 학생들 명렬표를 만들고, 예전에는 사진첩을 만들고, 기초조사서를 정리하고, 급식지원자, 우유급식 신청자, 명찰신청자, 학비지원자, 결손가정학생, 몸이불편한 학생, 작년 학생들 성적, 봉사활동 시간, 행발상 추천자 명단, 상담내용 등등 수많은 내용들을 조사하고 문서로 만들어 보관해야 했다. 그런데 2학기가 되어 갑자기 추가로 장학금을 지원한다거나, 모범상 대상자를 추처해야 하는 경우, 또 급식지원자를 추가로 선정해야 하는 경우에 1학기때 조사해 놓았던 자료를 찾지 못해 고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때론 명찰재발급 신청자를 조사해서 보고했는데, 한달쯤 지나 명찰이 나오는 시점에 한 학생이 자.. 2015. 3. 3.
칭찬해준 양파가 잘 자란다? (과학적 사고력의 필요성) 칭찬해준 양파가 욕을 먹은 양파보다 잘자란다? 과학교사로서 너무 황당할 따름이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진실로 믿고 있다. 선생님들 중에도 10명중 9명 정도는 위 사실을 진실로 믿는다 왜? TV에도 방영된적이 있고,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많은 사람들이 실험을 통해 이 사실을 입증한 사진들이 많이 올라와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 과학적으로 많은 오류를 가지고 있는데도 말이다. 난 예전부터 이 사실을 믿지 않았다. 식물은 동물이 아니다. 청각 기관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말소리를 듣고 영향을 받는다. 심지어는 칭찬글과 욕을 글자로 써서 양파를 담은 비이커에 붙여 놓는 것 만으로도 변화가 나타난다고 한다. 정말 황당할 뿐이다. 나보고 실험해 봤냐고 묻는 사람들이 있다... 2015. 3. 2.
과학적 지식과 관찰에 대한 수업 (미스테리 튜브) 과학 첫째 시간에 사용하기 좋은 내용입니다. 미스테리 튜브 관련 학습지는 바로 아래에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과학이란 무엇인지 학생들에게 설명하기 위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맨 아래 최근에 추가로 올려 논 설명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신곡중학교 수석교사로 계신 장미순 수석선생님의 자료를 가지고 재구성해 보았습니다. 미스테리 튜브 제작방법을 보고 직접 만드셔서 하시면 좋습니다. 아니면 제가 만들어 놓은 동영상을 보여 주셔도 됩니다. 1. 미스테리 튜브 미스테리 튜브 실험은 과학적 탐구와 과학의 본성을 잘 소개하는 실험이다. 학생들의 목표는 미스테리 튜브의 내부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학생들은 튜브 안을 절대 볼 수 없게 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각자 .. 2015. 3. 2.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여 첫날 반 주소록 및 학생기초조사 5분 만에 끝내기 구글설문지 자세한 사용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ciencelove.com/2103 2016 구글설문지 사용법 - 설문조사 또는 학기초 주소록 만들때 사용 기존에 사용해 왔던 구글설문지가 2016년에 화면과 사용법이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2016년에 맞게 다시 사용법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처음에 바뀌었을때 급 당황했네요. 구글 드라이브의 구글설 sciencelove.com 구글설문지를 이용하면 첫날 종례시간 5분이면 우리반 주소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몇년전에 이 방법을 담임 선생님들께 알려 드렸는데 너무 좋아하셨습니다. 그런거 필요 없다고 하셨던 분들도 옆반 선생님들이 5분만에 주소록과 연락처 정리를 끝내는 걸 보고 바로 그 다음날 배우러 오신적도 있습니다. 만드는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 2015. 2. 27.
담임팁 - 학기초 만들어 두면 좋은 선생님 도우미(1인 1역할) 제가 담임할 때 사용했던 방법입니다. 학기초 청소구역이나 1인 1역할을 배정할 때 꼭 선생님 도우미를 1-2명 배정 합니다. 선생님 도우미의 역할은 청소시간이 되면 선생님이 있는 교무실에 와서 ‘오늘은 제가 뭘 해야 합니까, 뭐 시키실 일은 없나요?’ 라고 질문하는 역할입니다. 할 일이 없으면 그냥 돌려 보내거나 놀게 하면 됩니다. 선생님 도우미의 역할은 말 그대로 선생님 일을 돕는 역할입니다. 3월달 학기초에 담임선생님들이 할 일은 상당히 많습니다. 각종 설문지를 걷어 통계 처리를 한다거나, 학생들 주소록을 만든다거나, 사물함 이름표를 만들어 오려 붙인다거나 등등... 이럴 때 선생님도우미를 뽑아 놓으면 선생님의 할 일에 우선순위를 매겨서 중요하지 않은 단순 반복 작업은 뒤로 빼 놓았다가 청소시간에 선.. 2015. 2. 26.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개선 연수 동영상 2014,07.25일에 체육선생님들을 대상으로 했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개선 연수 동영상입니다. 유투브에 올라와 있네요. 체육교과와 관련된 내용이 아주 조금 들어가 있구요. 대부분의 내용은 범교과적인 내용입니다. 다른 교과에서도 참고하셔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14 NTTP 좋은체육수업나눔연구회 에서 주관한 갈라쇼에서 발표했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개선 연수내용입니다. 2015. 2. 16.
