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3

레이저포인터와 주사기를 이용한 초소형 현미경 만들어 관찰하기 물방울 하나에도 우주(?)가 들어 있다. 한방울의 물방울을 녹색레이저 포인터로 비추면 회절과 간섭에 의한 상이 나타난다. 물방울 속에 들어있는 부유물이나 작은 원생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별다른 장비가 없어도 이쑤시개 끝에 물방울이 맺히게 한 다음 레이저포인터로 비추면 간단한 현미경이 된다. 그런데 실제 실험해 보면 자꾸 흔들려서 정확하게 레이저를 비추기가 어렵다. 그래서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레이저 현미경을 잘 고정시킬 수 있게 만든 3D 프린터 소스가 있었다.(https://www.thingiverse.com/thing:2755871) 소스를 다운 받아 출력해서 잘 흔들리지 않는 좀더 근사한 레이저 현미경을 만들어 보았다. 3cc짜리 주사기 바늘 끝을 평평하게 자른 다음 물을 넣어 한방울의 물이 주.. 2019. 7. 18.
열팽창 소리 - 귀신소리 아니고 열팽창에 의한 소리 한밤중이나 한낮에 갑자기 나는 원인 모를 소리의 대부분은 열팽창이나 수축에 의한 소리다. 우리 주변에 있는 물체들은 온도변화에 의해 항상 부피가 변한다. 점심시간에 급식먹으로 가는데 학교 차양막에서 소리가 난다. 오전에 비가 오고 쌀쌀했는데 점심때 비가 그치고 강한 햇살이 비췄다. 온도변화가 커졌기 때문에 열팽창 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이 형성된 것이다 우리가 원인을 못찾는 아무도 없는 곳에서 갑자기 들리는 소리는 대부분 열팽창이나 열수축 때문에 나는 소리다. https://www.youtube.com/watch?v=nxpEMAgq01s 군대 있을때 밤에 보초를 서다가 갑자기 드럼통을 발로 걷어차는 소리 때문에 깜짝 놀라곤 했다. 그리고 왜 그런 소리가 나는지 알 수가 없어 당황스러웠던 적이 있다. 나중에.. 2019. 7. 16.
평면거울 가상실험 - 거울에 반사된 상의 크기와 위치 실험 평면거울에 반사된 상의 크기와 위치를 알아보는 가상실험이다.2015 개정교육과정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실험이다.작도가 빠지고 관찰 실험에 의해 상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하게끔 설계가 되어 있어, 그에 맞춰서 가상실험을 만들었다. 평면거울 뒤에 물체를 놓아 볼 수 있고, 평면거울을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높이가 사물의 절반인 평면거울을 놓고 거울 앞과 뒤의 물체의 위치를 옮겨가며 한개의 물체처럼 만들어 보는 실험을 통해서 평면거울에 의해 생기는 상의 위치 그리고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실험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실험과 함께 활용하면 좋다. https://sciencelove.com/2325평면 거울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 관찰" data-og-description="고전적인 내용이다. .. 2019. 7. 7.
편광필름 이용하여 마법처럼 반사광 사라지게 하기 편광필름을 이용하면 다양한 현상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브루스터각 으로 반사되는 편광된 빛을 마법처럼 완전히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알고 있던 거지만, 실제 확인해 보니 더 신기하다. 과학실 장식장 유리창에 반사된 빛이나, 탁자 유리면에 반사된 형광등 빛, 또 자동차 유리에 반사된 빛을 브루스터각이 되게 맞추고 편광판을 회전시켜 편광된 빛과 수직이 되게 맞추어서 보면 마법처럼 반사광이 사라져 버린다. 물론 평행하게 맞추면 다시 반사광이 보인다. 노트북 lcd모니터도 편광 원리를 이용하는데 편광판을 돌려가며 잘 맞추면 마치 화면이 꺼져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다. 주변의 사물은 다 보이는데 분명 켜 놓은 노트북 화면만 꺼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잘 응용하면 연구실이나 교무실을.. 2019. 7. 5.
방탈출게임(금고버전) - 숫자 뿐 아니라 한글입력도 가능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방탈출게임(금고) 버전을 추가로 개발했습니다. 이번 버전에서는 번호를 숫자로 맞출 수도 있고, 주관식 문제를 내고 한글 초성을 숫자를 이용해 정답을 맞출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금고 버전에서는 무선키패드를 활용해 입력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교실 중간에 무선키패드를 설치해 놓으면 정답을 알아낸 모둠은 교실 중간에 와서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성공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또는 성공한 모둠에 무선키패드를 주고 앞으로 나오지 않고 직접 입력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무선키패드를 사용하게 하기 위해, 키패드에 있는 숫자만으로 모든걸 다 입력할 수 있게 했습니다. 확인도 마우스 사용하지 않고, 그냥 엔터키 눌러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도전 횟수에 제한을 두면 정답을 다시 검.. 2019. 6. 25.