골든벨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 연수 동영상 2015년 2월 7일 김영학 선생님이 운영하시는 재과만(재미있는 과학수업만들기 http://cafe.daum.net/sedu22)카페에서 주관한 제1회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 오프라인 모임에서 발표했던 '골든벨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 발표 내용입니다. 제가 강의했던 내용중 남아 있는 것이 별로 없는데 잘 촬영해 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시간이 20분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발표속도가 상당히 빠릅니다. 그리고 지나고 나서 보니 중요한 이야기들 몇개를 놓쳤네요. 아쉽습니다. 한번 보시면 대충 수업시간에 사용하실 수 있을 듯... https://youtu.be/gc5pP5P53tE 발표했던 내용과 관련있는 자료들은 링크로 연결해 놓았습니다. 프로그램은 링크 걸어 놓겠습니다. 왜냐하면 사용하다 불편한 점이 생.. 2015. 2. 16.
굴절 - 자석이용 떠 보이는 동전, 물속에 들어가면 짧아 보이는 물체 빛 관련 실험에는 재미있는 실험들이 많다.그 중에 물을 부으면 컵속에 있는 물체가 떠 보이거나,물속에 있는 물체가 짧아 보이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 많다.오늘 쉽게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막대자석을 이용해서 물체를 움직여 가며 보여주는 방법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사각수조와 막대자석을 이용하면 직관적으로 쉽게 물속에 있는 물체가 물이 없을때와 있을때의 차이점을 비교해 줄 수 있다. 1. 물속에 있는 물체가 떠올라 보이는 것을 물밖에 있는 자석과 비교하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영상은 입체감이 나지 않아 미흡해 보이지만실제로 해보면 훨씬 더 구별이 잘 된다.https://www.youtube.com/watch?v=cAm6aHB0b9k 2.  물속에 있는 물체가 짧아 보이는 것과 물속에서 물밖을 봤을.. 2015. 2. 15.
초성퀴즈 프로그램 2.3 - 초성으로 문제를 출제하고 맞추는 게임 https://sciencelove.com/2676 초성퀴즈 온라인용 프로그램 필자가 수업시간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잘 사용하면 재미는 물론 수업시간에 학습마무리를 깔끔하게 진행하며 학습효과도 볼 수 있다. 최근에 노트북 대신 태블릿으로 수업하는 sciencelove.com 기존 20글자까지 되던 것에서 최대 26글자까지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문제판을 누를때 마다 그 글자 하나만 1단계 - 2단계 힌트가 진행됩니다. 그밖에 사소한 버그들 수정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다 보니 1시간 분량을 만들어 사용하기는 쉬운데 매시간마다 조금씩 동기유발에 쓰려고 하니 새로 만들기가 귀찮네요. 그래서 주제목록(차시)을 추가로 넣울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서 차시별로 문제들을 출제하고 필요한 차시문.. 2015. 2. 10.
자동으로 글 쓰는 기계 - 오토마타 라이팅 - 자동글쓰기 자동으로 글을 써주는 장난감이다. 원리를 살펴보면 x,y,z 축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아래쪽 돌아가는 판에 홈을 파서 볼펜을 잡고 있는 손을 움직이게 하는 기계다. 구입을 해서 분석해 보면 응용할 분야가 많을 듯 하여 구입해서 만들어 보았다. 원하는 글자도 직접 만들 수 있는 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아래 링크에 가서 글을 쓰면 오토마타-라이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판의 도면을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http://otonanokagaku.net/magazine/vol41/appli/ 잘 이용하면 x,y,z축의 분석을 통해 공간분석도 가능할 것 같고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원하는 글자 판을 근사하게 만들어 볼 수 도 있을 것 같다. 오늘 두꺼운 종이를 잘라서 만들어 보었는데 잘 안된다. 재미있는 장난감이다. 2015. 2. 5.