뉴턴의 대포 가상실험 - 인공위성이 지구를 도는 원리 뉴턴의 대포 - 인공위성이 지구를 도는 원리 2개의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1개는 공기저항이 있는 경우고, 1개는 공기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뉴턴의 대포를 공기저항이 있을때 생각해 보게 하는 것도 재미있는 활동이 될 것 같습니다. 뉴턴의 대포1.1 처럼 공기저항이 없으면 대포알은 에너지를 잃지 않는 한 원운동이나 타원운동을 하게 됩니다. 공기저항이 있는 곳에서는 에너지를 조금씩 잃게 되어 위치에너지가 조금씩 감소하다가 바닥에 떨어지게 됩니다. 1. 타원 운동을 할때 케플러 법칙에 의한 지구표면에 가까울수록 포탄 속도가 빨라져야 합니다. 멀어지면 속도가 늦어져야 하구요. 2. 계산해서 만든 식이 아니라 단순한 시뮬레이션이라 실제 운동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뉴턴은 대포를 세게 쏘.. 2019. 6. 24.
자유낙하 비교 가상실험(자유낙하 물체와 수평으로 던져진 물체 비교) 자유낙하 운동 비교 가상실험(자유낙하 물체와 수평으로 던져진 물체의 운동 비교) 공통과학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입니다. 자유낙하 시킨 물체와 수평방향으로 던져진 물체의 운동을 비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X축 방향으로 수평으로 던져진 물체의 운동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Y축 방향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구상에서 같은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야구공을 아무리 세게 던지거나, 총을 쏜다고 해도, 공기에의한 효과를 무시한다면 바닥에 떨어지는 시간은 제자리에서 공을 자유낙하 시켰을때의 시간과 같습니다. 제가 잘하는 질문 총알은 얼마동안 날아갈까? 알고 싶으면 지우개를 총의 높이에서 들고 바닥으로 떨어뜨려 보면 된다. 지우개가 자유낙하 하는 시간이 총에서 발사된 총알이 날.. 2019. 6. 24.
<수업설명팁>무게와 질량에 대한 생각 일상생활에서는 무게와 질량을 구별하지 않고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몸무게를 물으면 대부분 질량의 단위인 Kg 으로 이야기 한다. 그러다 보니 학생들도 무게와 질량을 구분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힘들게 무게단위인 N 으로 바꾸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중요한 것은 질량은 변하지 않는 고유한 양인데 왜 우리는 항상 용수철이 들어간 저울로 장소에 따라 변하는 무게를 측정하고 읽을때는 질량단위로 읽고 있는 것일까? Kg으로 답하고 싶다면 그냥 윗접시 저울로 측정하고 질량단위로 답하면 편할텐데... 그 이유를 고민해 봤는데, 용수철을 이용한 측정이 훨씬 편리하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직접 경험시켜 보자.) 용수철 저울과 윗접시 저울을 주고(시범실험을 할때는 교단선진화를 이용하여 가상실험으로 보여주.. 2019. 6. 4.
방탈출게임 활용한 수업 -문제 해결하고 전화번호 맞추기 방탈출 게임 - 전화번호를 맞춰라 예) 1부터 100을 더한 값은? 답:5050 입력후 통화 버튼 누르기 요즘 유행하는 방탈출게임을 수업에 응용해 보았다. 수업시간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문제를 출제한다. 개인이나 모둠별로 문제를 풀고, 정답을 조합해서 나온 전화번호를 찾아내어 앞에 나와 컴퓨터에서 입력하면 성공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성공한 경우 성공메시지를 보여주면서 보상해 주거나, 다음단계의 추가문제(또다른 문제지)를 풀게 할 수도 있다. 전화번호나 성공메시지는 data 텍스트 화일에 수업과 관련된 내용으로 미리 입력하고 저장하면 된다. (여러개 입력이 가능하므로 모둠별로 다른 전화번호가 나오게 만들수도 있다.) 전화번호를 누르고 통화 버튼을 누르면 된다. 전화번호가 맞으면 통화.. 2019. 6. 2.
용수철을 이용한 물체의 무게 측정하기 가상실험 용수철을 이용하여 물체의 무게 측정하기 가상실험이다. 웹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주소는 아래 링크 참고(아직 검증이 안되서 약간의 오류가 있을 수 있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springweight/springweight.html 실험실에 가지 않고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실험이 가능하다. 또는 직접 실험하기 전에 실험방법을 익히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실제 실험실에서 실험해 보면 첫번째 측정값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까지 똑같이 만들었다. 가상실험을 통해 실제 실험에서 오류가 나는 부분도 다시 생각하고 실험을 보완해 볼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spri.. 2019. 5. 30.
여행용 디지털 저울 측정기를 이용한 가방 무게 측정 모둠별 시합 용수철을 이용한 물체의 무게 측정을 가르치고 재미있는 활동을 해 보기로 했다. 그래서 준비한 휴대용 디지철 저울 측정기 보통 여행용 가방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만든 저울인데 가격도 싸고, 40-50Kg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재미없고 딱딱한 실험이지만, 모둠별로 실제 체험을 하게 해 보자. 모둠을 구성한 다음 모둠별로 가방 2개를 준비한다. 선생님이 제시한 무게가 나오도록 가방에 물건을 채워 넣도록 하자. (처음에는 얼만큼 무게를 측정할 건지 알려주지 말자) 용수철 저울이나 생수병을 제공하면 더 재미있는 실험이 가능하다. 과학실에 용수철 저울 1개를 제공하거나. 물이 들어있는 생수병의 무게를 알려주고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제공 해도 좋다. (용수철 저울과 생수병을 제공하면 시키지 않아도 생수병 무게를 열.. 2019. 5. 30.
생활지도에 대한 간단한 생각 정리(현재 문제점과 개선책(?)) 제가 생각하는 우리나라 생활지도의 문제점 (핀란드나 유럽의 교육이 좋다고 따라하고 싶어 하면서 왜 시스템은 따라하려 하지 않을까요?) 현재 학교에서 벌어지고 있는 수업침해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문제를 발견한 교사와 지도하는 교사가 같은 교사라는 겁니다. 이는 사회에서 집에 들어온 도둑을 잡은 사람이 행정업무 보고 처벌까지 하는 것과 같아요. 교사의 권위가 인정될때는 어느정도 가능했지만 최근에 와서는 점점 힘들어지네요. 그래서 제가 생각한 방법은 쉽지는 않겠지만 수업방해를 발견한 교사와 지도하는 교사는 달라야 한다는 겁니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발견한 교사가 지도하는게 맞지만 이제는 생활지도의 책임을 발견한 교과 선생님께만 지우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다 보니 선생님을 만만하게 보는.. 2019. 5. 20.
동료평가(기여도)를 활용하여 수업에 효과적으로 참여시키는 방법 모둠 바꿔주세요! 왜 내가 다 했는데 제들도 똑같이 점수를 주나요? 나도 안할거예요! 모둠활동을 하다보면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아이들 때문에 어려울 때가 있다. 그래서 모두 활동에 참여시키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 몇가지 방법을 제시해 본다. 1. 그 중에 하나가 모둠활동지를 제출할 때 기여도를 적어 내도록 하는 것이다. 모둠원 이름 밑에 모둠활동에 가장 많이 기여한 학생을 순위를 매겨 1등 – 4등까지 표시하게 하도록 한다. 서로 상의 해서 순위를 정하면 된다. 그런데 이런 경우 모두 열심히 참여해서 순위를 정하기 곤란한 경우가 생기기도 하고 서로 높은 순위를 갖겠다고 싸우는 경우도 생긴다. 억지로 순위를 매길 필요는 없다. 만약에 모두 열심히 참여 했다면 공동 1등이나 공동 2등도 가능하다. 이건 교사.. 2019. 5. 9.
암석단원 정리용 블리츠 카드 게임 암석단원 정리용 블리츠 카드게임입니다. 모둠별로 카드 게임을 하면서 암석단원 내용을 재미있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된다면 문제를 미리 나눠 주고 공부할 시간을 줘도 좋을 것 같네요카드는 위 화일을 다운 받아서 출력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암석단원 온라인용 블리츠 카드게임은 아래 링크에서 할 수 있다.https://t.ly/YVr0T 블리츠게임을 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블리츠카드 게임을 직접 만들 수 있는 엑셀프로그램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본인이 원하는데로 문제를 수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떤 수업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https://sciencelove.com/2364 블리츠 카드 게임 이용한 학습용 카드 게임 만들기 및 게임 설명서엑셀 양식을.. 2019. 4. 21.
블리츠 카드 게임 이용한 학습용 카드 게임 만들기 및 게임 설명서 엑셀 양식을 구글스프레드시트로 변환하였습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구글스프레드 시트 사본 복사해서 만드셔도 됩니다. 엑셀파일 다운 받지 않고 바로 만들 수 있습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afoRKy8bj8qxOCedOWQUzP8opLsphOEaCs-84aoI4OM/edit#gid=1148057177이전 엑셀 파일은 아래 파일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1. 게임운영방법가. 모든 카드를 잘 섞어서 내용이 보이지 않게 뒤집어서 중앙에 2개의 더미로 쌓아 놓는다.나. 보통 4명이 게임을 하는 것이 좋다. 선부터 1명씩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2개의 더미중 원하는 더미 위에 카드를 1장씩 가져다 본인 앞에 내용이 보이게 내려 놓는다. (본인 앞에 카드가 있다면 .. 2019. 4. 21.