어떤게 진짜 자동차 경주일까?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어디까지가 가상일까? 세상의 기술은 너무나 빨리 발전하고 있다. 하나는 진짜 레이싱카에 카메라를 달고 찍은 화면이고 하나는 게임화면이라고 한다. 어느쪽이 진짜 경주화면인지 찾아 보자. 2015. 1. 28.
[취재파일] '드론'에 혼쭐 난 백악관..가장 막기힘든 공격수단 본문[취재파일] '드론'에 혼쭐 난 백악관..가장 막기힘든 공격수단 로봇혁명 드론이 세상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그런데 이 드론이 잘못된 방향으로 사용된다면 상상할 수 없는 재앙을 초래할 수도 있다. 조종법이 너무나 쉽기 때문에 누구나 마음대로 날릴 수 있는 드론 결국 우려가 현실이 되는 건 아닐까? 백악관 벽에 충돌한 드론에 대한 기사이다.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50128093008252 2015. 1. 28.
중학생을 위한 과학 정의적 특성 함양 프로그램 (ORM 2014-85-2)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에 올라온 자료 입니다. 별 생각없이 봤는데 자료가 너무 좋네요. 그래서 링크 걸어 놉니다. 중학교 1학년 과학 전단원이 다 제시되어 있습니다. 책자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kice.re.kr/resrchBoard/view.do?seq=43846&s=kice&m=030101 Ⅰ. 과학이란? 1. 숨어있는 숫자를 찾아라!|2 2. 어림의 달인|16 3. 나를 닮은 과학자 찾기 놀이|32 Ⅱ.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1. 어느 외계인의 지구 탐사기|40 2. 너와 내가 함께하는 지구계 이야기|52 3. 넌 아니? 상자 속에 뭐가 들었는지?|66 Ⅲ. 힘과 운동 1. 손바닥 밀기 모둠 대항전|84 2. 다 같이 일어서기|96 3. 이야기가 있는 그래프 그.. 2015. 1. 28.
로봇과 독거노인 영상 - 일상 속으로 들어온 로봇, 축복일까 재앙일까 로봇과 독거노인에 대한 에니메이션을 보면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로봇이 에니메이션 처럼 인간세계로 들어오는 일은 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슬픈 에니메이션이지만 한편으로 생각하면 사람이 할일을 로봇이 대치한다고 볼 수도 있다. 로봇과 사람이 직업을 두고 싸움을 벌이는 시대가 올 것인가? 우리의 일자리를 로봇에게 빼앗기게 된다면 마냥 즐거운 일만은 아닐 것이다. 짧은 영상이지만 노인문제에 대한 생각, 그리고 로봇에 대한 생각 등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상이다. 일상 속으로 들어온 로봇, 축복일까 재앙일까 - 아래 기사를 참고하세요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globaleconomy/675150.html 2015. 1. 28.
문제행동의 이해 및 대응법 - 송형호 선생님 자료 송형호 선생님이 서울교육청에서 주최한 일반고 혁신 역량 강화 연수에서 했던 내용입니다. 아래 링크에 가시면 http://cafe.naver.com/ket21/7949 파워포인트를 올려 놓으셨네요 파워포인트를 다운 받아 보시면 아랫부분에 간단한 설명도 해 놓으셔서 보기가 좋습니다. 한번 다운 받아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올려 놓으신 자료를 보니 제가 생각하는 것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네요. 최근 생활지도에 대한 제 생각은 선택을 교사가 하지말고 학생이 하게 하자 라는 것입니다. 선택권을 학생에게 넘기면 갈등의 절반은 해결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2015. 1. 22.
캄보디아에서 본 하현달의 모양 - 달의 위상 변화 캄보디아에서 본 하현달의 모습은 아래쪽 절반만 보이는 모습이었다. 달의 위상변화에서 하현달의 모양은 왼쪽편만 보이는 반달 모양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알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 새벽에 하현달의 모습을 살펴보면 왼쪽이 아니라 약간 좌측 아래쪽 절반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왼쪽 절반만 보이는 모습은 하현달이 남중하는 가장 이상적인 경우에만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하현달이 동쪽 지평선 부근에서 떠오를때는 아래 그림처럼 거의 아래쪽 절반만 보이게 된다. 위 사진처럼 왼쪽만 보이는 채로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런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아래링크에 있는 달시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하현달이 지평선 주위를 돌게 하면서 관찰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http:/.. 2015.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