초간단 전동기(모터) 만들기 - 기존 간이전동기를 더 쉽게 만들기 에나멜선을 감아 만드는 전형적인 간이전동기 만들기이다. 기존에 많은 제작법이 나와 있고,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쉽게 만드는 방법으로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클립을 이용하면 클립을 가공하기 위해 재료들이 또 필요하게 되고, 구리판을 사용하면 평상시에는 구리판을 접할 수 없기 때문에 실험시에만 사용하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주변에 있는 준비물들로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 본다.(2017년 신과수에서 발표했던 자료인데 오늘 확인해 보니 홈페이지에 올려놓지 않았나 보다. 그래서 지금에서야 올린다. )https://youtu.be/JjuJ_SY503g 가. 준비물에나멜선(지름0.6-0.7mm, 길이 50cm), 페라이트 원형 자석(20X5mm), 건전지DM, DM건전.. 2019. 4. 18.
암석의 순환 카드 게임 및 활용방법 암석의 순환을 쉽게 익힐 수 있는 카드게임을 만들어 보았다. 이것 저것 시도해보고 계속 실패하다가, A4용지 1장만 모둠별로 나눠 주면 게임을 할 수 있게끔 만들게 되었다. 따로 코팅할 필요 없다. 모둠별로 1장씩 나눠주고 게임을 한 다음 걷어서 재사용해도 되고, 버려도 된다. 어차피 모둠별로 카드모음 A4용지 1장씩만 나눠 주면 된다. 재단기를 사용하여 미리 점선으로 잘라가지고 가면 가위가 없어도 손으로 뜯어내서 카드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게임을 해보면 처음에는 생각보다 어렵다. 그런데 익숙해지니 재미있어진다. 특히 상황카드는 2가지 상황이 동시에 나오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상황을 성공시켜 암석을 얻어가면서 게임의 묘미가 더해진다. 처음에 어려워 하면 암석의순환 그림을 밑판으로 깔고 해당되는 곳에.. 2019. 4. 16.
빙고학습게임 앱 - 태블릿 이용한 빙고게임 및 전략 빙고게임 통합버전2.0이 개발되었습니다. 이곳에 있는 것 보다. 아래 링크에 있는 더 간단해진 통합버전을 사용하세요 통합버전2.0은 문제를 포함해서 학생들에게 링크를 보내서 바로 참여하게 할 수 있습니다. https://sciencelove.com/2611 수업시간이나 단원 마무리 할 때 교과서에 있는 단어들을 찾아 빙고칸 안에 적고 빙고게임을 하면 나름대로 재미있는 수업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도 얻을 수도 있다. 하지만 수업시간 중간에 적용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도 있다. 빙고학습게임 앱은 아래 링크나 플레이스토어에서 '빙고학습게임'으로 검색하면 설치할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com.sciencelove.BingoGam.. 2019. 4. 15.
교육용 실감형콘텐츠 앱 활용하기(사회,과학) AR VR KERIS에서 디지털교과서에 연계하기 위해 2015 개정교육과정에 맞춰 중학교 실감형콘텐츠를 제작하여 공개하였다. 태블릿을 사용하는 학교에서는 잘 활용한다면 수업시간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과는 사회와 과학 초, 중학교 자료를 개발해서 보급하고 있다. 오늘 들어가서 설치해서 작동시켜 보았는데, 재미있는 것들이 많다. 과학교과만 살펴 보았는데 수업내용과 연계가 되어 있어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좋은점은 미리 설치해 놓으면 인터넷이 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실제 교과내용과 연계가 되어 있어서 잘 활용하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업이 가능하다는 점이다.필자도 3학년 실감형 콘텐츠 개발에 참여하기도 했다.중학교 2학년 별의 일주운동을 설치해서 살펴보았는데, 공간개.. 2019. 4. 12.
MERGE CUBE를 이용한 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 MERGE CUBE를 이용하면 기존의 증강현실과 달리 물체를 360도 회전시켜 볼 수 있다.물론 지원되는 앱만 가능하지만 object viewer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만든 사물도 함께 관찰해 볼 수 있다.잘 활용한다면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다양한 사물을 증강현실로 불러와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해서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해 본다. 지금은 지원되는 앱만 가지고 활용하지만 나중에는 직접 자신만의 사물을 만들어 활용하면 좋겠다. 지원되는 앱은 플레이스토어에서 MERGE CUBE로 검색해 보면 볼 수 있다.MERGE CUBE를 국내에서는 판매하지 않아서 해외에서 구매해 보았다. 가격이 비싸고 오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종이로 된 전개도가 떠돌아 다닌다. 그래서 전개도를.. 2019. 4. 7.